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년 桂 延 寺 編 纂 )중 要 約
가.三聖記(신라때의 안함노,원훈중 撰)
(1) 人類의 祖上 나반과 아만이 아이시타(바이칼호부근)에서 만나 婚禮를 치룸. 구환의 무리가 그의 後孫이다.
(2) 不咸山 밑에 하님 나라가 있으니 천해(바이칼호)동쪽 땅이다.
.天帝 桓因(또는 안사현)이 다스리는 단국은 南北이 5萬里요,東西가 2萬里의 大國
.12단국으로 나누어 다스렸으니,비리국,양운국,구만한국,구다처국,일군국,우루국,객현한국,구모액국,매구여국,사납이국,선비국,수밀이국등 12국이다.
.한임(환인)→혁서한임→고시리한임→주우양한임→석제한임→구을리한임→지위리한임 등 7대 3301년간 統治
(3) 韓國의 末期에 안사현이 삼급(돈황의 삼위산)와 太白(白頭山)을 내려다보시며 [모두 가히 弘益人間할 곳이로다.]하여 환웅에게 天符印 새개를 내려주시고,무리 3000을 이끌고 나라를 세우게 함.
(4) 때에 반고(반호라고도 함)라는 자가 있어 나누어 살기를 請함.
.財物,寶物을 꾸리고 십간십이지의 神將을 이끌고,공고,유소,流水와 함께 삼위산의 라림동굴에 이르러 君主가 됨.
.이를 제견이라 하고 반고하간이라 부름.
(5) 환웅은 太白山 신단수 밑에 내려오셔 神市를 베풀고 天王이라 함. .풍백,우사,운사 : 五事를 主觀토록 함.
.五事 : 牛加는 農事를 主觀하고,馬加는 목숨을 主觀하고,狗加는 刑罰을 主觀하고,猪加는 병을 主觀하고,羊加는(혹은 鷄加)는 善惡을 관장함.
.환웅천왕 : 天經과 神話를 가르침.
.九桓은 모두 三神을 한 뿌리의 祖上을 삼고 蘇塗를 管理하고 管境을 管理하여 벌을 다스리는 것을 화백하였다.
.곰무리와 범무리의 反目 : 곰무리부족을 받아들여 아들을 낳고 産業을 갖게함.범무리는 不服하였으므로 四海로 내쫓음.
(6) 갈고환웅이 나서서 염제신동과 나라의 境界를 定함.
(7) 자오지환웅(치우천황): 黃帝 현원과 싸워 탁록에서 사로잡아 臣下로 삼고 吳장군을 보내 서쪽으로 제곡고신을 쳐 공을 세움.
(8) 한때 天下가 셋으로 나뉘어 對置
.탁의 북쪽에 대효(요임금),동쪽에 창힐,서쪽에 황제현원.
.현원은 치우와 대결키 爲해 대효,창힐과 聯合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이는 두나라가 모두 치우와 한무리였기 때문임.
(9) 환웅시대는 18세에 걸쳐 1565년동안 統治.
(10) 神市 曆代記
1세: 환웅천왕,거발한 在位: 94년, 120세
2세: 거불리환웅, 在位: 86년, 102세
3세: 우야고환웅, 在位: 99년, 135세
4세: 모사라환웅, 在位: 107년, 129세
5세: 태우의환웅, 在位: 93년, 115세
6세: 다의발환웅, 在位: 98년, 110세
7세: 거련 환웅, 在位: 81년, 140세
8세: 안부련환웅, 在位: 73년, 94세
9세: 양운 환웅, 在位: 96년, 139세
10세: 갈고 환웅, 在位: 100년, 125세 (독로한이라고도 함)
11세: 거야발환웅, 在位: 92년, 149세
12세: 주무신환웅, 在位: 105년, 123세
13세: 사와라환웅, 在位: 67년, 100세
14세: 자오지환웅, 在位: 109년, 151세(치우천왕,청구국으로 옮김)
15세: 치액특환웅, 在位: 89년, 118세
16세: 축다리환웅, 在位: 56년, 99세
17세: 혁다세환웅, 在位: 72년, 97세
18세: 거불단환웅, 在位: 48년, 82세
(단웅천왕)
⊙흑수와 백산사이에 내려와 사람이 모여사는 곳 : 청구
나.檀君世記(행촌 이암 선.고려말 사람,1363년 작)
(1) 왕검의 부는 환웅이시고,모는 태씨의 王女,신묘년(BC 2370) 5월 2일 인시에 박달나무에서 태어남.
(2) 무진(BC 2333)년 아사달에서 帝位,단군왕검,帝位 93년 130세
.팽우에게 命하여 땅을 開拓,成造에게 命하여 宮室 축조,
고실에게는 농사짖는 법을,신지에게는 글자를 만들게 하고,奇者에게 醫藥을 베풀게하고,방을에게는 戶籍을 管理토록하고,의에게는 점치는 일을 관장케하고,우에게는 軍隊를 관장케 함.
.비서갑 하백녀와 結婚: 누에치기를 다스리게 함.
.정사 50년(BC 2284): 큰 洪水,풍백인 팽우에게 물을 다스리게 함
.무오 51년(BC 2283): 혈구에 삼랑성을 짓고 마니산에 금천단 쌓음
.갑술 67년(BC 2267): 太子 부루를 시켜 유주와 영주를 領土化
- 옛 요임금이 12주의 하나,기주,하북성일대
(3) 2세 檀君 부루 在位 58년 (BC 2240 ∼)
.머리카락 땋고,푸른 옷 입게 함,쌀되,저울 統一,베,모시 市場價格 형성
.밭을 나누고 밭문서 作成,七回曆과 邱井圖 作成
(4) 3세 檀君 가륵 在位 45년 (BC 2182 ∼
.三六大禮法 제정
.正音 38자 만듬
.고글에게 命하여 倍達留記 편수케 함.
(5) 4세 檀君 오사구 在位 38년 (BC 2137 년)
.몽고리한으로 봉함: 지금의 蒙古族이 그의 後孫
.人蔘을 採取케하고,조개껍질로 돈을 만듬
.배만드는 곳을 살수의 上流에 設置함
(6) 5세 檀君 구을 在位 38년 (BC 2099 ∼
지금으로 육천갑자를 使用하여 책력을 만듬
.정축 16년 (BC 2084 ∼): 장당경에 行次 三神의 단을 쌓고 환화를 심다.
(7) 6세 檀君 달믄 在位 36년 (BC 2083)
.五訓,五事,五敎를 지키도록 함
.오훈: 이맥이“太白일사”의 桓國本紀에
一日誠信不爲: 誠實하고 信義있어 속이지 않으며
二日警動不怠: 恭敬하고 行함에 게으르지 않고
三日孝順不違: 孝道하고 順從함에 違背됨이 없고
四日廉義不淫: 廉恥있고 義理있어 음란치 않고
五日謙和不聞: 謙遜하고 화목하여 다투지 않는다.
.오교: 충,효,신,용,인 (나중에 花郞 오계의 根源이 아닌가 한다.)
(8) 7세 檀君 한율 在位 54년 (BC 2047 ∼)
(9) 8세 檀君 우서한(혹은 오사함)在位 8년(BC 1993 ∼)
.이십분지일을 稅金으로 내는 법을 定함
.신해 4년 몰래 하나라 政勢를 살피고 돌아와 官制를 고침.
(10) 9세 檀君 아술 在位 35년 (BC 1985 ∼)
(11) 10세 檀君 노을 在位 59년 (BC 1950 ∼)
.을미 5년: 궁문밖에 新原木을 設置,百姓들의 抑鬱한 事情을 들음
.을축 35년: 監星(一種의 天文臺) 設置
(12) 12세 檀君 도해 在位 57년 (BC 1891 ∼)
.오가에 命하여 12名山중 가장 뛰어난 곳에 國仙의 소도를 設置
花郞의 集會所,환웅의 상을 모시고 祭祀: 雄常이라 부름
.정묘 38년: 百姓들 중 壯丁을 뽑아 모두 兵士로 삼음.
.을해 46년: 송화강 기슭에 官廳을 세움,死刑制度 廢止
(12) 12세 檀君 아한 在位 52년 (BC 1834 ∼)
.무자 2년: 요하 남쪽에 유수관경의 비를 세워 역대王 記錄
.을묘 20년: 청아의 욕살: 비신, 서옥저의 욕살: 고사침, 맥성의 욕살: 돌개를 對하여 왕으로 삼음
(14) 13세 檀君 흘달(혹은 대음달) 在位 61년 (BC 1782 ∼)
.갑오 16년: 주와 현을 나누어 定하고 職責의 限界를 定함
- 은 탕왕이 하나라 征伐,하나라 요왕이 구원을 요청
- 읍차인 말량이 파병하였으나 탕왕의 요청으로 復歸시킴
- 신지인 간량을 派遣,낙랑과 합쳐 지격: 觀衆의 빈,기 땅에 주둔
.武術 20년: 소도를 많이 設置하여 未婚의 子弟 글읽고 활 쏘기 硏磨
國子郞 또는 天指花郞이라고도 부름.
(15) 14세 檀君 고불 在位 80년 (BC 1721 ∼)
.을해 56년: 管理를 四方에 보내 戶口調査: 1억 8千萬名
(中國大陸+滿洲大陸+蒙古+한반도의 人口일 것이다.)
(16) 15세 檀君 대음(혹은 후흘달) 在位 51년 (BC 1660 ∼)
.競進 元年: 은나라 왕 小甲이 使臣을 보내와 和親
.신사 2년: 양운국,수밀이국,使臣이 와서 特産物을 바침
.기축 10년: 신지 우속에게 命하여 金,鐵,油 등 採取
.精米 28년: 太白山에 碑石을 세워 역대왕의 이름 및 공적을 세김 (17) 16세 檀君 위나 在位 58년 (BC 1610 년)
.구한의 여러 汗들이 영고탑에 모여 三神과 상제에게 祭祀
- 한인,환웅,칭우 및 단군왕검 모심
.마당 밟기 行事
(18) 17세 檀君 여을 在位 68년 (BC 1552 ∼)
(19) 18세 檀君 동업 在位 48년 (BC 1484 ∼)
(20) 19세 檀君 구모소 在位 55년 (BC 1435 ∼)
.기미 54년: 지리숙이 주천역과 팔괘상중논을 짓다.
(21) 20세 檀君 고흘 在位 43년 (BC 1380 ∼)
. 병신 36년: 영고탑을 改築하고 別宮을 지음
.경자 40년: 홍공인 貢物이 구환의 地圖製作
(22) 21세 檀君 소태 在位 52년 (BC 1337 ∼)
.은왕 무정이 색도 영지등의 나라를 侵攻하였으나 大敗: 조공바침
.임진 49년: 개사원의 욕살 고등이 몰래 軍士를 일으킴,우현왕으로 대해줄 것을 요청 許諾함,고등이 죽자 孫子 색불투가 왕이 됨.
.을미 52년: 단제는 帝位를 서정여에게 양위하고자 했으나,우현왕이 反對,쳐들어와 부여의 신궁에서 卽位.
(23) 22세 檀君 색불투 在位 48년 (BC 1285 ∼)
.은과 싸워 서울을 擊破,變한 百姓들을 회대땅으로 移住시킴.
(24) 23세 檀君 아흘 在位 76년 (BC 1237 ∼)
.갑신원년: 叔父 高不可에게 命하여 낙랑골을 統治토록 함.
.을유 2년: 남국의 왕 금위가 청구의 임금,구려의 임금과 주개에서 會合하고,몽고리의 兵力을 합쳐 은나라 攻擊,회대 땅 평정
(25) 24세 檀君 연나 在位 11년 (BC 1161 ∼)
(26) 25세 檀君 솔나 在位 88년 (BC 1150 ∼)
.정해 37년: 모자는 서화에 옮겨가 있으면서 人事받는 일도 사절.
.정유 47년: 전해오는 의례를 講論,영신과 직신에 對해 물음.
삼랑홍설성이 答하기를
1)직신: 理致를 지켜 굽히지 않는 자.
2)영신: 威勢를 두려워하여 굽혀 복종하는 자.
(27) 26세 檀君 추로 在位 65년 (BC 1062 ∼)
(28) 27세 檀君 두밀 在位 26년 (BC 997∼)
(29) 28세 檀君 헤모 在位 28년 (BC 971∼)
(30) 29세 檀君 마휴 在位 34년 (BC 943∼)
(31) 30세 檀君 내휴 在位 35년 (BC 910∼)
(32) 31세 檀君 등을 在位 30년 (BC 849∼)
(33) 32세 檀君 추밀 在位 30년 (BC 849∼)
.계해 12년: 초나라 대부 이문기 조정에 들어와 벼슬
(34) 33세 檀君 감물 在位 24년 (BC 819∼)
.무자 7년: 영고탑 서문밖 구물산 밑에 삼성사를 세워 祭祀.
(35) 34세 檀君 오루문 在位 23년 (BC 795∼)
.병오 元年: 도리가
(36) 35세 檀君 사벌 在位 68년 (BC 772∼)
.무오 50년: 將軍 언파불합을 보내 바다의 웅습(규우슈)을 평정.
.갑술 66년: 조을을 派遣하여 연나라 서울을 突破하고,제나라 軍士와 임치의 남쪽에서 싸워 勝利
(37) 36세 檀君 매륵 在位 58년 (BC 704∼)
.갑인 38년: 협야후 배반명을 派遣하여 바다의 盜賊을 討伐 삼도(日本) 평정.
(38) 37세 檀君 마물 在位 56년 (BC 646∼)
(39) 38세 檀君 다물 在位 45년 (BC 590∼)
(40) 39세 檀君 두흘 在位 36년 (BC 545∼)
(41) 40세 檀君 달음 在位 18년 (BC 509∼)
(42) 41세 檀君 음차 在位 20년 (BC 491∼)
(43) 42세 檀君 을우지 在位 10년 (BC 471∼)
(44) 43세 檀君 물리 在位 36년 (BC 461∼)
.을묘 36년: 융안의 사냥꾼 우화충이 수만의 무리로 西北 36군 陷落
- 단제: 兵力을 派遣했으나 敗北 오히려 도성이 包圍됨.
배를 타고 해두로 避難 후 돌아가심
- 백민성의 욕살 구물이 軍隊를 일으켜 장당결 占領.
(45) 44세 檀君 구물 在位 29년 (BC 425∼)
.병진 元年: 우화충을 征伐,射殺시킴.
.나라 이름을 대부여라 고치고 삼한을 삼조선이라 바꿔부름.
.해성을 改築 平壤이라 부르고 離宮 축조
.정사 2년: 예관을 청하여 삼신영고의 제사를 지냄
(46) 45세 檀君 여루 在位 55년 (BC 396∼)
.병진 32년: 연나라 배도가 쳐들어와 요서 陷落,변조선 大將軍 우분언에게 이를 막게 하고,진조선,막조선도 軍隊를 派遣.
연,제나라 軍士를 오도하에서 쳐부수고 요서의 땅 회복.
.신미 47년: 북막의 酋長 액니거길이 조정에 와서 함께 연을 칠것을 請함.번조선의 장구 신불사로 하여금 合勢攻擊토록하여 연나라 상 奪取.
(47) 46세 檀君 보을 在位 46년 (BC 341∼)
.경진 元年: 번조선 왕 선인이 보낸 刺客에게 殺害됨.
.무술 19년: 읍차 기후가 兵力을 이끌고 와서 번조선 왕이 되길 請함. 윤허하고 연 侵攻에 對備토록 함.
.을축 46년: 한개가 수유의 軍隊를 이끌고 宮闕 侵犯,스스로 왕이 되려하니,大將軍 고열가(단군물링의 後孫)가 義兵을 일으켜 이를 쳐부숨.
(48) 47세 檀君 고열가 在位 58년 (BC 295∼)
.계축 48년: 북막의 酋長 아리당부가 軍士를 내어 연나라를 征伐토록 요청하였으나,허락치 않음.
.임술 57년: 해모수가 웅심산을 내려와 軍隊를 일으켰는데 그의 先祖는 고리국 사람이었다.
.계해 58년: 스스로 양위,入山修道,오가가 함께 다스리길 6년
.이보다 앞서 종실의 대해모수는 몰래 수유와 約束하고 백악산을 襲擊 占領,천와랑이라 稱함.
수유후 기비를 권하여 번조선 왕으로 삼고 나아가 운장을 지키게 함.
.대저 북부여의 일어남이 이에서 始作됨.
.高句麗는 해모수가 태어난 故鄕.
다.北夫餘記(休崖居士 범장 선 고려말 學者)
(1) 始祖 檀君 해모수 在位 45년 (BC 239∼)
.천왕랑,47세 檀君 고열가 57년 임술 4월8일,웅심산에 都邑
.계해 2년: 연호의 법을 制定, 五加의 兵力을 나누어 配置
.기사 8년: 옛 都邑의 오가들을 懷柔 →檀君으로 卽位
.경진 19년: 기비가 죽으니 아들 모준을 번조선 왕으로 봉함.
연장수 태개파건 우리의 서쪽 侵略: 만번한에 이르러 國境 삼음.
.신사 20년: 백약산 아사달에 천안궁 建築
.임진 31년: 진승이 軍隊를 일으키니 진나라가 크게 어지러움.
연,제,조나라 사람 수만명 歸順: 번조선 상하의 운장에 살게 함
.기해 38년: 연나라 노관이 요동의 옛 성터수리,동쪽은 패수를 境界로 삼음,패수는 곧 오늘의 난하다.
.병오 45년: 연나라 노관이 漢을 背反하고 흉노로 亡命.
그의 무리인 위만이 亡命 요청하였으나 허락치 않음,단제병으로 苦生 번조선 왕 모준이 크게 失手하여 위만을 박사로 모시고 상하운장을 떼어서 위만에게 봉함.
(2) 2세 檀君 모수리 在位 25년 (BC 194∼)
.정미 元年: 번조선 왕은 수유에 있으면서 호사,위만에게 敗하여 망함.五加의 무리들은 大將軍 卓을 받들어 월지에 이르러 나라를 세움.→中馬韓이라 부름.
.무신 2년: 上將 연타발을 派遣 平壤에 성책구축,위만은 재침 못함.
.기유 3년: 해성을 평양도에 屬하게 하고,皇帝의 弟 고진을 시켜 守備.
10월에 경향분수의 법을 세움: 서울 도성은 天王이 直接 總括.
네갈래로 나누어 軍隊 駐屯.
(3) 3세 檀君 고해사 在位 49년 (BC 169∼)
.임신 元年: 낙랑왕 최숭이 곡식 300 섬을 해성에 바침.
.계축 42년: 위만을 남여성에서 쳐부숨.
(4) 4세 檀君 고우루(혹은 해우루) 在位 34년 (BC 120∼)
.신유 元年: 장수를 보내 右渠를 토벌하였으나 이로움은 없었다.
고진을 발탁 서압록을 守備토록 함: 高句麗후에 봉함.
.계해3년∼갑자4년: 우거와의 싸움.이기지 못함.
.계유 13년: 漢의 유철(武帝)이 평나를 擄掠질하여 우거를 滅亡시킴.
서군設置를 爲해 西方으로 侵略,고두막한이 義兵을 일으켜 漢의 侵略軍을 연파시킴.
.갑오 34년: 동명왕은 고두막한에게 사람을 보내어 “나는 천제의 아들인데,이곳에 都邑을 定하고져하니 옮겨가라.”하므로 단제는 매우 難處해짐,단제는 병을 얻어 붕어하고,동생 해부루가 卽位
→國喪 아란불이 “통하의 불가 가섭의 벌판에 땅이 있는데 기름지다”하여 도성을 옮기고 이를 가섭원부여 또는 東부여라 함.
(5) 5세 檀君 고두막(혹은 두루막) 在位 22년,再在位 27년
.계유 元年(BC 108): 이해는 檀君 고우루 13년이다.
帝는 북부여의 衰弱,漢의 旺盛해짐을 분연히 일어나 졸본에서 卽位하고 스스로 동명이라 함.고열가의 後孫이라고도 함.
.을해 3년: 5000명의 무리를 이끌고 한을 물리침,고려하를 건너 요동의 서안평에 이르니,바로 옛 구리국의 땅임.
.을미 23년: 北부여가 성읍을 들어 降伏,해부루를 諸候로 삼고 북부여 系統을 이어 받음.
.임인 30년: 5월5일 고주몽이 분능(동부여)에서 태어남.
.신유 49년: 帝가 붕어 졸본천에 장사지냄.
(6) 6세 檀君 고무서 在位 2년 (BC 59 ∼)
.임술 元年: 졸본천에서 卽位,소해모수라 稱함.
이때 한나라군이 요하 왼쪽에서 侵略,싸워 勝利
.帝는 아들이 없어 딸을 주몽에게 시집보냄.
부여인이 주몽을 죽이려 하매,오이,마리,협보와함께 분릉수를 건너 逃亡.
라.迦葉原夫餘(동부여)記 (휴애거사 범장 찬)
(1) 始祖 해부루 在位 39년 (BC 86 ∼)
.을미 元年(BC 86): 왕은 북부여(동명)의 制約을 받아 가섭원 또는 분능으로 옮겨 都邑을 定함.
.임인 8년: 하벡녀 유화부인이 나들이 중 부여의 황손 고모수와 關係하여 주몽을 낳음.고모수는 本名이 불리지이며,혹은 고진의 孫子라고도 함.
.갑진 10년: 왕은 후사가 없어 山川에 祭祀지내고 곤연에 이르자,말이 큰 돌을 보고 눈물을 흘려,돌을 치우니 어린애가 있었는데 개구리상이라,금와라 이름 지음.
바.太白일사(이맥[맥]편선,이조 중종때 사람)
(1) 三神五帝記
.表訓五帝記
1) 상계에 三神이 계셨으니,主體는 一神(上帝)이요,쓰임은 곧 三神이다.三神은 世上을 創造하고,五帝의 使命을 주관하는바,이를 天下大將軍,地下에 두루 있으면서 五靈을 이룸을 主管하는바,이를 地下女將軍이라 함.
2) 三神: 天一:創造主管,地一:敎化主管,太一:治化主管
3) 五帝: 黑帝:生命을 다함을 主管. 赤帝:빛과열을 主管
白帝:成熟을 主管. 黃帝:調和를 主管.
靑帝:낳아 기름을 主管.
4) 五靈: 太水:크고 潤澤하게 하며, 太火:녹이고 익히며,
太木:지어 이루고, 太金:재량하여 자르며,
太土:씨뿌림을 主管함.
.大辯經에
1) 天一의 神께서 三代와 三圓과 三一을 가지고 이를 靈符로 하여 世上의 모든 사람에게 내리시니 一切는 三神께서 만드신 바다.
2) 사람과 事物이 생겨남은 다같이 그 참된 根源을 <하나>로 한다.
性,命,精을 三關이라 하며,關을 守神의 要會라 한다.
心,氣,身을 三房이라 하고,成化의 根源이라 한다.
3) 感,息,觸을 三門이라 하고,門은 行途의 常法이라 한다.
4) 性을 眞理의 眞理의 關이라하고, 心은 眞神의 玄房으로하고, 感을 眞應의 妙問으로 한다. 이를 探究하고 性 依해 眞機를 크게 發하나니 身을 分明히하고 心을 救한다면 眞神은 크게 나타나 회응하여 감은하고 眞業을 크게 이룰 것이다.
5) 사람과 物件은 三眞을 받았으나,땅에 昏迷하여 三妄이 뿌리를 내리고 眞과 妄이 어울려 三途를 이룬다.
①어버이의 도는 하늘을 模範삼나니,참됨으로써 하나같이 거짓없고
②스승의 도는 땅을 模範으로 하나니,부지런함으로써 하나같이 게으르지 않고
③다스림의 도는 사람을 模範삼나니,協力함으로써 하나같이 어김이 없다.
.五帝說에
1) 北方의 司命을 太水,그의 다스림은 黑,그의 號:玄妙眞元
그를 補佐함을 한인이라 함.蘇留의 하늘에 계시며 이를 大吉佯이라 함.
2) 東方의 司命을 太木,그의 다스림은 赤 그의 號:同仁好生
그를 補佐함을 大雄이라하며,태평의 하늘에 있으니 이를 大光明이라 함.
3) 남방의 司命을 太火,그의 다스림은 赤,그의 호:盛光普命
그를 補佐함을 疱犧,元精의 하늘에 있으니 이를 大安定이라 함
4) 西方의 司命을 太金,그의 다스림은 白,그의 호:淸淨堅虛
그를 補佐함을 治尤,鉤和의 하늘에 있으며 이를 大喜利라 함.
5) 중방의 司命을 太土,그의 다스림은 黃,그의 호:中傷水球
그를 補佐함을 王儉,安德의 하늘에 있으며 이를 大豫樂일 함.
6) 五方에 司命이 있으니 하늘에는 帝,땅에는 大將軍이라 함.
.오방을 살피고 監督하는 자를 天下大將軍,地下를 살피고 監督하는 자를 地下女將軍이라 함.
.龍王玄龜는 善惡을 主管,朱鵲赤慓는 목숨을 主管,靑龍靈山은 穀食을 主管,白虎兵身은 刑罰을 主管,黃態女身은 病을 主管.
7) 人類의 祖上은 나반과 아만이며,처음 만난곳을 아이시타라 한다
長久한 세월뒤 帝 환인이란 분이 나타나셔서 安巴堅 또는 居發桓이라 推戴됨.桓國이라 함.
8) 蘇途가 서면 戒가 있나니 忠,孝,信,勇,仁의 五常의 길이다.
9) 三老를 모셨고 六正(賢佑,忠臣,良將,勇卒,名師,德友)이 있었다.
10) 源花는 女郞을 말하고,男子를 花郞 또는 天王郞이라 함.
(2) 檀國本記
.天海의 동쪽 파나류산 밑에 환인이 南北 5萬里 東西 2萬里 桓國統治
.12국으로 나누어 다스리고 7대 3301년에 이르고 혹은 63, 182 년이라고도 함.
.환국에 五訓이 있으며,神市에 五事가 있음.
(3) 神市本記
.朝代記에
1) 안파현이 환웅에게 天符印 3개와 무리 3000을 주어 신시를 펴게함.
2) 態女와 關係 檀君을 낳음.
3) 단군왕검은 都邑을 아사달에 定함 (지금의 송화강), 처음으로 나라를 稱하사 朝鮮三韓이라 하니, 고리, 시라, 고례, 南北의 옥저. 東北의 부여,예,맥은 모두 그의 管境이다.
4) 5대 태우의 맏아들 다의발환웅,막내를 태호 또는 복희씨라 한다.
.震域留記의 神市記에
1) 환웅천왕은 高失禮에 命하여 먹여 살리는 業務擔當.
신지∼적덕에게 命하여 文字를 만들어 쓰게함.풍백 역시라를 시켜 새,짐승,벌레,물고기의 害를 除去.
2) 우사 왕선당을 시켜 사람 살곳을 만들게 하고,牧畜하는 方法을 관장,운사 육고비로 하여금 男女의 婚禮法을 定하게 함.
치우는 兵馬盜賊을 관장케 함.
.大辯經에
1) 복희는 신시로부터 나와 우사가 됨.여화는 복희의 制度를 이어받다.주양은 옛문자에 依하여 처음으로 六書를 傳했다.
2) 神農은 列山에서 일어남.신농은 소전의 아들,소전은 소호와 함께 모두 고시씨의 傍系이다.
3) 치우천황은 유망의 政權을 征伐함.黃帝軒猿과 10년동안 73회 싸워 한번도 패한적이 없음.
4) 치우의 陵은 산동성 수장현 관향성에 있다함.
5) 신시개천 18세 1565년 흘러 단군왕검이 나셨다.
(4) 三韓管境 本記
.마한세가 上
1) 단군왕검은 天下를 평정하고 삼한으로 나누어 관경을 만드시고 태백다를 封하여 마한이라 함.달지국에 都邑,백아강이라고도 함
2) 단군왕검 51년 운사인 배달신에게 命하여 삼랑성을 穴口(강화도)에 쌓고 제천의 단을 마니산에 만듬.
3) 마한은 웅백다 →노덕리 →불여래 →사라문(단군가륵 3년에 卽位) →을불리 →근간지 →을간지 →궁호 →막연 →아화 →사리 →아리 →갈지 → 을아 →두막계 →독로 →아루 →아라사
4) 아라사 즉위년에 高登이 謀反하여 天王에게 抗拒,마한이 討伐코자 하였으나 天王이 고등을 우현왕에 任命하여 철군함.
을미년 天王은 욕살 서우여에게 宣揚코져 하였으나,고등의 孫子 색불루가 대병을 掌握 檀君으로 卽位,마한은 軍士를 整頓 海域에서 싸웠으나 敗北
.마한세가 下
1) 檀君 색불루가 옛날의 진한을 친히 다스리고,여원홍에게 命하여 마한이 되어 막조선 統治케하고,서우여로 하여금 번한을 삼아 번조선을 統治케 함 .
2) 여원홍이 명을 받아 大同江을 掌握하니 역시 왕검성이라 함.
여원홍 →아실 →아도(기묘년에 은나라 망함) →아화 →아사지 →아리유 →소이 →궁물(倭人의 反亂 평정) →동사 →다도 → 사라 →가엽라 →가리 →전방 →진을례 →맹남
.번한세가 上
1) 단군왕검은 치우의 後孫으로 지모가 뛰어나 치두남을 番韓이라 부르고 府를 험독에 세우게 함,지금도 역시 왕검성이라 함.
경자년에 요중에 12성을 쌓았으니 험독,영지,탕지,용도,거용,한성,개평,대방,백제,장령,갈산,여성이 그것이다.
2) 치두남 →낭사 →물길 →愛親 →도무 →호갑 →조라 →이조 → 아술 →자조사 →산신 →계전 →백전 →仲佺 →소전(湯을 도와 夏의 桀을 치게함) →사엄 →루한 →勿駕 →막진 →震丹 →입정 →소밀 →사두막 →갑비 →조립루 →徐市 →안시 →해모라(奚牟羅) →소하
.번한세가 下
1) 檀君 색불루가 삼한을 합쳤다가 나라의 制度를 改革,서우여를 說得하여 번한으로 삼음.
2) 天王은 勅書를 내려 禁八法을 制定함.
① 남을 죽이면 같이 죽여서 다스리고
② 남을 다치게 하면 곡식으로 賠償케하고
③ 남의 것을 盜賊질하면 그 집의 奴婢로 삼고
④ 소도를 毁損케하면 가두어 두며
⑤ 예의를 잃은자는 군에 服務케하며
⑥ 근면하게 노동하지 않는 자는 負役을 시키며
⑦ 淫亂한 行動을 하는 자는 笞刑으로 다스리며
⑧ 詐欺치는 자는 訓戒하여 放免하나 스스로 贖罪하려하면 公表하 여 百姓들이 羞恥스럽게여겨 結婚도 할 수 없었던 듯하다.
3) 서우여 →아락 →율부 →임사 →노단 →마밀 →모불 →을사 →마휴 →등사 →개청 →오문루 →루사 →이벌(왕문이 이두법을 지음) →아인 →마림 →다두 →내이 →차음 →불리 →여을 →엄루 →입위 →술리 →아갑 →고태 →소태이 →마건 →천한 →노물 →도을 →술휴 →사량 →지한 →因한 →서이 →가색 →선인 →수한 →기후 →기욱 →산역(BC 230) →산간 →산부 →산준:정미년(BC 146) 위만의 꼬임에 빠져 敗하고 마침내 바다로 들어가 나오지 않음.
(5) 蘇塗經典本訓
.천부경은 천제 韓國에서 말로만 전해지던 것을 환웅께서 神誌 적덕에게 命하여 鹿圖의 글로 기록한것.최치원은 이를 옛비석에서 보고 이를 岾으로 만들어 世上에 전함.
“一의 始作은 無에서 始作하나,一이란 三極으로 쪼개어도 本은 無盡이니라.天은 一이요,地는 二요,人은 三이라,一에서 積하여 十 으로 커져도 化함에는 不足함이 없느니라.
天에도 二三이 있고,地에도 二三이 있고,人에도 二三이 있나니,大의 三(天一,地二,人三)에 三極이 합쳐서 六이 되니,一二三을 合하면 七,九가 생긴다.運의 三은 四로서 成璟하고,五와 七은 一로써 妙衍하여 萬往하고 萬來해서 用變해도 本은 움직이지 않느니라.本心은 太陽에 본해서 昻明하며,人中에서 天地는 一이라,一의 끝은 無로 끝이나 一이라.”
.三一神誥(366 字)
1) 본디 神市開天의 時代에 나와서 책으로 이루어진 것,하나를 잡아 셋을 包含하고,셋을 모아 하나로 돌아옴의 뜻으로 根本을 삼는다.
天神造化의 根源과 세상사람들과 事物들의 敎化를 詳細히 쓴것.
2) 제1장 虛空(36자)
“虛空은 일로 함께 始作되지만 같지않고,일에서 始作하여 끝나지만,끝을 같이 함이 없다.밖은 虛하고 안은 空한 가운데 恒常 함이 있다.”
3) 제2장 一神(51자)
“일신은 헛 것을 가지고 實在가 나타나서,모든 것을 주재하는 듯하나 三神이 대제로서 실로 공이 있음이라 하였다.”
4) 제3장 天宮(40자)
“천궁은 眞我의 居處하는 곳이라,만가지 착함을 스스로 갖추어 永遠토록 快樂이 있으리라 하였고”
5) 제4장 世界(72자)
“世界의 뭇별은 해에 屬해 있으니,모든 百姓들과 큰인물들이 여기에서 태어난다고라고 함.”
6) 제5장 (167 자)
“사람,物件을 같이 三神에게서 나와,하나의 참으로 돌아가나니 이를 天我라 한다라고 하였다.”
神誌秘詞는 檀君 달문 때의 사람 신지 발리가 지은 것이다.
우리나라의 文字는 옛부터 있었나니 남해현 양하리 엄벽에 신시의 옛조각이 있다.부여사람 왕문이 쓴 바의 法類符擬簇과 自負先生의 내문과 太子 부루의 五行은 한단시대에 나온것.그렇다면 殷學(甲骨文字)과 漢文은 아마도 왕문의 유범일 것임.
.大辯說에
신시엔 算木이 있었고,치우에게 鬪佃目이 있었으며,부여엔 書算이 있었다.檀君 가륵제 2년 삼랑 을보인이 정음 38자를 찬하고 이를 加臨多라고 했다.
.이태백全書의 玉塵叢書에
“발해국에 글이 있는 바 당나라에는 아무도 해득하는 자가 없었으나,이태백은 能히 이를 물어 대답했다.”라고 한다.
.三聖記에
신시엔 塵書가 있고,자부에겐 雨書가 있고,치우에겐 花書가 있어 투전문등은 그 남은 痕迹이다.복희에게는 龍書가 있고,檀君에게는 神菉이 있었으니 이들 글자는 널리 白山,黑水,靑邱,句麗에 쓰여졌다.
부여의 문왕은 全文을 고쳐 符錄을 만들어 使用했고,普나라 왕차중은 기서를 만들었는데 그는 왕문의 먼 後孫이다.
.신시의 音樂을 貢靑 혹은 供授 또는 頭列이라고도 한다.白虎通蔬義후한반고지음)에서는 朝離라 했고,通典樂志(唐 사우지음)에서는 侏離,三國史記는 도솔이라 했다.
.대변경에 檀君 색불루 때 九警之文
1) 너희들 집에서 효함에 게으름이 없을지며,집에 父母妻子가 있거든 誠心誠敬하여 밀어줌에 友愛로서 할지니라.
2) 너희들 兄弟엔 友愛가 있기를 힘쓰라.
3) 너희들 스승과 벗에 믿음이 있기를 힘쓰라.
4) 너희들 나라에 忠誠하기를 힘쓰라.
5) 너희들 뭇사람들에게 謙遜하기를 힘쓰라.
6) 너희들 政事를 밝게 아는 일에 힘쓰라.
7) 너희들 싸움터에서는 勇猛할 것을 힘쓰라.
8) 너희들 行動함에 있어서는 淸廉하기를 힘쓰라.
9) 너희들 職業에 있어서는 의로움에 힘쓰라.
.參佺戒經: 을파소선생이 백운산에 들어가 하늘에 祈禱하고 얻은 天書,大始에 哲人은 위에 계시사,人間의 360 事를 駐在하시었다.
그 綱領에 8조가 있나니 誠,信,愛,濟,禍,福,報,應이라 한다.
1) 誠: 哀心이 發하는 곳으로서 眞實에서 나오는 精誠을 관장하는 곳으로 6體와 47用이 있다.
2) 信: 天理의 必合으로서 人事의 必成이라.5단 35부가 있다.
3) 愛: 慈心의 自然으로 仁性의 本質이다.6範과 43圍가 있다.
4) 濟: 德의 兼善으로서 道가 잘 미치는 것이다.4規 32橫
5) 禍: 惡이 부르는 것이다.6條 42目
6) 福: 善의 餘慶이다.6門 45戶
7) 報: 天神이 하는 것으로 惡人에 報하는데 있어서는 禍로서 하고,善人에 報하는데 있어서는 福으로써 한다.6段 30及
8) 應: 惡은 惡報를 받고,善은 善報를 받음이라.6果 39形 神市理化의 世上은 8訓으로써 經을 삼고,5事를 緯로 삼아 敎化가 크게 行해져 弘益濟物하였으니 參佺이 이뤄지지 않은 곳이 없었다.
(1) 高句麗國本記 ┐
(2) 大震國本記 ┼─ 正史 內容中 一部이므로 省略함.
(3) 高麗國本記 ┘
우리 傳統信仰 및 文化의 뿌리를 理解하는데 도움이 될 것임.
.三神信仰을 샤마니즘 내지 巫俗信仰,祈福信仰으로 轉落
.天地人 삼재사상은 훌륭한 民族文化요 精神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