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원문(祝願文)- 불교 축원문 용어풀이 📖 공부합시다.
☝제1편..글이 길어 1,2편으로 나누어 올리겠습니다. 📃
앙고(仰告) 시방삼세(十方三世) 제망중중(帝網重重) 무진삼보자존(無盡三寶慈尊) 불사자비(不捨慈悲)
허수낭감(許垂朗鑑) 위작증명(爲作證明) 상래소수불공덕(上來所修佛功德) 회향삼처실원만(廻向三處悉圓滿)
시이(是以) 사바세계(娑婆世界) 남섬부주(南贍部洲) 해동(海東) 대한민국(大韓民國) 시/도 구/군 동/면 리 번지 사원(寺院) 청정수월도량(淸淨水月道場)
원아금차(願我今此) 지극지정성(至極之精誠) 헌공발원재자(獻供發願齋者) ○시(市) ○구(區) ○동(洞) ○번지(番地) 거주(居住) 건명(乾命) ○보체(保體) 곤명(坤命) ○보체(保體)
이차인연공덕(以此因緣功德) 앙몽제불보살(仰蒙諸佛菩薩) 가피지묘력(加被之妙力) 일체고난(一切苦難) 영위소멸(永爲消滅), 각기(各其) 사대강건(四大强健), 육근청정(六根淸淨,
안과태평(安過太平), 무병장수(無病長壽), 자손창성(子孫昌盛), 부귀영화(富貴榮華),무연자(無緣者) 속득인연(速得因緣), 무자자(無子者) 속득생남(速得生男), 가내화합(家內和合)
일일유천상지경(日日有千祥之慶) 시시무백해지재(時時無百害之災) 수산고흘 복해왕양지대원(壽山高屹 福海汪洋之大願)
재고축(再告祝)금차(今此) 지극지정성(至極之精誠) 헌공발원재자(獻供發願齋者) ○시(市) ○구(區) ○동(洞) ○번지(番地) 거주(居住) 건명(乾命) ○보체(保體) 곤명(坤命) ○보체(保體) 각기(各其) 재수대통(財數大通), 신수대길(身數大吉), 복덕구족(福德具足), 동서사방(東西四方) 출입제처(出入諸處) 악인원리(惡人遠離), 귀인상봉(貴人相逢), 상봉길경(常逢吉慶), 불봉재해(不逢災害), 관재구설(官災口舌) 삼재팔난(三災八難) 사백사병(四百四病) 영위소멸(永爲消滅) 심중소구소원(心中所求所願) 여의원만(如意圓滿) 성취지대원(成就之大願)
삼고축(三告祝)금차(今此) 지극지정성(至極之精誠)
헌공발원재자(獻供發願齋者) ○시(市) ○구(區) ○동(洞) ○번지(番地) 거주(居住) 건명(乾命) ○보체(保體) 곤명(坤命) ○보체(保體) 청신사(淸信士) 청신녀(淸信女) 동남동녀(童男童女) 백의단월(白衣檀越) 시회합원대중(時會合院大衆) 각각 등 보체(保體)참선자(參禪者) 의단독로(疑團獨露), 염불자(念佛者) 삼매현전(三昧現前), 간경자(看經者) 혜안통투(慧眼通透), 병고자(病苦者) 즉득쾌차(卽得快差), 단명자(短命者) 수명장원(壽命長遠), 무인연자(無因緣者) 속득인연(速得因緣), 무자자(無子者)속득생남(速得生男),학업자(學業者)학업성취(學業成就),농업자(農業者) 오곡풍년(五穀豊年), 사업자(事業者) 사업성취(事業成就), 공업자(工業者) 안전조업(安全操業), 상업자(商業者) 재수대통(財數大通), 운전자(運轉者) 안전운행(安全運行), 여행자(旅行者) 안전성취(安全成就), 무직자(無職者) 취직성취(就職成就), 직장자(職場者) 진급성취(進級成就) 등 각기(各其) 경영지사업(經營之事業) 만사여의원만(萬事如意圓滿) 형통지대원(亨通之大願)
연후원(然後願)항사법계(恒沙法界) 무량불자(無量佛者) 동유화장장엄해(同遊華藏莊嚴海) 동입보리대도량(同入菩提大道場) 상봉화엄불보살(常逢華嚴佛菩薩) 항몽제불대광명(恒蒙諸佛大光明)소멸무량중죄장(消滅無量衆罪障) 획득무량대지혜(獲得無量大智慧) 돈성(頓成) 무상최정각(無上最正覺) 광도법계제중생(廣度法界諸衆生) 이보(以報) 제불막대은(諸佛莫大恩) 세세상행보살도(世世常行菩薩道) 구경원성살반야(究竟圓成薩般若) 마하반야바라밀(摩訶般若波羅蜜)
📚 용어풀이:앙고[仰告] : 우러러보고 아룀
시방삼세[十方三世] : 끝없는 시간과 공간을 이르는 말.
시방(十方):사방(四方),사우(四隅),상하(上下)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세[三世] : 전세(前世), 현세(現世), 내세(來世)의 세 가지.
제망중중(帝網重重) 제망(帝網) : 제석천의 보배 그물인 인다라망을 말하며 모든 악을 제하고 모든 선을 다 갖춘다는 뜻,즉 일체 공덕을 다 갖춘다는 뜻..중중(重重) : 거듭거듭
무진삼보자존(無盡三寶慈尊):끝없는 한량없는 삼보께서,불법승 삼보께서 ..무진[無盡] : 다함이 없을 만큼 매우.
삼보(三寶):불보,법보,승보.. 자존[慈尊]:대자대비의 부처라는 뜻.
불사자비(不捨慈悲):사랑하고 가엾게 여기시어 베푸는 혜택을 버리지 마시라는 뜻.
위작증명(爲作證明) : 증명하여 주십시오.
허수낭감(許垂朗鑑) : 섭수하여 주시 옵소서.
섭수[攝受] : 자비로운 마음으로 중생을 거두어 들여서 보살핌
상래소수불공덕(上來所修佛功德) :위로부터 지금까지,
회향삼처실원만(廻向三處悉圓滿) : 세 가운데 모두 원만하게 이룩되게 하리다.
회향[廻向]:자기가 닦은 선근 공덕을 다른 중생이나 자기 자신에게 돌림. 중생회향, 보리회향, 실제회향의 세 가지, 또는 왕생회향과 환상회향의 두 가지로 나뉜다.
삼처(三處) : 세 가운데(욕계, 색계, 무색계)
사바세계(娑婆世界) : 괴로움이 많은 인간 세계
남섬부주(南贍部洲) : 수미산 남쪽에 있다고 하는 땅.
북쪽은 넓고 남쪽은 좁은 세모꼴인데, 염부나무가 무성하며, 오직 이 땅에서만 부처가 출현한다고 한다. 뒤에는 인간 세계 또는 현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되었다.
해동(海東):발해(渤海)의 동쪽이라는 뜻으로,예전에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청정수월도량(淸淨水月道場):맑고 깨끗한 부처나 보살이 도를 얻는 곳
지극지정성(至極之精誠) : 온갖 힘을 다하려는 참되고 성실한 마음.
헌공(獻供) : 물건을 바침.
발원(發願) :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빎. 또는 그 소원.
재자(齋者) : 재를 올리러 온 사람. 거주(居住) : 주거지
건명(乾命) : 축원문에서‘남자’를 이르는 말.
곤명(坤命) : 축원문에서, ‘여자’를 이르는 말.
청신사(淸-信士) : 남자 불제자를 말하며 인도어(범어)우파사카의 번역어로 우바새(優婆塞)라고도 하며 우리말로 거사라도 칭합니다.
청신녀(淸-信女) :여자 불제자를 말하며 인도어(범어) 우파시카의 번역어로는 우바이(優婆夷)라고도 하며 우리말로 보살이라고도 칭합니다.동남(童男):사내아이 동녀(童女):대략 4세 이상부터 20세 이하의 여자..하지만 일반적으로는 10세 내지 12세가량의 초경(初經) 전의 아이에 한정하는 것이 상례입니다.
동자(童子):대략 4세 이상부터 20세 이하의 소년과 청년을 가리킴.
백의단월(白衣檀越):백의는 재가자를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재가자의 옷 빛깔이 흰색인 반면에 출가자는 물들여서 색이 있는 옷을 입기 때문에,양자를 대비하여 부르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본래 인도에서 바라문을 비롯한 속인들이 흰색 옷을 주로 입었던 것에서 유래합니다.
속인(俗人),재가자(在家者),소의(素衣).치의(緇衣),염의(染衣).
단월은 다나파티의 음역으로 보시하는 사람.시주(施主)자를 말 합니다. 시회합원대중(時會合院大衆) : 여기 모인 모든 사람
보체(保體):몸을 보호한다는 뜻으로,살아 있는 사람의 축원문에서 성명 밑에 쓰는 말.
이차인연공덕(以此因緣功德) : 이러한 인연 공덕으로
앙몽제불보살(仰蒙諸佛菩薩): 우러러 모든 불보살님
가피지묘력(加被之妙力) : 부처나 보살이 자비를 베풀어 중생에게 묘한 힘을 줌
일체고액(一切苦厄).일체고난(一切苦難) : 모든 고뇌와 재액. 괴로움과 어려움
영위소멸(永爲消滅) : 길게 오래오래 영원히 사라져 없어짐.
각기(各其) : 저마다의,각각 저마다.
사대강건(四大强健):두팔,두다리,머리,몸통 즉,온몸이 튼튼하다는 뜻
육근청정(六根淸淨) : 진리를 깨달아 욕심과 집착이 없어지고 육근이 깨끗하여지는 일.
육근(六根):육식(六識)을 낳는 눈,귀,코,혀,몸,뜻의 여섯 가지 근원.
육식[六識] : 육근(六根)에 의하여 대상을 깨닫는 여섯 가지 작용.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 識)을 이른다.
안과태평(安過太平):아무탈없이 태평하게 지나감,또는 태평하게 지냄. 무병-장수(無病-長壽) : 병 없이 건강하게 오래 삶.
자손창성(子孫昌盛) : 자손의 기세가 크게 일어나 잘 뻗어나감.
부귀영화(富貴榮華)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Emoticon)
👇아래 자료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