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할 빈(貧)자는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에 성부(聲符)로 나눌 분(分)자를 했습니다. 나눌 분(分)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칼 도(刀)자를 해서, 나눈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빛날 빈(份), 나라 이름 빈(邠)자는 나눌 분(分)자가 들어 있어서 ‘빈’으로 읽습니다. 빈자(貧者) 빈부(貧富) 안빈낙도(安貧樂道) 빈곤(貧困) 부중빈(富中貧) 빈민(貧民)
달릴 빙(騁)자는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에 성부(聲符)로 말이 잴 병(甹)자를 했습니다. 말이 잴 병(甹)자는 말미암을 유(由)자 아래에 공교할 교(丂)자를 해서 말로써 사단을 만드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말이 잰다는 말은 말이 정곡을 찌르고 나보다 빨리 말을 전하여 앞선다는 말입니다. 사단을 만들기에 아주 빠르고 정곡을 찌른다는 말과 같습니다. 말이 재면 사단이 벌어집니다. 찾아갈 빙(聘), 말할 빙(䛣), 비틀거릴 빙(俜), 장가들 빙(娉), 물 모양 빙(涄)자들은 말이 잴 병(甹)자가 들어 있어서 ‘빙’으로 읽습니다. 빙간(騁奸) 빙촉(騁矚) 빙사(騁私) 빙설(騁舌) 빙예(騁藝) 치빙(馳騁) 빙웅호(騁雄豪) 빙마(騁馬)
기댈 빙(憑)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탈 빙(馮)자를 했습니다. 탈 빙(馮)자는 어름 빙(冫)자를 성부(聲符)로 하고, 의부로 말 마(馬)자를 했습니다. 빙처(憑處) 증빙(證憑) 신빙(信憑) 신빙(神憑) 빙의(憑依) 빙령(憑靈) 빙공영사(憑公營私) 빙자(憑藉)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