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詩를 映畵로 읊다] 〈92〉 표류가 남긴 것
1488년 최부(崔溥·1454∼1504)는 제주도에서 출발한 배가 망망대해에 표류하여 생사의 고비를 넘나들었다. 천신만고 끝에 중국 동남부 해안에 도달했지만 최부 일행은 왜구로 오인받는 등 다시 위기를 겪고 육로를 통해 겨우 귀국했다. 최부는 그 사연을 ‘표해록(漂海錄)’에 남겼다. 훗날 남구만(南九萬·1629∼1711)은 ‘표해록’을 읽고 다음과 같이 시를 썼다.
✺최부의 표해록을 읽다(간최보표해록·看崔溥漂海錄)
飽盡千危歷萬難,(포진천위역만난,)
온갖 위험과 고난에 질리도록 시달렸으니,
幾重滄海幾重山.(기중창해기중산.)
몇 겹의 창해며 몇 겹의 산을 지녔던가.
早知不免淸流禍,(조지불면청류화,)
고결한 이들이 당하는 화를 면치 못할 줄
미리 알았으면,
魚服藏身較似安.(어복장신교사안.)
물고기 배 속에 몸 감추는 편이
더 편안했을 듯하구나.
―남구만(南九萬·1629∼1711)
최부는 부친상으로 고향 전남 나주로 가기 위해 기상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출항했다가 표류하게 되었다. 최부는 표류 과정에서 제주도 출신 뱃사람들과 갈등이 심각했다. 수부(水夫)들은 최부의 무리한 출항 요구에 항의하며 배 젓기를 거부했고, 최부는 미신을 믿는 뱃사람들을 신뢰하지 못했다.
앨프리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1899-1980) 감독의 ‘〈Lifeboat(구명 보트)〉’(1944년)에서도 독일 잠수함의 공격으로 배가 침몰한 뒤 서로 다른 신분의 표류자들이 다툼을 벌인다. 영화는 독일군 표류자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두고 빚어지는 의견 충돌과 사건들을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는 우연하게도 표류의 극한 상황을 풍랑 속 배에 차오른 물을 퍼내고, 식수 부족으로 물 대신 술을 나누어 마시며, 갈증으로 인한 정신착란으로 바닷물을 마시는 사례 등으로 ‘표해록’과 유사하게 표현했다. ‘표해록’에서 수부들이 기상 악화로 뭍으로 향하는 방향을 알 수 없었다면, ‘구명보트’에선 독일군 표류자의 농간으로 아군이 아니라 적군의 배를 향해 간다.
훗날 시인은 ‘표해록’을 읽고 최부가 조선으로 귀환하기까지 겪은 갖은 고생을 떠올렸다. 하지만 시는 돌아온 최부가 연산군의 폭정 아래 간신들의 음해로 참혹한 죽음을 맞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뜻밖의 결론을 내린다. 차라리 바다에 빠져 물고기 밥이 되는 편이 낫겠다는 냉소적 표현엔 당쟁의 와중에 관직에서 쫓겨난 시인의 감정도 얼마간 투영되어 있다.
영화 ‘캐스트 어웨이’에서 무인도에 표류했던 척은 사방으로 뻗은 길 가운데서 앞으로 갈 인생의 행로를 찾기라도 하듯 이리저리 몸을 돌려본다. CJ ENM 제공
로버트 저메키스(Robert Zemeckis, 1952- ) 감독의 ‘〈Cast Away(캐스트 어웨이)〉’(2000년)에서도 표류자가 돌아온 뒤 겪는 문제를 다룬다. 국제 화물 특송 회사 직원인 주인공 척 놀런드(톰 행크스 분)는 화물 비행기가 추락하여 무인도에 표류한다. 척은 무인도를 가까스로 탈출하여 회사로 복귀했지만 달라진 주변 상황에 혼란스러워한다. 영화 마지막 척은 표류 중에도 소중히 보관해 온 소포를 주소지에 배송한 뒤, 사방으로 뻗은 길 가운데서 앞으로 인생의 행로를 찾기라도 하듯 이리저리 몸을 돌려본다.
누구에게나 삶이 망망대해에서 표류하는 것같이 절망감만 가득할 때가 있다. 하지만 어려움을 극복하고 목적하는 곳에 도착하더라도 삶이란 문제는 지속된다. 표류에서 돌아온 영화 속 척의 모습과 최부의 사연에서 표류가 삶에 남긴 흔적과 과제를 함께 생각해 본다.
[출처 및 참고문헌: <동아일보 2024년 10월 24일(목)|문화 [漢詩를 映畵로 읊다] 〈92〉표류가 남긴 것(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Daum, Naver 지식백과/ 글: 이영일∙고앵자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