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 국제교류 지원사업 2022년 공모요강 - 공모 분야 -
1. 2022년 지역문화 국제교류 추진지원 2. 2023년 지역문화 국제교류 기획지원 |
□ 사업목적
ㅇ 지역 고유의 다양한 유·무형 자원을 활용한 국제교류사업 발굴 및 지원을 통해 기초지자체 문화예술 콘텐츠의 가치를
국내외로 확산
ㅇ 기초지자체와 지역의 민간 문화예술 단체·기관 간 협업 촉진 및 국제교류 사업역량 강화를 통해 자립적인 국제문화교류
기반 조성
□ 사업개요
사업명
- 국문: 지역문화 국제교류 지원사업
- 영문:Local Culture for International Exchange with Korea(LIN.K)
사업내용 : 공모를 통한 지역 국제문화교류 사업 예산지원 및 전문가 교육·자문 제공
▲ 추진지원 : 2022년 사업추진을 위한 예산 및 전문가 자문 지원
▲ 기획지원 : 2023년 사업추진을 목표로 전문가 교육·자문 및 사업기획 고도화 지원
운영절차
① 공모 및 선정 → ② 협약체결 → ③ 사업 진행(자문) 및 중간·최종평가 → ④ 우수사업 선정(최대 2개) → ⑤ 선정된 우수사업은 차년도 동 사업 공모참여 자격 부여(적합/부적합 별도심사) |
- 2022년 지역문화 국제교류 추진지원
* 협약체결: 진흥원-지자체-사업수행기관 간 3자 협약
- 2023년 지역문화 국제교류 기획지원
① 공모 및 선정 → ② 역량강화 교육 및 사업기획 자문 → ③ 우수사업 선정 → ④ 차년도 사업추진을 위한 사전 준비 예산지원 → ⑤ 차년도 추진지원 공모참여 시 가점 부여 |
주최/주관 : 문화체육관광부/(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공모개요
ㅇ 공 모 명 :2022년 지역문화 국제교류 추진지원 공모
ㅇ 공모기간 : ‘22년 3월 23일(수) ~ 4월 20일(수)
ㅇ 지원대상 : 전국 기초지자체* 및 해당 지자체 내 민간 문화예술 단체·기관
* 제외 대상: ①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② 자치구, 행정시
- 추진지원·기획지원 동시 참여 및 중복 지원 불가
- 기초지자체별 1개 사업만 참여 가능
* 현재까지 동 사업으로 지원받은 적이 없거나, 기 지원받은 후 2년 이상 경과 및 사업내용과 사업수행기관을 변경한 경우
지원 가능
지원 시기 | 2019년 참여 | 2022년부터 지원 가능 |
지자체 | 전북 전주시 | 전북 전주시 가능 |
사업수행기관 | 전주문화재단 | 전주문화재단 외 타 단체·기관 |
교류 콘텐츠 | 마당창극(공연) | 마당창극 외 한지, 식문화 등 |
예)
* 동일 기초지자체 지원 횟수는 사업내용과 수행기관이 변경되더라도 최대 2회로 제한
ㅇ 지원조건
-총사업비 10% 이상 지방비 확보* 지자체 예산지원 확약공문 제출 필수
- 선정 시 진흥원-지자체-수행기관 간 협약체결 필수
* 코로나19 악화를 대비한 비대면전환 계획서 사전제출
ㅇ 선정규모 : 총 7개 내외 사업
- `22년 신규사업 및 `21년 우수사업의 연속지원(최대 2개)
* 우수사업의 연속지원 여부는 별도심사
ㅇ 지원내용 : ▲사업예산(최대 1억)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자문
* 사업예산은 사업 서류심사에서 심사위원의 검토 및 담당자 협의를 통해 최종 확정
* 사업종료 후 최종평가에서 우수사업으로 선정 시, 다음 해 공모 지원자격 부여
구분 | 세부내용 |
사업예산 | 지원 예산 : 최대 1억 이내(총사업비의 90% 이내) * 지자체는 총사업비 10% 이상 부담 필수 지원 항목 : 국제교류 사업기획 및 추진에 필요한 사업비 ① 여 비 : 항공료, 숙박비, 비자발급비, 여행자보험 등 ② 운영비 : 임차료(장소, 차량, 장비), 화물운송료, 홍보비, 콘텐츠제작비, 전문가활용비, 용역비 등 ③ 업무추진비 : 회의비, 간담회비 등 |
전문가 자문 | 사업 착수-운영-평가 단계별 자문 제공 지역문화, 콘텐츠 기획, 국제교류, 홍보·브랜딩 등 분야별 자문 제공 |
ㅇ 접수방법 : e나라도움 접수
ㅇ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지방비 확약공문, 사업계획 증빙자료 등
< 사업 방향(예시) >
구분 | 내용 |
교류 콘텐츠 | 지역 고유의 유·무형 자원과 문화가 반영된 콘텐츠 - 경기도 안산의 단원 김홍도 작품을 활용한 전시 - 충청남도 서천의 전통문화유산을 활용한 창작공연 - 전라남도 담양의 문화플랫폼을 활용한 공간기반 교류
지역문화 특화사업(문화도시, 지역브랜드 등) 연계 콘텐츠 - 경기도 광명의 업사이클 작품을 활용한 교류 |
해외 교류지역 | 수교기념 주요 국가 - (예) 베트남, 멕시코, 카자흐스탄, 중국, 미국, 오스트리아 등 교류 콘텐츠와의 유사점을 갖는 도시 - 사진문화 공통점을 가진 한국 영월-일본 히가시카와 교류 지자체의 자매·우호·협력도시 기존의 교류내역이 있는 도시(상대국 초청 등) - 국제음악페스티벌 우승을 계기로 한 상대국의 교류제안 |
교류 형태 및 방식 | 공연(음악, 무용, 연극 등), 전시(회화, 공예, 디자인 등), 워크숍, 전문가 세미나, 레지던시, 공동창작물 제작 등 제한 없음 해외기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쌍방향 교류사업 - 일회적 공연, 국내 작품의 단순 해외전시 등 행사성 사업 불가 대면·비대면 방식 모두 가능 - 대면 사업은 코로나19 악화를 대비하여 비대면 방식 활용 대안 사업계획 제출 필수 |
□ 심사개요
ㅇ 심사절차 : ▲1차 서류심사 ▲2차 발표심사
- 1차 서류심사 : 접수서류 심사, 1.5배수 선발
- 2차 발표심사 : 사업담당자 PT 발표(5분) 및 질의응답(10분)
ㅇ 심사위원 : 전문가 심사위원 3~4인
평가항목 | 내 용 |
사업계획의 우수성 | ∘ 사업 콘텐츠 및 교류 프로그램의 우수성 |
네트워크 역량 | ∘ 해외 교류지역 협력 및 협업 정도 |
사업수행 역량 | ∘ 사업수행 및 관리 역량(성과, 리스크, 홍보) |
지속가능성 | ∘ 중장기적 계획을 통한 사업의 지속가능성 |
ㅇ 심사기준 : 사업 우수성, 사업 적합성 등 평가
□ 주요일정
ㅇ 주요일정 ※ 추진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구분 | 일정 | 내용 | 비고 |
공모 접수 | 3. 23.(수) ~ 4. 20.(수) | e나라도움 접수 | 기한 후 접수 불가 |
서류심사 | 5월 1주 | 서류심사 결과발표 | 1.5배수 선발 |
발표심사 | 5월 3주 | 발표심사 결과발표 | 7팀 내외 |
협약체결 | 5월 | 진흥원-지자체-수행기관 간 협약체결 | - |
오리엔테이션 | 5월 | 사업 오리엔테이션 - 사업운영 및 예산집행 지침 안내 - 국제문화교류 우수사례 발표 | - |
사업추진 | 6월~11월 | 국제문화교류 사업추진 | - |
중간평가 및 전문가 자문 | 사업별 상이 | 중간평가 및 전문가 자문 현장모니터링 | - |
성과공유회 및 최종평가 | 11월~12월 | 사업별 성과 공유 및 최종평가 | 우수사업 선발 (최대 2개) |
정산 | 12월 | 정산 및 결과보고 | - |
※ 유의사항 ▪ 심사 제외 대상 - 필수 제출 서류(지방비 확약서 등) 누락 및 보완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 - 제출서류 내용 중 허위사실을 기재한 경우 ▪ 공모 선정 취소 및 협약 해지 대상 - 사업 최종 예산 협의가 불가능한 경우 - 사업 선정 이후 사업계획이 현저히 변경·축소될 경우 ▪ 국고보조금 지급 관련 - 지원예산 확정 및 협약 후 전체 지원금의 최대 70%까지 선교부, 중간평가 및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잔여 지원금 지급 결정 - 최종 선정된 사업수행기관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및 「문화체육관광부 국고보조금 운영관리 지침」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함 ▪ 선정 이후에 사업을 중도 포기할 시, 향후 3년간 동 사업에 지원이 불가하며 진흥원에서진행하는 기타 지원사업에 참여 제한 및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 공모개요
ㅇ 공 모명 :2023년 지역문화 국제교류 기획지원 공모
ㅇ 공모기간 : ‘22년 3월 23일(수) ~ 4월 20일(수)
ㅇ 지원대상 : 전국 기초지자체* 및 해당 지자체 내 민간 문화예술 단체·기관
* 제외 대상: ①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② 자치구, 행정시
- 추진지원·기획지원 동시 참여 및 중복 지원 불가
- ’20~‘21년 기획지원 참여 지자체 및 문화예술 단체 지원 불가
- 추진지원 기 참여 지자체 및 문화예술 단체 지원 불가
- 기초지자체별 1개 사업만 참여 가능
ㅇ 지원조건
- 기초지자체와 지역 내 민간단체 협력을 기반으로 한‘23년 추진 예정의 국제문화교류 사업 기획서 제출
ㅇ 선정규모 : 총 3개 내외 사업
ㅇ 지원내용
- 우수한 지역 문화자원의 콘텐츠화 및 국제문화교류 사업화를 위한 교육(8주) 및 자문 지원
- ‘23년 추진 예정인 국제문화교류 사업기획안 완성 및 고도화 지원
- 우수 기획사업으로 선정 시 차년도 추진지원 사업공모 시 가점 부여 및 사업 준비를 위한 최대 5백만 원 지원* 예산 추가 필요시 자부담 가능
지원 국제문화교류 사업 예시 - 지자체·민간 네트워크를 활용한 신규사업 기획력을 높이고자 하는 단체·기관 - 지역 원천 문화자원의 콘텐츠화·국제교류 사업화를 위한 교육 및 지원이 필요한 단체·기관 - 기초지자체 내 민간단체·기관이 추진해 온 국제문화교류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고 싶은 단체·기관 - 기존의 기초지자체 협력·자매도시 대상 문화교류 사업방식과 프로그램 개선을 원하는 단체·기관 |
ㅇ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lin.k@kofice.or.kr)
ㅇ 제출서류 : 공모신청서,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 참고자료 등
□ 심사개요
ㅇ 심사절차 : 서류심사
ㅇ 심사위원 : 전문가 심사위원 3~4인
ㅇ 심사기준 : 사업화 가능성, 사업 적합성 등 평가
평가항목 | 내 용 |
사업화 가능성 | ∘ 지역 콘텐츠 활용한 국제문화교류 사업화 가능성 |
사업 적합성 | ∘ 국제문화교류 사업 적합성 |
사업 수행역량 | ∘ 사업 관리체계 보유 및 사업추진 안정성 |
의지 및 목표 | ∘ 사업추진 의지 및 목표 |
자문의 필요성 | ∘ 사업기획을 위한 자문계획 및 필요성 |
□ 주요일정
ㅇ 주요일정 ※ 추진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구분 | 일정 | 내용 | 비고 |
공모 접수 | 3. 23.(수) ~ 4. 20.(수) | 이메일 접수 | 마감 후 제출 시 심사 제외 |
심사 및 발표 | 5월 1주 | 심사 결과발표 | 3팀 내외 |
역량강화 교육 | 6월~7월 주 1회 (총 8주) | 지역 콘텐츠 활용 국제문화교류 프로그램 기획 역량 강화 국제교류 사업기획안 작성요령 우수사업 사례 및 추진 노하우 해외 교류파트너 모색 방안 쌍방향 문화교류 프로그램 구체화 및 고도화 사업 브랜딩 및 홍보·마케팅 방안 등 ※ 세부 일정 및 프로그램 추후 개별안내 | 온·오프라인 병행 |
사업계획 고도화 자문 | 6월~7월 상시 | 사업 단계별·분야별 전문 자문 및 피드백 참여 기관 희망 자문내용에 맞는 맞춤형 밀착 자문 사업기획안 보완 및 개선, 발전방안 제시 | 대면·비대면 자문 제공 (필요시 현장방문) |
우수기획 선정 | 7월~8월 | 최종 사업계획서 심사를 통해 우수기획 선정 | 최대 1개 |
우수사업 추진 | 8월~11월 | ‘23년 사업추진을 위한 사전 준비 예산지원 | 우수기획 대상 |
정산 | 12월 | 정산 및 결과보고 |
※ 유의사항 ▪ 심사 제외 대상 - 필수 제출서류 누락 및 보완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 - 제출서류 내용 중 허위사실을 기재한 경우 ▪ 공모 선정 취소 대상 - 사업 선정 이후 사업계획이 현저히 변경·축소될 경우 ▪ 국고보조금 지급 관련 - 최종 선정된 사업수행기관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및 「문화체육관광부 국고보조금 운영관리 지침」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함 ▪ 선정 이후에 사업을 중도 포기할 시, 향후 3년간 동 사업에 지원이 불가하며 진흥원에서 진행하는 기타 지원사업에 참여 제한 및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
출처 : 영월군
바로가기 : 대표홈페이지 - 타기관소식 상세보기 (y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