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령 [戒嚴令]이란
국가의 비상사태가 일어났을 때,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해 그 지역은 사법권 및 행정권의 일부 혹은 전부를 계엄 사령관이 행사할 것을 국가 원수가 선포하는 명령
1. 1960년 4.19 혁명과 비상계엄령
1960년 4월, 이승만 정부의 부정선거에 반대하는 시민과 학생들의 대규모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당시 정부는 이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비상계엄령을 발동했습니다. 서울 전역에 계엄령이 내려지면서 군대가 시위대를 강경 진압했지만, 국민의 민주화 열망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결국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하며 정권이 교체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계엄령의 한계를 보여주며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준 계기가 되었습니다.
2. 1961년 5.16 군사반란
박정희 반란
3. 1972년 유신 체제와 계엄령
박정희 정권은 1972년 유신헌법을 강행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당시 계엄령은 정치적 반대 세력을 억누르고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며 유신 체제를 굳히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언론 통제와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국민의 자유는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오히려 민주화 운동의 불씨를 지피며 이후 국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4.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과 비상계엄령
전두환 신군부는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비상계엄령을 확대 선포했습니다. 특히 광주에서 발생한 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습니다. 계엄군이 시민들을 강경하게 탄압하면서 광주는 한때 고립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생명과 자유를 잃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이후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향한 강력한 원동력이 되었고, 계엄령이 국민에게 미친 충격적인 영향을 보여준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5. 2024년 12.3 비상계엄 실패
윤석열 친위 쿠데타
1차 탄핵소추안 불성립
2차 탄핵소추안 가결 (찬성204표)
내 나이도 계엄을 세 번 째 경험하는 세대다
이번에 실패로 끝났으니 망정이지 ᆢ
가슴을 쓸어내린다
오늘은 꼭 탄핵되길 간절히 바라며~~
2024년 12월 14일 토요일 오후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