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일 12월 27일 성 요한(John) 사도
Saint John, Apostle and Evangelist
St. Jannes, Ap. Evangelista
신분: 사도, 복음사가
활동연도: +100년경?
같은이름: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이반,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한스, 후안
성 요한(Joannes)은 갈릴래아의 어부로서 제베대오의 아들이며 사도 야고보(Jacobus, 7월 25일)의 동생이다. 야고보와 요한은 겐네사렛 호수에서 그물을 손질하다가 예수님의 부르심을 받고 삯군들과 배를 남겨둔 채 예수를 따라 나섰다. 이들 형제는 성격이 매우 급하고 또 흥분을 잘 하였기 때문에(마르 10,35-41), 예수님은 그들을 '천둥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보아네르게스'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마르 3,17).
또한 그들은 예수님의 중요한 행적, 예를 들어 예수님이 야이로의 죽은 딸을 살렸을 때(마르 5,37; 루카 8,51), 예수님의 영광스런 변모(마태 17,1; 마르 9,2; 루카 9,28), 게세마니(Gethsemane) 동산의 기도(마태 26,37; 마르 14,33)와 같은 극히 중요한 시기에 베드로(Petrus)와 함께 예수님 곁에 있었다.
또 성서 여기저기에는 요한이 '예수님의 사랑받던 제자'라는 인상을 주며, 최후의 만찬 때에 스승의 가슴에 기댔던 사람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십자가상의 예수님은 그에게 당신의 어머니를 맡기셨다(요한 19,25-27). 뿐만 아니라 부활 아침에는 베드로보다 먼저 예수님의 빈 무덤으로 달려갔고(요한 20,1-5), 그분의 부활을 믿었으며, 티베리아 호숫가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제일 먼저 알아보았다(요한 21,7).
사도행전에서도 요한은 베드로와 함께 활동하며 투옥당하기도 했다. 성 바오로(Paulus)는 야고보와 게파(베드로)와 함께 요한을 일컬어 '교회의 기둥'이라고 불렀다(갈라 2,9). 후일 요한은 하느님의 말씀과 예수님의 진리를 증언한 탓으로 파트모스(Patmos) 섬에서 유배생활을 했고(묵시 1,9), 에페수스(Ephesus)에서 여생을 지내다가 그곳에서 수를 다하고 선종하였다.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예로니모, 9월 30일)에 따르면 성 요한은 너무나 연세가 높아서 군중들에게 설교할 수 없었고, 다만 간단한 말만 하였다고 한다. 교회 전승에 의하면 신약성경의 네 번째 복음서와 서간 3개 그리고 묵시록은 성 요한의 저작물이라고 전해져온다. 사도 요한의 문장은 독수리이다. 그 이유는 요한 복음서의 서두가 매우 높은 위치에 있는 듯하기 때문이다.
[교회상식 교리상식] 사도 성 요한
요한은 제베대오의 아들로서 큰(大)야고보의 동생입니다. 요한복음을 쓴 복음사가이며 신약성경 서간 3편과 묵시록의 저자이기도 한 요한에 대해 알아봅니다.
성경에서 본 요한
요한은 성경의 12사도 명단 가운데서 시몬 베드로, 안드레아, 형 야고보와 함께 언제나 앞자리를 차지합니다. 마르코복음에서는 시몬. 큰야고보에 이어 세 번째로(마르 3,17), 마태오와 루카복음에서는 베드로와 안드레아, 야고보에 이어 네 번째로(마태 10,2; 루카 6,14) 등장합니다. 이에 비해 사도행전에는 베드로 다음 두 번째로 언급됩니다(사도 1,13). 이 사실은 12사도 가운데서 요한이 차지하는 비중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큰야고보에 대한 설명에서도(979호, 7월 20일자) 언급했습니다만, 요한은 12사도의 으뜸인 시몬 베드로 및 형 야고보와 함께 예수님을 지척에서 모신 제자였습니다. 예수님께서는 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다시 살리셨을 때에,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변모하셨을 때에 그리고 겟세마니에서 기도하실 때에도 이 세 제자만을 데리고 가셨습니다(마르 5,37 ; 루카 9,28; 마태 26,37). 예수님 지시에 따라 파스카 음식을 준비하러 간 제자도 베드로와 요한 두 사도였습니다(루카 22,8).
이런 내용들은 예수님께서 12사도 가운데서 갈릴래아 호숫가의 고기잡이 출신인 베드로와 안드레아 형제, 그리고 야고보와 요한 형제, 그 중에서도 특히 베드로와 요한을 얼마나 각별히 생각하셨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베드로와 요한 두 제자에 대한 예수님의 각별함은 약간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베드로에 대한 예수님의 각별함은 당신이 세우실 교회에 대한 책임을 맡기신다는 공적 차원을 띤다고 할 수 있겠지요. 베드로를 반석으로 삼아 교회를 세우고 베드로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맡기신다거나(마태 16,18-19), '내 양들을 돌보아라'하고 신신당부하시는 말씀에서(요한 21,15-19) 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요한에 대한 각별함은 좀더 개인적 차원을 지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후 만찬 때에 요한이 예수님 품에 기대어 앉은 것이나(요한 13,22),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께서 어머니 마리아를 요한에게 맡기신 것에서(요한 19,27)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한은 예수님 부활 후에도 두드러진 자리를 차지합니다. 예수님 무덤이 비었다는 소식에 제일 먼저 무덤으로 달려간 사람도 요한이었고(요한 20,5), 갈릴래아 호숫가에 나타나신 예수님을 제일 먼저 알아보고 베드로에게 이야기해 준 제자도 요한이었습니다(요한 21,7). 그러나 요한복음의 저자인 요한은 자신의 복음서에서 '요한'이라는 말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만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라고만 밝힐 뿐입니다. 이는 요한의 겸손함과 함께 예수님께서 요한을 얼마나 사랑하셨는지, 또 요한이 예수님의 사랑을 얼마나 확신했는지를 드러내준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령강림 후 요한은 베드로와 함께 예루살렘 교회에서 지도자로서 전면에 나타납니다. 베드로와 함께 성전에 올라가다가 불구자를 고쳐주고(사도 3,1-10), 사람들에게 복음을 선포합니다. 또 최고의회 앞에서는 담대하게 설교를 합니다(사도 4,1-22). 나아가 사마리아까지 가서 복음을 전하고 안수를 통해 그곳 신자들에게 성령이 내리도록 합니다(사도 8,14-25). 바오로 사도는 이런 요한을 두고 베드로와 야고보와 함께 "교회의 기둥"이라고 부르지요(갈라 2,9). 그러나 예루살렘 사도회의 이후 요한의 생애는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성경을 통해서는 자세히 알 길이 없습니다. 다만 파트모스 섬에서 유배 중에 묵시록을 썼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입니다(묵시 1,9).
전승에서 본 요한
2~3세기 그리스도교 저술가들이 전하는 기록들에 의하면 요한은 생애 후반기에 소아시아의 에페소에서 지냈다고 합니다. 사도 요한이 복음서를 저술한 곳도 에페소로 알려져 있지요. 그리고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재위 81~96) 때에 파트모스 섬에서 유배생활을 했는데, 유배되기 앞서 로마에서 체포돼 펄펄 끓는 기름 가마 속에 던져졌으나 아무런 상처도 입지 않았다고 합니다.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죽은 후 유배지에서 풀려난 요한은 에페소에서 살다가 트라야누스 황제(제위 98~117) 치세인 100년에 사망했습니다. 요한은 죽기 직전까지 제자들에게 "사랑하는 자녀들아 서로 사랑하라"고 끊임없이 말했다고 합니다.
요한의 형 큰야고보는 사도들 가운데 제일 먼저 예루살렘에서 순교한 반면에 요한은 사도들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살았습니다. 일부에서는 요한이 죽지 않고 승천했다고 하지만 이는 설득력이 약하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입니다.
복음사가로서 요한을 나타내는 상징은 독수리입니다. 요한은 또 뱀이 있는 성작으로도 상징되는데 요한이 독이 든 잔을 받고 축복을 하자 독이 뱀으로 변했다는 전설에 따른 것입니다.
[역사속의 그리스도인] 사도와 성서저술가 - 사도 요한
요한은 예수님을 가장 가까이에서 섬겼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형장까지 따라간 유일한 제자였다.
묵시록 통해 구원의 희망 제시
예수님이 가장 아꼈던 제자
초대교회 건설·선교에 매진
『에페소 교회 천사에게 이 글을 써서 보내어라. 오른손에 일곱 별을 쥐시고 일곱 황금등경 사이를 거니시는 분이 말씀하신다』(요한묵시록 2,1)
다도해로 불리며 400여개의 섬들이 몰려 있는 터키 서부 지역의 에게해는 일찍이 트로이, 베르가모, 에페소 등 고대 도시들의 유적이 살아 숨쉬는 곳이다. 이 지역에는 성서의 요한묵시록에 나오는 일곱 등경, 곧 일곱 개의 교회가 몰려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 중 인구 300만명의 에게해 최대 도시 이즈마르에서 80㎞ 가량 떨어진 곳에 로마의 소아시아 행정수도이자 교통의 중심지였던 고대도시 에페소가 숨쉬고 있다.
이 에페소에서 예수로부터 각별한 사랑을 받았던 사도 요한이 공동체를 세우고 주교들을 임명했으며 복음서와 서간들을 저술했다. 요한 사도는 이곳을 거점으로 해서 묵시록에 기록된 일곱 개의 지도적인 교회들을 이끌었다. 그리고 그가 이곳에서 사망한 뒤 4세기경부터 주요 순례지 중의 하나가 됐으며 6세기에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명에 의해 요한의 무덤터에 6개의 돔과 130m 길이의 십자가 모형으로 된 거대한 교회가 세워졌다고 한다.
지금은 비록 폼페이의 유적과 마찬가지로 몇 개의 건물벽과 기둥, 받침대 등만이 남아있을 뿐이어서 그 흔적을 알아보기는 힘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는 요한 사도와 성모 마리아, 그리고 사도 바오로 등 초대 교회 중요 인물들의 삶이 배어 있기에 아직도 많은 이들이 이곳을 찾아오고 있다.
사도 요한은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사람으로 제베대오의 두 아들 가운데 동생이다. 전승에 의하면 신약성서의 제4복음서와 묵시록, 3편의 편지를 쓴 저자이다. 부친의 업을 따라 겐네사렛 호수에서 고기를 잡던 어부 요한에게 어느날 예수가 찾아왔다.
『예수께서는 거기서 조금 더 가시다가 이번에는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 형제를 보셨는데 그들은 자기 아버지 제베대오와 함께 배에서 그물을 손질하고 있었다. 예수께서 그들을 부르시자 그들은 곧 배를 버리고 아버지를 떠나 예수를 따라갔다』(마태 4, 21~22)
예수의 제자가 된 후 요한은 친형 야고보, 베드로와 함께 예수가 가장 가까이 두는 제자가 됐다. 그리하여 요한은 예수의 공생애 내내 예수를 가장 가까이에서 섬겼으며 요한복음서에서 자신을 소개할 때에도 감히 예수의 사랑하시는 제자(요한 21, 7)라고 표현할 정도로 그에 대한 예수의 사랑은 극진했다.
예수는 요한과 야고보 두 형제를 「천둥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보아네르게스」라고 불렀다. 그것은 아마도 자신들이 사랑하는 예수가 사마리아의 한 동네에서 냉대를 받자 『주님, 저희가 하늘에서 불을 내리게 하여 그들을 불살라 버릴까요?』(루카 9, 54)라고 분개할 만큼 격렬한 성품을 지녔기 때문인 듯하다.
그 뜨거운 사랑으로 요한은 예수의 십자가 형장까지 따라간 유일한 제자였다. 그리하여 요한은 십자가에서 숨을 거두시는 예수로부터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요한 19, 27)라는 당부를 받아 성모 마리아를 위탁받고 자기 집에 모셨다.
예수가 부활해 승천하신 뒤, 요한은 베드로 사도와 함께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초대 교회의 건설과 복음 선포에 힘썼다. 바오로 사도는 요한이 베드로, 야고보와 함께 예루살렘 교회의 중추적 인물로 49년에 예루살렘 사도회의에 참석한 사실도 전해주고 있다. 하지만 그 후 요한이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록이 없으며 파트모스(Patmos)섬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묵시록을 저술했다는 사실만 알 수 있다. 다만 전승에 의하면 요한이 예루살렘을 떠나 에페소로 간 것은 분명해 보인다.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때 체포돼 유배되기 전까지 에페소에 머물러 있었고 유배 후에는 다시 돌아와서 서간과 복음서를 저술했다고 한다.
요한이 저술한 것으로 전해지는 묵시록은 신약성서의 마지막 책이며 유일한 묵시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묵시록에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영광과 악의 세력에 대한 승리에 큰 관심을 둔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승리는 이미 역사 안에 와있지만 그 공동체의 승리는 아직 오지 않았다. 따라서 묵시록은 역사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신학서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미 완전한 승리를 거두신 그리스도를 통해 그리스도의 공동체 역시 결국은 승리를 얻게 될 것임을 확신한다. 결국 묵시록을 통해 요한 사도는 교회를 위한 희망을 보여주며 그것은 곧 역사를 그리스도의 우리에 대한 사랑의 현시로 제시하는 것이다.
요한 사도를 일러 혹자는 사랑의 사도로 부른다. 신약성서에서 「사랑」이라는 말이 등장하는 구절이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은 사도 요한이 집필한 것으로 전해지는 요한복음, 요한의 편지 세 권, 그리고 요한묵시록이다. 이 5편에 나오는 사랑이 모두 92번으로 신약성서에 나오는 사랑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복음서에서도 요한복음은 총 39번이나 나와 마태오 12번, 마르코 6번, 루가 13번과 비교해봐도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자기 중심적이고 급하고 격렬한 성격에, 예수가 예루살렘으로 입성할 때 모친을 통해 높은 직책을 부탁할 정도로 개인적 야심에 빠져있기도 했던 요한 사도가 이처럼 사랑의 사도로 변모한 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에 힘입은 결과일 것이다.
사도 성 요한(John)
제4복음을 쓴 요한 사도의 상징은 독수리이다. 그 이유는 다른 3명의 복음사가 마태오, 마르코, 루가는 다만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업에 관해서만 기록한 반면, 성 요한 사도는 홀로 그리스도의 신성(神聖)이라는 높은 점을 주안으로 기록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른 새보다 더 높이 나는 독수리에 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성 요한은 그 인격에 있어서도 다른 사도들보다 탁월해 특별히 주님의 사랑을 받았다는 것은 그 성서에 "제자 한 사람이 바로 예수 곁에 앉아 있었는데 그는 예수의 사랑을 받던 제자였다"(요한 13, 23)고 기록되어 있는 것만 보아도 상상할 수 있다.
이 요한은 이전에 성 요한 세례자의 열심한 제자요, 다른 유다인들과 같이 구세주의 임하심을 하루를 천추와 같이 고대했다. 그런데 하루는 스승 요한이 지나가시는 예수의 모습을 바라보며, "이 세상의 죄를 없애버리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 저기 오십니다."(요한 1, 29)하고 가리키며 구세주이심을 깨우쳐 주니 요한은 즉시 베드로와 그 동생 안드레아와 같이 최초의 주님의 제자가 되어 얼마나 기뻐했는지 모른다. 처음 주님께서 기거하시던 집을 찾아간 시각도 잊지 않고 "때는 이미 오후 네 시경이었다."(요한 1, 39)고 기록했다.
요한은 사도들 중에서도 베드로나 야고보와 같이 주님의 특별한 대우를 받은 분이다. 즉 주님께서 야이로의 딸을 소생시켰을 때와 타볼 산에서 모습이 변하셨을 때에 그 참관자가 위의 세 명이었다는 점으로도 능히 추측된다. 물론 요한은 주님의 이와 같은 각별한 애호에 감사하는 정에서 알뜰히 주님을 사랑하고 받들었다. 그러기에 주님께서 사마리아 동네에서 냉대를 받으실 때에 그는 야고보와 같이 화를 내며 "주님, 저희가 하늘에서 불을 내리게 하여 그들을 불살라 버릴까요?"(루카 9, 54)하고 그토록 심한 말을 했던 것이다.
주님께서는 즉시 책망하시며 "당신들은 어떠한 영에 속해 있는 줄 모르고 있다. 사람의 아들이 온 것은 사람을 멸망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구원하려는 것이다. "(루카 9, 56)하고 타일러 주셨지만, 그래도 그들의 당신께 대한 사랑의 정은 기꺼이 여겼으리라.
또 이 이야기 외에 주님께서 야고보와 요한을 보아네르게스(Boanerges), 즉 천둥의 아들이라고 별명을 지어주신 일이 있다. 이것만 보아도 얼핏 보기에 여성다운 부드러운 인물 같은 상상이 들지만 주님께서 "당신들은 내가 마실 잔을 마실 수 있겠습니까?"하고 질문하셨을 때에, 그들 형제는 서슴지 않고 "마실 수 있습니다" 하고 대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주님의 수난이 시작되자 야고보는 실망해 도망쳤고, 베드로는 "모른다"고 세 번이나 주님을 배반해 큰 은혜를 저버리고 다른 사도들도 모두 슬금슬금 다 꽁무니를 빼는 틈에 오직 요한 만은 머물러 있어 성모와 같이 갈바리아 산상에서 예수의 마지막 순간까지 따랐던 것이다.
그리고 그가 그 산에서 목격한 것은 무엇이었던가? 이는 전에 타볼산에서 목격한 바와는 아주 판이한 장면이었다. 참혹하게 된 예수의 비통에 잠긴 모습이었다. 그리고 털끝만큼도 동정심이 없는 악당들의 조롱하는 소리에 요한의 가슴은 터질 것만 같았다. 그러나 주님의 고통이 구속 사업에 필요함을 알았고, 자신도 마음의 고통을 참음으로써 주님과 같이 희생으로 바쳤다.
이 같은 충성을 주님께서 등한히 하실리는 만무했다. 주님께서는 그 보답으로 성스러운 성모의 장래를 그에게 맡기셨다. 요한은 이 중임을 얼마나 명예스럽고 기쁘게 받아들였을 것인가! 그 날부터 그는 성모를 자기 집에 모시고 정성껏 돌봐 드렸다. 그가 저술한 성서가 다른 저자와 그 취지에 있어 매우 차이가 있고, 예수의 신성을 역력히 드러내는 빛나는 주옥편이 된 것은 성령의 감도도 감도려니와, 그가 평소 성모를 곁에 모시고 섬기며 종종 그녀의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이다.
전설에 의하면 성모께서는 유서 깊은 갈바리아를 잠시도 잊지 못하시고 여생을 예루살렘에서 지내셨는데, 요한은 그녀의 임종 때까지 주님의 말씀을 받들어 성모를 섬겼고, 44년 헤로데 아그리파에게 박해를 당해, 사도들이 각국으로 흩어질 때 그도 에페소로 피했으며 그 곳 소아시아의 각 교회, 특히 묵시록에 나오는 에페소, 스미르나, 베르가모, 티아디라, 사르디스, 필라델피아 및 라오디게이아 등 일곱 교회를 지도했다.
95년에 제2의 네로라고 불리는 도미시아노의 박해가 시작되자, 요한도 마침내 잡혀 파트모스 섬에 유형 당했는데, 그는 그곳에서 하느님이 직접 계시로 붓을 들어 저 유명한 묵시록을 저술했으며 교회의 장래 승리를 예언해 고통을 받는 신자들에게 위안과 새로운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96년, 도미시아노가 암살되자 이어 왕위에 오른 넬바는 추방된 신자를 전부 소환했으므로, 요한도 그리운 에페소의 땅을 다시 디딜 수가 있었다. 그때 이미 그는 매우 고령이었다. 그러라 유일하게 생존한 사도로서 힘껏 신자들을 가르쳤다. 너무 노쇠해 설교다운 설교를 할 수 없었을 때에도 그는 신자들에게 부축을 받아 성당에 갔고, "아들아, 서로 사랑하라!"하며 교훈했다. 한결같이 같은 말만 거듭해 신자들이 싫증을 내자, 요한은 "사랑은 그리스도교회의 기초요, 사랑만 있으면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가르쳐 주었다. 그가 사랑의 사도라고 불리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가 그 귀중한 성서를 저술한 것은 1세기 말 경이요, 그노시스 이단 및 예수의 신성에 대해 구구한 이설이 떠돌 때였다. 그래서 그의 저술의 목적은 앞서 말한 그 이설에 대항해 올바른 것을 가르치기 위한, 즉 구세주께서는 위격(位格)으로 하느님이심을 명백히 하기 위함이었다. 이리하여 하느님께 맡은 사명을 충분히 채운 사도 성 요한은 트라야노 황제 시대에 백 살의 고령으로 세상을 떠나 총애 깊은 주님의 품으로 돌아갔다.
(대구대교구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