|
베트남 관광산업
2020-09-25 김진모 베트남 다낭무역관
가.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ㅇ 베트남 관광법(09/2017/QH14) 및 관련 시행령(168/2017/ND-CP, 06/2017/TT-BVHTTDL 등)에서 관광에 대한 정의, 개발 방향, 라이선스 발급 절차 등 기본 사항을 규정하고 있음.
베트남 관광법(09/2017/QH14) 주요 내용
업종 | 라이선스 발급 조건 및 주요 내용 |
여행 서비스업 | - 예치금(100만~500만 동) 필요 - 책임자는 여행 관련 학사 이상의 학위 혹은 국내/국제관광 관련 교육 이수 자격증 필요 - 외국인투자기업은 따로 법에서 규정되지 않는 한 Inbound 여행객 대상 서비스만 제공가능 주*: Inbound 여행객: 베트남을 방문하는 외국인관광객 및 해외거주 중인 베트남인 |
관광 운송업 | - 환경보호 규정, 서비스 품질 등의 운수업 조건 충족 - 관광 운송업 배지가 부착된 운송수단은 관광지역, 관광 명소 등에서 주∙정차시 우선권 부여 |
숙박업 | - 보안, 화재예방, 환경보호 및 식품안전에 관한 법률조건 충족 - 인프라 및 서비스 최소 조건 충족 <숙박등급 지정 관련> - 사업자의 자발적 신청 - 지방 관광 당국별 1~3개, 관광총국별 4~5개까지 지정가능 - 지정된 등급 유효기간: 5년 |
여행 가이드 | - 베트남에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국적 소유자 - 범죄 이력, 전염성 질병이 없는 사람 - 여행 관련 학사 이상의 학위 및 이에 상응하는 교육 이수 - 외국인관광객 가이드의 경우 학사 이상의 외국어 학위 혹은 그에 상응하는 자격 필요 - 지방관광명소 가이드의 경우 각 지방 관광 당국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과해야 함. |
주: 2020년 9월 현재 법 조항이며, 해당 법조항을 KOTRA 다낭 무역관 자체 번역함.
자료: 베트남법률정보(Thuvienphapluat)
ㅇ 이외에도 베트남 정부는 의결서(08-NQ/TW)를 통해 관광업을 주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본 발전방향을 규정하고 있으며, 관련 시행령(관광개발기금 운용(49/QD-TTg)과 정보기술(IT)의 관광산업 적용정책(1671/QD-TTg) 등)을 통해 이를 구체화하고 있음.
ㅇ 특히 베트남 정부는 관광산업진흥을 위해 10년 주기로 국가관광개발전략을 발표하고 있으며 올해 1월 ▲관광산업을 주요 경제부문으로 육성 ▲지속가능한 녹색관광 지향 ▲국가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관광 개발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스마트관광 ▲국내 및 국제관광의 동시 발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30년까지의 국가관광개발전략(147/QD-TTG)이 승인됨.
베트남 국가관광개발계획 10개년(~2030년) 주요 내용
추진방향 | <관광산업을 주요 경제부문으로 육성> - 포괄적 관광개발에 대한 인식 확보/관광정책, 법체계 정비/중앙정부의 효율적 개발관리 <지속가능한 녹색관광 지향> -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환경보호 관련 인식 개선 <국가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관광 개발> - 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패키지 개발/지역별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스마트관광> - 공항, 관광정보센터 등 인프라 개발/과학기술 적용을 통한 관광 디지털포메이션(DT) 가속화 <국내 및 국제관광의 동시 발전> - 국제 관광시장 다각화/국내 관광여건 개선/지역별 축제 활성화 및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
5개년 계량목표 (~2025) | - 총 관광수입: 1700조~1800조 동(770~800억 달러) 달성 - GDP 기여율: 12~14% - 550만~600만 개의 일자리 창출(직접일자리 200만 개) - 관광객 1억5500만 명 유치(외국인 3500만 명/내국인 1억2000만 명) - 관광경쟁력지수(TTCI) 세계 50위, 동남아 3위 달성 |
10개년 계량목표 (~2030) | - 총 관광수입: 3100~3200조 동(1300~1350억 달러) 달성 - GDP 기여율: 15~17% - 850만 개의 일자리 창출(직접일자리 300만 개) - 관광객 2억1000만 명 유치(외국인 5000만 명/ 내국인 1억6000만 명) - 관광경쟁력지수(TTCI) 세계30위 달성 |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정보센터(VITIC)
□ 주요 이슈 (베트남 관광산업 코로나19 영향)
ㅇ 코로나19에 따른 관광수요 축소와 베트남 정부의 강경책(외국인 입국 제한 등)으로 인해 관광산업은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산업 중 하나임. 베트남 통계청(GSO)에 따르면 올 상반기 외국인 관광객은 374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8% 감소했으며, 관광 매출은 53.2% 감소한 10조3000억 동(4억4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관광총국이 당초 계획한 2020년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게 됐음.
주*: 외국인 관광객 2050만 명, 내국인 관광객 9000만 명, 관광수입 830조 동(356억 달러)
ㅇ 이에 베트남 관광총국은 F&B 및 숙박업체에 대한 전기요금 인하, 관광기업에 대한 부가세 50% 감면, 토지세 및 사회보장세 납부연기 등의 금융지원책(1399/BVHTTDL-TCDL)을 총리에게 제안했고 이외에도 주요 지방성시별로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관광산업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음.
관광총국 및 주요 성시별 관광진흥 프로그램
관광 지원 프로그램 | |
관광총국 | - 관광기업에 대한 부가세, 토지세 등 각종 세금 납부연기 - 관광산업 투자기업에 대한 대출이자율 감면 등 금융지원패키지 - ‘Vietnamese people traveling around Vietnam’ 등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할인패키지 시행 |
다낭 | - 온라인채널을 활용한 관광홍보 강화 - 가까운 성∙시의 국내관광객 유치 강화 - 다낭시 주요 관광지 및 숙박 할인 패키지(Da Nang Thank-you) 시행 - 관광숙박업소의 감염안전을 위한 정기적인 검역 - 다낭관광홍보기금 조성을 통한 피해기업 지원 |
하노이 | - ‘Travel by Railway’등 국내관광촉진패키지 시행 - 국내관광지 입장료 30~50% 할인, 호텔숙박 70% 할인 - 온라인 관광산업 활성화(전자상거래, 3D 가상 관광 홍보관 조성 등) |
호치민 | <코로나19 9월 내 종식 시> - 호텔 등 관련업체 협력강화, 고품질 관광상품 가격할인 등 국내관광 촉진 프로그램 <코로나19 연말까지 지속 시> - 관광업계 구조조정 및 신상품 개발 지원을 통한 관광산업 회복시기 대비 |
자료: 각 지역 성시별 관광청
□ 주요 기업 현황
ㅇ 2019년 기준 베트남 관광총국에 등록된 관광관련 기업은 여행사 2667개사, 숙박업체 3만여 개(객실 65만 개) 있으며 이외에도 관광가이드 2만 7683명이 등록돼 있음.
- (여행사) 2015년을 기점으로 베트남을 방문하는 외국관광객이 급증함에 따라 관련 여행사 수도 2015년 1564개사에서 2019년 2667개사로 연평균 11.3%의 빠른 속도로 증가함.
· 19년 유형별 여행사 비율: 유한회사 62.4%, 주식회사 36.3%, 합작투자 1%, 개인사업체 0.3%
- (숙박업체) 베트남내 호텔이 점점 고급화됨에 따라 2018년 대비 4~5성급 숙박업체는 약 13% 증가한 반면 1~3성급 숙박업체는 14.1% 감소했음.
- (가이드) 국내관광가이드 9134명, 국제관광가이드 1만7825명이 등록돼 있으며, 국제관광가이드 등록 언어는 영어(52.7%), 중국어(24.6%), 불어(7.8%)가 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어는 6위(2.3%)*를 차지하고 있음.
· 베트남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이 매년 30~50%대로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관련 한국어 국제관광가이드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베트남 관광산업 관련 주요기업
베트남 주요 여행사 | 특징 |
- 1992년 호치민에서 설립된 현지 여행사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관광, MICE 투어 등의 서비스 제공 - WTA(World Travel Awards) 3회 수상, National Brand 4회 수상 - 홈페이지 : www.vietravel.com | |
- 1975년 설립된 호치민에 본사를 둔 현지 종합 여행사로 약 1만 7000명의 임직원과 100개 이상의 호텔, 리조트, 레스토랑, 투어 등을 운영하고 있음. - 2020년 ASEAN 경제포럼 100대 기업에 선정, ‘Best ASEAN Brand Award 수상 - 홈페이지 : https://saigontourist.net | |
| - 1997년 호치민 인민위원회 결정(7448/QD-UB-KT)에 따라 설립된 국영기업으로 여행, 레스토랑, 호텔 등 여러 사업 분야를 가지고 있음. - 2020년 사이공해방신문이 선정한 Vietnam Brand Award 수상 - 홈페이지: https://benthanhtourist.com |
베트남 주요 호텔 | 특징 |
- 베트남 Vin Group에서 운영하는 관광서비스 전문업체로 Vinpearl Luxury, Vinpearl Resort, Hotel 및 Vinoasis 등의 숙박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음. - 34개의 호텔과 400여개 리조트 및 빌라를 포함해 전국 17개 성∙시에 걸쳐 1만 7200여 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vinpearl.com | |
- 프랑스의 글로벌 관광서비스 전문업체로서 전 세계 100여 개국에 5100개 이상의 호텔과 약 28만 명의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음. - 베트남 내 Novotel, Mercure, Pullman, Mgallery, Sofitel, Ibis의 브랜드가 진출해 있으며, 주로 Owner가 따로있고 Accor Group에서 운영만 맡는 경우가 다수 - 홈페이지: https://group.accor.com/en | |
- 현지 호텔그룹으로 1997년 디엔 비엔푸시 호텔에서 시작해 현재 약 60여 개의 호텔과 1만 명 이상의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음. - 베트남 주요 관광도시에서 Luxury(5성급 이상), Grand, Holiday, Muong Thanh 총 4개의 호텔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음. - 홈페이지: http://muongthanh.com/en | |
베트남 관광총국 | 특징 |
-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으로 관광개발연구, 관련 통계 제공, 관광정보센터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함. - 홈페이지: http://vietnamtourism.gov.vn |
자료: 각 기업 및 기관별 홈페이지
나. 산업의 수급 현황
ㅇ (관광수입) 베트남 관광 수입은 2015년 15억4000만 달러에서 2019년 32억8000만 달러(GDP 기여도 9.2%)로 연평균 1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
ㅇ (외국인 관광객) 2019년 베트남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2018년 대비 16.2% 증가한 1800만 명을 기록했음. 이 중 상위 5개국의 외국인관광객이 전체 외국인 관광객 수의 70%(약 1200만 명)를 차지하며 한국, 중국 등 일부 국가에 편중된 형태를 띄고 있음.
ㅇ (경쟁력) 2019년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별 관광경쟁력(TTCI) 순위*에서 베트남은 전 세계 140개국 중 63위를 차지하며, 2015년 75위에서 12단계 상승함. 특히 인터넷 개방성, 항공 인프라 부분에서 눈에 띄는 개선으로 높은 점수를 받음.
· 세계경제포럼(WEF)이 2년 마다 각국의 관광환경, 국가 정책, 인프라 등 14개 지수를 종합해 순위 발표
최근5개년 베트남 관광수입 및 인바운드 외국인관광객 (단위: 백만 달러, 만명) | 2019년 베트남 인바운드 외국인관광객 상위 5개국 |
| |
2019년 관광객별 관광수입비중 | |
자료: 베트남 관광총국(VNAT)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강점(Strengths) | 약점(Weaknesses) |
∙ 관광산업 육성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강력한 의지 ∙ 저렴한 물가로 타 여행지 대비 가격경쟁력이 있음. ∙ 긴 해안선,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 활용가능한 관광자원 많음. ∙ 베트남 직항편 및 공항 확충 등 항공인프라 강화 | ∙ 관광개발 및 마케팅에 관한 베트남 정부 규제 많음. ∙ 교외지역의 노후화된 관광 인프라(호텔 등) ∙ 교외 지역 간 교통인프라 부족 ∙ 일부 주요 관광지에만 관광객 집중 ∙ 환경오염, 관광인력 부족에 따른 서비스질 하락 |
기회(Opportunities) | 위협(Threats) |
∙ 세금감면 등 관광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 장려 ∙ 저가 항공사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인바운드 관광객 증가 ∙ 높은 경제성장률로 콘퍼런스 등 MICE 기회 다양 | ∙ 코로나19에 따른 관광산업 위축 ∙ 태국, 라오스 등 주변 유명 관광국가 다수 ∙ 지속가능한 관광프로그램 부족 및 환경오염 문제 ∙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인바운드 관광객 축소 |
자료: Fitch Soluton 및 베트남 관광총국
□ 유망 분야
ㅇ (호텔업) 2015년을 기점으로 베트남이 관광지로 떠오름에 따라 관련 호텔∙리조트 시장 또한 1만 9000여 개에 불과하던 업체 수가 2019년 3만여 개로 증가하며 연평균 10%로 빠르게 성장함.
- 코로나19로 기존 투자가 지연되는 등 관련 시장이 주춤하고 있지만 대형 호텔들을 중심으로는 관광수요 회복에 대비 직원교육 및 추가 투자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음.
· Vin Group- ‘Can Gio Tourist City’에 90억 달러 투자 발표(’20년 8월)
ㅇ (관광인프라) 일부 관광지에만 관광객이 집중되는 병목현상으로 환경오염 및 관광서비스 질 하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 관광총국은 지역별 특색을 살린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에 힘쓰고 있어 관련 투자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
- 최근 베트남 정부는 주요 관광도시를 중심으로 야간영업활동 제한을 해제했으며, 하노이 최대 관광지인 호안끼엠의 역사∙문화유적지 24시간 개방을 논의하는 등 야간관광산업 수요 증대 전망
ㅇ (온라인관광) 스마트폰 및 인터넷 쇼핑이 보편화 되면서 관광소비(검색, 예약, 결제) 또한 온라인을 활용하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음. 최근 코로나19로 온라인 소비형태가 트렌드화됨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구글과 컨설팅업체 BAIN의 ‘2019 e-Conomy SEA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온라인 관광시장 규모는 2015년 23억 달러에서 2019년 40억 달러로 연평균 12%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9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 EUROMONITOR, ITC TRADE MAP, UNcomtrade, Fitch Solution, Vietnam news 등 현지언론, 베트남법률정보(Thuvienphapluat), 베트남 관광총국(VNAT),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