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25일, 주요경제지표 및 금융모니터링
=======================================================================================
■ 시장 동향
ㅇ [주식] 미국, 유럽 모두 상승(미국 다우 0.3%, 유로 stoxx 0.1%)
ㅇ [외환] 미국 달러화, 주요 통화 대비 강세
- 유로/달러: 1.1026→1.0977(-0.4%), 달러/엔: 105.82→106.13(0.3%)
ㅇ [채권]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상승(1.57%, 0.01%p)
ㅇ [원유] WTI 가격 하락(배럴당 44.19달러, -1.3%)
*주: ( )의 전일비 변화율
■ 주요국 경제동향 및 해외시각
ㅇ [세계]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 회의, 성장을 위해 모든 정책동원
ㅇ [미국] 공화당의 Glass-Steagall 법안 부활 시도, 대형 금융기관 해체론 부상
ㅇ [유럽] 유럽위원회, 영국 EU 이탈 사전 협상은 비공식적으로 없다고 주장
- 이탈리아, 은행부실 문제 해결에 채권자 손실부담 적용 가능성 배제
ㅇ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 중국경제는 하방리스크가 크나 6.5% 성장 가능
ㅇ [일본] 일본은행, 2017년 물가전망치 소폭 하향 조정 전망
ㅇ [해외시각] 브렉시트 이후 환율, 4개국 통화(달러·유로·엔·파운드) 등가 가능성
- 중국 유동성함정, 투자 부진이 주요 원인
ㅇ Today Focus:
- 중국, 중진국 함정 탈피를 위해 제조업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이 필요
=======================================================================================
■ 일일 금융시장 동향
=======================================================================================
Ⅰ.국내 금융시장 동향
Ⅱ.국제 금융시장 동향
=======================================================================================
ㅁ 글로벌 주요경제지표
=======================================================================================
[Market Brief] Brexit 일일 점검 속보
=======================================================================================
[Weekly Issues - 주간 국제금융 주요 이슈 및 전망]
=======================================================================================
ㅁ 국제 금융 속보 및 금융시장 동향
=======================================================================================
[Today Focus] 중국, 중진국 함정 탈피를 위해 제조업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이 필요
■ 급격한 탈산업화는 노동생산성 저하와 잠재성장률 둔화 가능성 잠재(HSBC, South China Morning Post 등)
○ 정부의 도시화를 통한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서비스업의 GDP 비중은 2013년 이후 제조업을 상회하며
성장률 안정에 기여(그림1)
▶ 2012~15년 세계경기 부진으로 제조업 생산 증가율이 둔화(8.2%→6.0%)되었으나 서비스업은
연평균 8.1%를 유지하면서, 7% 내외의 성장률을 유지
▶ 서비스업의 성장에 힘입어 같은 기간 일자리는 연평균 1300만개 늘어나며 노동시장을 견인
○ 하지만 낮은 교육 및 기술 수준 등으로 도시로 유입된 농민공의 고용이 노동집약도가 높은 서비스업 부문
(도소매, 주거용 서비스, 운송)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경제전반의 노동생산성이 저하(그림2)
▶ 서비스업의 근로자 1인당 생산은 제조업의 80% 수준에 그쳐, 경제자원의 효율성이 감소
▶ 2012~15년 제조업에 종사하는 농민공은 700만명 줄어들면서 2250억위안(GDP의 0.3%)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
○ 높은 경제 성장률에도 1인당 GDP 수준이 낮아, 급격한 탈산업화(de-industrialisation)로 인해
중진국 함정에 빠질 가능성
▶ 한국과 싱가포르의 경우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 이행 당시 1인당 GDP가 미국의 30~60% 수준에
달한 반면 중진국 함정에 빠진 브라질, 멕시코 등은 13~15%에 불과
※ 중진국 함정: 개발도상국이 경제발전 초기단계에서는 순조로운 성장세를 보이지만,
중진국 수준에 이르러서는 성장이 장기간 둔화되어 정체되는 현상
=======================================================================================
1. 미국의 주요경제지표,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공화당의 Glass-Steagall 법안 부활 시도, 대형 금융기관 해체론 부상(로이터, 닛케이)
ㅇ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채택한 정강 중 하나는 예전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업무의 엄격한 분리를 규정한
Glass-Steagall 법안(Banking Act of 1933)의 부활을 담고 있어 미국 금융업계의 경계감이 강화
ㅇ 민주당의 정강 초안도 이를 언급하고 있어, 대형 금융기관 해체 논의가 대선의 초점이 될 가능성.
▶ 공화당 정강은 상업은행이 고위험 투자에 종사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평가
ㅇ 오바마 정부는 도드-프랭크법을 통해 고위험 거래를 제한하는 등의 규제를 강화했지만, 공화당 정강은
관련 정책으로 인한 과도한 규제가 중소기업 금융을 저해하고, 대형은행에 유리한 법안이라고 비판
ㅇ 공화당 트럼프 대선 후보는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재분리 언급은 하지 않았고, 규제완화를 환영하는
금융권의 의도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대형 금융기관 해체론 논의가 급부상할 가능성이 내재
○ 채권시장 , 영국 EU 이탈 충격 완화로 금리인상 관측 재부상(블룸버그)
ㅇ Federal Fund(FF) 금리선물시장의 연내 금리인상 확률은 47%로, 영국의 EU 이탈 국민투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
▶ 브렉시트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 증가로 하락세를 보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경제지표 호전으로 오름세
ㅇ 시티의 서프라이즈 지수는 2014년 12월 이후 높은 수준에 이르고 있고, 미국 통화정책 당국의 정책방향을
보여주는 블룸버그 지수는 플러스로 진입하여 긴축 가능성이 확대
ㅇ 미즈호의 Steven Ricchiuto, 미국 정책당국은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확신하여 기회를 모색 중에 있다고 지적.
▶ 최근 리스크는 균형을 찾아가고 있으며, 인플레이션도 상향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미국 기업, 불확실성 고조로 현금 보유 증가(FT)
ㅇ 금융전문가협회(AFP)에 따르면, 기업들은 2011년 중반 이후 현금 관리에 가장 신중한 모습.
▶ 2/4분기 현금 보유 비중은 이전 분기보다 높아졌으며, 3/4분기 현금 보유 비중 상승 예상 지수는
전기(7)보다 높아진 16을 기록
ㅇ Corporate Treasurers Council의 Craig Martin, 브렉시트와 국내외 경기부진 등으로 기업이 현금보유를
늘리고 있다고 분석.
▶ 금융위기 이후 기업의 경기회복 기대가 위축되고 있으며, 금년 미국 다국적기업의 자본투자와 고용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
○ 양당 대선 후보, 경제정책은 제로섬(zero-sum) 논리에 집중(WSJ)
ㅇ 공화당의 정강에는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가 경제에 중요하지 않다고 밝히고 있으나,
대통령 후보인 트럼프는 무역과 경제에서 승자와 패자가 존재한다고 주장.
▶ 이를 뒷받침하는 발언으로 무역전쟁은 이미 시작되었고, 미국은 대패하고 있다고 언급
ㅇ 트럼프는 기업가로서 성공은 금융회사와 상대방을 희생하여 성립한다는 개념을 보유.
▶ 경제도 누군가 승자가 되면 누군가는 패자가 된다고 보면서, 미국의 무역확대와 불법이민은
실업자를 양산한다고 지적
ㅇ 아울러 양당은 성장을 통한 소득 증대가 아닌 배분방법에 초점.
▶ 민주당의 힐러리 후보는 성장과 함께 평등한 경제를 강조하고, 민주당 강령에는 성장과 고용확대 보다는
불평등과 빈부 격차에 많은 비중을 할애
ㅇ 그러나 무역의 축소로 불법이민이 줄어들면, 미국의 성장과 근로자에게 마이너스 요인.
▶ WSJ과 NBC 여론조사에서 자유무역의 찬성 지지율이 높았고, 이민도 민주당 지지와 무당파에서
찬성비율이 우세
ㅇ 양당이 경제는 승자와 패자가 공존한다는 구호로 지지율을 높이려는 가운데 대부분의 미국 국민은
win- win을 원하고 있어 모순된 상황이 병존
○ 재정정책, 경기부양을 위해 양당 모두 중요성 강조(FT)
ㅇ 2012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는 실시간 부채 시계를 내세우며 국가 부채문제를 심각하게 다루었으나,
금년 전당대회에서는 국가 부채를 간단히 언급.
▶ 오히려 트럼프 후보는 사회기반시설 관련 지출 증대와 감세를 주장
ㅇ 이번 주 열릴 예정인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도 클린턴 후보가 국가 부채에 대해 크게 거론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일부 민주당 의원들도 경기부양을 위해 재정지출 증대에 관심
ㅇ 재정지출을 늘리는 흐름은 미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며, 금년 캐나다 총리의 600억캐나다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공개와 영국 재무부 해먼드 장관도 전임자와 달리 재정을 통한 경기부양에
반대하지 않는 입장
ㅇ 재무부 루 장관은 경기회복에 통화정책에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재정정책도 동일하게
중요하다는 의견을 피력.
▶ IMF 라가르드 총재도 통화정책과 구조개혁 외에 재정정책도 강조
○ 통화정책 Fed, 결정에 물가지표 간 차이에 주목할 가능성(블룸버그)
ㅇ 2015년 12월 이후 연준은 물가상승률이 목표(2%)를 하회하고 있는 점을 근거로 금리를 동결하고 있는데,
이러한 논리가 1990년대와 2000년대 닷컴 열풍과 주택시장 호황기에 버블을 양산하는데 일조했다고 비판
ㅇ 물가상승률은 측정방법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데, Fed는 상무부의 개인소비지출(PCE)을 중시.
▶ PCE는 노동부가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다르며, PCE는 가계지출 패턴에 따라 측정품목을
빈번하게 교체
ㅇ 또한 PCE는 고용주나 보험사 등이 지급한 의료비 등 전체 서비스 비용을 포함하는 반면,
CPI는 소비자가 지출한 내역만 산정
ㅇ 이로 인해 CPI에서는 주택이나 운송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PCE에서는 의료 서비스 비중이 높으며,
주택가격은 빠르게 오르지만 의료비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상승해 근원 CPI가 근원 PCE보다 높게 집계
ㅇ PCE와 CPI의 차이는 사람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
▶ 또한 근원 PCE는 닷컴 및 주택가격 버블 시기를 포함한 지난 20년 동안 연준의 목표인 2%를
넘어선 적이 없다는 점에서 Fed가 근원 PCE만 중시하는 태도는 향후 문제가 될 소지
ㅇ Fed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데 물가상승률은 중요한 사안이지만, 관계자들은 고용지표와
자산시장 흐름 등 여타 지표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
2. 유럽의 주요경제지표,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유럽위원회 부위원장, 영국 EU 이탈 사전 협상은 비공식적으로 없다고 주장(로이터, 블룸버그)
ㅇ 게오르기에바(Georgieva) 부위원장, 영국의 EU 이탈은 공정하게 다루어지며, 특별한 수혜나 벌칙은
없다고 강조.
▶ 비공식적으로도 향후 협상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탈퇴과정이 명확해야 하고,
리스본조약 50조 발동 전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언급
ㅇ 사전 협상은 영국의 선택에 부적절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부연하면서, EU 잔류는 각국에
보다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
▶ 브렉시트 이후 EU에 대한 지지는 10~12%p 증가했으며, 향후 EU 개혁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의견을 제시
○ 독일 중앙은행 총재, 브렉시트로 인한 유럽경제의 부정적 영향은 매우 낮은 수준(로이터)
ㅇ 바이트만 총재, 영국의 EU 이탈은 역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조짐이 없지만,
브렉시트로 초래되는 리스크가 독일 성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
○ 영국 해먼드 재무장관, EU 이탈 절차는 금년 중에 명확하게 설정(로이터)
ㅇ 영국과 EU의 협상절차가 뚜렷하게 되면, 브렉시트의 불확실성은 완화될 것이며, 기업과 시장에 안정을
줄 수 있는 신호 발신이 가능하다고 주장
○ 이탈리아 은행부실 , 문제 해결에 채권자 손실부담 적용 가능성 배제(FT)
ㅇ 카를로 파도안(Carlo Padona) 재무장관,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은행부실 문제는 소수의 일부
금융기관에 한하며, 은행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안정되어 있다고 강조하는 한편 부실은행 처리과정에서
민간 채권자에게 손실이 부담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영국 경제, 향후 PMI에 주목할 필요(WSJ)
ㅇ 7월 종합 PMI는 47.7로 전월(52.4)를 크게 하회하는 한편 87개월 만에 최저치.
▶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큰 폭으로 하락. 하지만 이는 잉글랜드 은행의 보고서와는 대조적인 내용
ㅇ 잉글랜드 은행은 미래의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영국 내 지역별 경제활동이 급격하게 둔화된 증거는
없다고 주장.
▶ 7월 PMI 급락은 정치적인 영향이며, 새로운 정부의 출범으로 불확실성이 완화되어 시장에서는
8월과 9월의 PMI가 더 중요하다고 평가
ㅇ 7월 PMI 결과는 미국과 영국의 통화정책 괴리로 발생한 것이며, 양국 간 금리차가 파운드화에 반영.
▶ 8월 통화정책도 향후 경기흐름과 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칠 전망
3. 중국의 주요경제지표, 정책 및 시각
◎ 주요 경제동향
○ 2/4분기 구인배율, 금융업의 채용 확대로 전기보다 상승(블룸버그)
ㅇ 중국의 고용상황을 보여주는 민간지표는 2/4분기에 호전.
▶ 이는 중국경제의 안정으로 경제활동인구 감소 속에 첨단 기술과 금융업계의 기업 채용이 증가했기 때문
▶ 중국의 즈롄자오핀(智聯招聘)에 따르면, 2/4분기 구인배율은 1.93배로 전기(1.71배)보다 확대
ㅇ 업종별로는 인터넷과 전자상거래의 구인배율이 11.5배. 금융업은 4.2배
○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 중국경제는 하방리스크가 크나 6.5% 성장 가능(로이터)
ㅇ 칭화대학 교수로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회 위원인 바이충언(白重恩), 중국의 정책당국은 이미 통화정책에서
많은 조치를 취했으며, 현 시점에서는 금리인하보다 감세가 성장 견인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
○ 리커창 총리, 철강 과잉생산 문제는 국가와 지역별 대화로 해결(닛케이)
ㅇ 6개 국제기구와의 회의를 통해 지난 3년간 철강 생산능력을 1억5000만톤 축소했다고 밝히면서,
철강의 과잉생산에 따른 무역마찰은 국가와 지역별로 대화를 통해 해결하겠다고 주장
ㅇ 이와 함께 미국과 유럽이 WTO 협정에 따른 시장경제국 지위를 인정하도록 촉구하면서,
중국은 거시경제 정책 여지가 남아 있어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림자 금융 감독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
○ 미국 재무부, 중국은 시장주도의 환율 정책 전개(로이터)
ㅇ 1년 전에 비해 환율정책이 시장원리에 의해 보다 명확한 방법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중국이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대 성장을 유지하는 것은 비현실적.
▶ 문제는 장기 성장세 안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개혁 정책 등이 불가피하다고 강조
ㅇ 소비주도형 경제 이행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설비과잉 대응, 국영기업 개혁, 시장 경쟁용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시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유동성함정, 투자 부진이 주요 원인(WSJ)
ㅇ 중국의 통화정책을 측정하는 지표들은 수개월간 유동성 창출이 원활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
▶ 협의의 통화공급량인 M1(현금과 기업의 요구불 예금 등의 유동자산)은 급증하고 있지만,
광의의 통화공급지표 M2는 정체
ㅇ 유동성 함정의 원인은 부채증가에도 성장이 부진하고,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대상이 부족하여
기업이 현금을 보유하는 한편 금리가 높은 예금에 집중하기 때문.
▶ 대표적으로 부동산 개발업체는 과잉재고를 매각하여 이를 현금으로 보유
ㅇ 높은 기업부채 수준도 기업이 투자에 신중한 주요 요인이며, 은행이 수수료 수입 확대를 위해
리스크가 높은 투자상품을 시장에 대규모 공급하여 기업의 투자 유인이 축소
ㅇ 은행의 수수료 수입 부족, 기업의 고금리 추구, 가계의 저축성향 증대 등의 연결고리는 유동성이
실물경제에 투자하지 않음을 의미.
▶ 일반적으로 재정지출 확대가 유동성 함정 해결의 열쇠
▶ 그러나 재정정책을 통한 투자확대도 어려운 상황
○ 시진핑 주석과 리커창 총리, 경제정책에 불협화음 심화(WSJ)
ㅇ 시진핑 주석과 리커창 총리는 7월 초 중국 국영기업 문제에 상이한 견해를 제시.
▶ 시진핑 주석은 보다 강하면서 큰 국영기업의 필요성을 주장한 반면 리커창 총리는 국영기업 규모를
축소하면서 시장의 규정 준수가 필요함을 강조
ㅇ 지도부의 분열로 중국 경제 재편의 불확실성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
▶ 지도부의 불협화음은 2009년 금융위기 직후보다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진 1/4분기 4조6000억위안의
은행대출 시행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불만이 시초
ㅇ 시진핑 주석은 부채와 과잉생산 능력 축소가 신용확대로 어려워질 수 있음을 우려하였고,
언론을 통해 리커창 총리의 관련 경기부양책을 비판.
▶ 아울러 리커창 총리가 주장한 부채의 주식화도 좀비기업 양산으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지적
ㅇ 샌디에고 대학의 Barry Naughton, 리커창 총리는 어려운 입장에 놓여 있다고 주장하면서,
경제정책이 주로 시진핑 주석을 통해 주도되고 있어 양자의 관계가 지속될지는 의문이라고 주장
ㅇ GaveKal Dragonomics의 Arthur Kroeber, 양자간 대립에 따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개혁의 중단이
예상되며, 경제개혁의 일관성이 약화되고 있다고 제시
○ 인민은행 , 자본유출 등으로 위안화 안정에 어려움 직면(블룸버그)
ㅇ 골드만삭스가 6월에 중국 시장에서 자본유출이 증가했다고 지적한 가운데 수출부진과 성장 저조 등으로
위안화 안정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
ㅇ 첸위루(Chen Yulu) 부행장, 외부여건의 불안으로 위안화 안정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인민은행은
역외 외환시장 등의 정책 개선 등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발언
ㅇ 아울러 금융시장 개방을 통해 외국인의 위안화 채권 역내발행과 내국인의 위안화 채권 역외발행을
용이하게 할 것이며, 국제결제시스템 개선을 통해 국제통화 및 통화정책의 공조에 나설 것이라고 부연
○ 세계은행, 중국의 보건의료 개혁 촉구(FT, 블룸버그)
ㅇ 새로운 수준의 보건의료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2035년까지 GDP의 3%를 추가적으로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
ㅇ 전면적인 보건의료 구조개혁은 기존 비효율성 해결에 필수적이며, 대도시 병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전국의 보건의료 질을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다고 주장
ㅇ 중국의 의료 지출은 연간 8.4%로 빠르게 증가.
▶ 이는 약제의 과잉처방, 불필요한 장비, 특정 병원에 환자들이 집중되는 현상 등이 주요 요인
▶ 의료 개혁을 통해 2035년까지 GDP 3% 수준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
ㅇ 과거 도시거주자에게 보장되었던 의료 서비스는 1990년대 국영기업들의 붕괴와 도시집중 현상으로 실패.
▶ 현 국영 병원은 수입을 뇌물과 처방약 판매에 의존하고 있으며, 과도한 비용 등으로 환자들의 불만은 증가
ㅇ 중국 Sanming(三明) 지역의 시범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을 권고.
▶ 외래진료와 전통약 대신에 전문병원과 저렴한 의약품을 이용하도록 유도
▶ 4년에 걸친 시행으로 연간 의료비용 증가율이 8.7%로 기존 2배 증가에 비해 부담이 경감
ㅇ Sanming 보건의료 개혁책임자 Zhan Jifu, 지방정부의 재정부담이 크게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국민들에게 가중되는 부담은 없었다고 평가
4. 기타 세계경제 동향
◎ 주요 경제동향
○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성장을 위해 모든 정책동원(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ㅇ 중국 청두에서 폐막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세계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금융, 재정, 구조개혁 정책을 각국이 개별적으로 총동원한다는 공동성명을 채택
ㅇ 공동성명은 세계경제에 대해 회복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적 도전이 있어 하향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
▶ 금융시장의 불안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테러, 난민 등의 문제를 논의
ㅇ 영국의 EU 이탈 결정을 둘러싸고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늘어나고 있으며, G20 각국은 영국의 EU 이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와 금융면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
○ 대만, 6월 광공업생산 전년동월비 0.9% 늘어나 2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닛케이)
ㅇ 경제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달 광공업생산지수(2011=100)는 107.61로, 기간산업인 반도체 등이
신흥국에서 스마트폰 수요 확대로 14.6% 늘어나 전체 광공업생산 증가를 견인.
▶ 다만 전월(1.9%)보다 증가세 둔화
ㅇ 7월 광공업생산에 대해서도 경제부는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 말레이시아, 상반기 승용차판매는 전년동기비 14.7% 감소(닛케이)
ㅇ 자동차공업협회는 자동차 판매와 생산이 두 자릿수대로 감소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상반기 승용차 판매는 24만4357대, 상용차는 전년동기비 –12.7%로 3만1102대라고 발표.
▶ 승용차는 시장총수요의 88.7%를 차지
ㅇ 같은 기간 생산은 과잉재고 억제 등이 반영되면서 전년동기비 19.7% 감소
○ 브라질, 투자 촉진을 위해 영국과 조속한 무역협정 체결 추진(FT)
ㅇ 호세 세라 외무장관, 중남미 무역지대인 메르코수르(Mercosur)를 통해 영국과 신속히 무역협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주장.
▶ 양국간 무역협상을 통해 개방경제의 우위를 누릴 수 있으며, 영국은 브라질 투자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강조
◎ 정책동향 및 해외시각
○ 브렉시트 이후 환율, 4개국 통화(달러·유로·엔·파운드) 등가 가능성(로이터)
ㅇ 금융위기와 비교하여 영국의 EU 이탈 결정 이후 금융시장은 당초 예상과 달리 안정적인 모습.
▶ 하지만 진원지인 영국의 부동산 시장 하락과 파운드화 가치의 급락 외에도 EU 가입국의
유럽 통합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가시화가 잠재
ㅇ 이러한 상황 속에 이탈리아의 금융회사 경영불안이 고조되는 동시에 10월 국민투표로 정치적 불확실성도 우려.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인 몬테데이 파스키 디시에나(BMPS)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부실채권이
대폭 늘어나 경영난에 직면
ㅇ 이탈리아 은행권은 1~2위인 우니크레디토, 인테사산파올로도 대규모 부실채권을 안고 있으며,
브렉시트 이후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금융기관의 경영불안이 전세계로 전이될 것인지가 향후
국제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
ㅇ 정치적으로도 이탈리아는 10월 예정인 국민투표 결과가 유럽의 미래 향방에 가늠자가 될 전망.
▶ 이탈리아는 반이민 정서가 고조되고 있어,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반EU 운동이 네덜란드, 프랑스로
연쇄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내재
ㅇ 6월 로마 시장선거에서는 반체제 성격을 지닌 오성운동의 라지가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고,
정치상황은 여타국과 동일하게 반정부·반EU 움직임이 강화
ㅇ 브렉시트 결정에 의해 정치·경제·안전보장 등의 관점에서 영국이 커다란 손실을 입게 되는 상황은 명확하며,
영국과 특별한 관계를 유지한 미국 등이 간접적인 피해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
ㅇ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면, 외환시장에서 주요 통화의 움직임은 영국 파운드화가 가장 약세를 보이고,
다음으로 유로화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달러화와 엔화는 상대적으로 고평가가 될 소지가 상당
ㅇ 그 결과, 유로화 환율은 현 1유로당 1.1달러 근처에서 1.0달러, 즉 등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편.
▶ 유로화와 파운드화는 파운드화 매도가 가속화되어 현 0.84파운드에서 미래에는 등가로 움직임이
강화될 것으로 판단
ㅇ 이에 따라 브렉시트 이후 외환시장은 1유로=1파운드=1달러=100엔이라는 이른바 4개 통화의 등가로
전개될 수도 있다는 견해가 부상
○ 영국 이탈 결정 EU 충격, 세계 경제로 전이될 가능성은 경미한 수준(FT)
ㅇ 영국의 EU 이탈 결정 이후 세계 금융시장 불안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미국과 독일의 국채 수익률이
급락하는 등 안전자산 선호도가 확대되고, 2008년 금융위기 수준의 충격이 발생될 우려가 제기
ㅇ 7월 들어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증시가 빠른 속도로 반등하고, 세계 경기 충격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던
신흥국 금융시장도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며 브렉시트 충격이 상당 부분 소멸
ㅇ 반면 영국의 경우에는 파운드화가 30년 내 최저수준으로 급락하고, 상업용 부동산시장의 투자자본 이탈이
급증하는 등 브렉시트 현실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
ㅇ 영국 정부의 재정정책 완화 기조 선회는 긍정적이나 브렉시트 충격이 경기지표에 반영되기 까지는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어, 금리인하 등을 통해 경기 하방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
○ 세계은행 김용 총재, 브렉시트로 인한 세계경제 하방위험 우려(블룸버그)
ㅇ 이에 따라 세계경제 전망치는 1월 2.9%에서 영국의 EU 탈퇴 결정 이후 2.4%로 하향 조정.
▶ 이는 선진국의 투자 위축과 자원수출국의 낮은 원자재가격으로 인한 수출 저조 등이 반영
ㅇ 자유무역이 빈곤층 해소에 기여하지만 일부 국가의 보호무역주의가 우려되며, 고소득층 국가의
중산층 소득이 감소하는 추세.
▶ 이에 각국 정부는 근로자 교육과 기술 습득에 많은 정책적 노력을기울여야 하며,
은행은 성장 견인을 위한 역할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
○ 신흥국, 대체 투자대상으로서 위상이 확대(WSJ)
ㅇ 영국의 EU 이탈 결정 이후 1개월, 터키의 쿠데다 실패 직후 1주일 경과한 시점에서 신흥국 시장은 안정적 흐름.
▶ 주식시장에서 연초 이후 MSCI 신흥국 지수는 9.7% 올라 세계지수의 상승률 2.6%를 상회
ㅇ 신흥국 통화가치도 상승하는 가운데 JP 모건의 EMBI(Emerging Market Bond Index) 글로벌 채권지수 수익률은
12.5%, 현지 통화 기준 GBI-EM(Government Bond Index-Emerging Markets) 지수도 14%에 근접
ㅇ 신흥국 시장이 호조를 보이는 이유는 성장세 호전 기대가 반영되었기 때문.
▶ IMF는 신흥국이 아닌 선진국의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
▶ 자산운용사인 NN Investment Partners는 신흥국 성장 지표가 2014년 이후 플러스로 전환되었다고 지적
ㅇ 신흥국을 둘러싼 리스크는 상존하나 우려 사항이었던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는 완만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높은 부채문제도 투자자에게 위협 요인에 한정되어 신흥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 중남미, 통화약세에도 수출증대 효과는 미흡(FT)
ㅇ 2014년 원자재 가격 버블이 붕괴된 이후 중남미 국가의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는 가파른 하락세
(아르헨티나 페소 67%, 브라질 헤알 40%, 콜롬비아 페소 40% 등).
▶ 이에 각국은 통화약세로 수출 증대를 기대했지만, 결과는 불투명한 상황
ㅇ Capital Economics의 Adam Collins, 통화약세 효과로 수출 증가보다 수입 감소가 더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세계무역규모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편.
▶ FT의 107개 신흥국 분석에 따르면, 통화 가치가 달러화 대비 1% 낮아지면 수출은 정체되는 반면
수입이 0.5% 감소
ㅇ 다만 브라질은 무역수지가 개선되었는데, 이는 헤알화가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절하되었고,
기계 및 차량 등 비원자재 비중 확대 등으로 수출을 다각화했기 때문
ㅇ 장기적으로 중남미 국가들은 수출상품 다각화와 통화약세 지속으로 수출경기를 도모할 수 있지만,
사회 기반 시설 및 기술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투자와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