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리 학당에 아직도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이
있으니 보람입니다.
[불경 사구게]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사구게 모음 (일체유심조)
▪︎ 佛 사구게란 무엇인가?
사구게(四句偈)란
4구로 된 게문을 뜻한다.
범어로는
슬로카(sloka)라고 부르며
고대 인도 시의 한 형식을 칭한다.
사구게는 4개의
구절로 형성된 시이다.
하나의 구(句)는
8개의 음절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구게는 총 32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게(偈)란 !
불교의 교리를 짧은 시구
형식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이는 범어 가타(gatha)를
음차 한 것으로 이를 해석하면
송(頌)이 된다.
그러므로 보통 이를
게송(偈頌)이라고 표현한다.
대승 불교의 경전인
금강경▪︎ 법화경
열반경▪︎화엄경 의
여러 사구게가 존재한다.
이런 사구게는
운율 형식이 탁월하여 불자들이 숙지하고 암기하기 편하다.
특히나『금강경』에는
'이 경 가운데 사구게만이라도
항상 잊지 않고 마음에 새겨
다른 사람에게 설한다면
그 복이 한량없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사구게를 수지 독송함이
큰 복덕을 가져옴을 의미하고
불자들의 깨달음에도
도움이 됨을 간접적으로
설파하고 있다.
▪︎1). 금강경 사구게
_____________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則見如來
신체적 특징들은
모두 헛된 것이니
신체적 특징이 신체적 특징 아님을 본다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而生其心
형색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하고
소리·냄새·맛·감촉·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한다.
마땅히 집착 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형색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면
삿된 길 걸을 뿐
여래 볼 수 없으리.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一切有為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 모든 유위법은 꿈·허깨비·물거품·그림자·이슬·번개 같으니, 이렇게 관찰할지라.
▪︎2). 화엄경 사구게
_____________
심여공화사 능화제세간
오온실종생 무법이불조
心如工畵師 能畵諸世間
五蘊實從生 無法而不造
마음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 같아
능히 모든 세상일을 다 그려낸다.
오온(五蘊)이
다 마음으로 부터 나온 것이다.
무엇도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오온: 색.성.향.미.촉.법
약인지심행 보조제세간
시인즉견불 요불진실성
若人知心行 普造諸世間
是人則見佛 了佛眞實性
만약 어떤 사람이
마음이 모든 세간을 만들어내는
줄을 안다면 이 사람은
바로 부처님을 친견하여 부처님 진실성을 아는 것이다.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만약 사람들이 삼세
일체부처님을 알고자 한다면
이 모든 법계의 성품을 보자
일체는 마음이 만드는것이다.
▪︎3). 법화경 사구게
______________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佛子行道已 來世得作佛
모든 법은 본래부터 오면서
항상 스스로 적멸의 모습이니
수행자가 이런 도를 수행하면
오는 세상에 성불하리라.
▪︎4).열반경 사구게
_____________
제행무상 시생멸법
생멸멸이 적멸위락
諸行無常 是生滅法
生滅滅已 寂滅爲樂
보고 듣는 모든 현상은 변한다.
곧 생하고 멸하는 법칙이다.
이 “생멸이 생멸 아님”을 깨달으면
곧 고요한 열반의 경지이리라.
5 십지(十地)
÷÷÷÷÷÷÷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 52위(位) 중
제41위로부터 제50위까지의
10위는 불지(佛智)를
생성(生成)하고
능히 주지(住智)하여 움직이지 아니하며 온갖 중 생을 짊어지고
교화 이익하는 것이
마치 대지(大地)가 만물을 싣고
이를 윤익(潤益)함과 같으므로
지(地)라 이름.
▪︎1. 환희지(歡喜地)
처음으로 참다운 중도지
(中道智)를 내어 불성(佛性)의
이치를 보고 견혹(見惑)을 끊으며
능히 자리이타(自利利他)하여
진실한 희열(喜悅)에 가득 찬 지위.
▪︎2. 이구지(離垢地)
수혹(修惑)을 끊고 범계(犯戒)의
더러움을 제하여 몸을 깨끗하게
하는 지위.
▪︎3. 발광지(發光地): 수혹을 끊어
지혜의 광명이 나타나는 지위.
▪︎4. 염혜지(焰慧地): 수혹을 끊어
지혜가 더욱 치성하는 지위.
▪︎5. 난승지(難勝地): 수혹을 끊고
진지(眞智) 속지(俗智)를
조화하는 지위.
▪︎6. 현전지(現前地): 수혹을 끊고
최승지(最勝智)를 내어
무위진여(無爲眞如)의 모양이
나타나는 지위.
▪︎7. 원행지(遠行地): 수혹을 끊고
대비심을 일으켜, 2승의 오(悟)를
초월하여 광대무변한 진리
세계에 이르는 지위.
▪︎8. 부동지(不動地): 수혹을 끊고
이미 전진여(全眞如)를
얻었으므로 다시 동요되지
않는 지위.
▪︎9. 선혜지(善慧地): 수혹을 끊어
부처님의 10력(力)을 얻고
기류(機類)에 대하여 교화의
가부(可否)를 알아 공교하게
설법하는 지위.
▪︎10. 법운지(法雲地): 수혹을 끊고
끝없는 공덕을 구비하고서
사람에 대하여 이익되는 일을
행하여 대자운(大慈雲)이
되는 지위.
(6) 등각(等覺)
÷÷÷÷÷÷÷
보살이 수행하는 지위 중에서 제51위(位)의 이름.
이는 보살의 극위(極位)로서
그 지혜가 만덕(萬德) 원만한
부처님과 대개 같다는 뜻으로
이 보살의 각(覺)은
부처님의 묘각(妙覺)까지
1등급이 있으므로 등각이라 한다.
(7) 묘각(妙覺)
÷÷÷÷÷÷÷
보살 수행의 52위인 마지막 지위, 불과(佛果)를 말한다.
열심히 공부하고
그 길을 가는 사람은 다음 생애에도 공부하는 무리들을 만나 또 공부하게 된다.
화엄성중 화엄성중 화엄성중
나무아미타佛 _()_
개나리 학당 묘진
카페 게시글
♥목탁소리
불경 사구게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