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7.3(목) 양북 방폐장 현장
경주핵안전연대에서 핵폐기장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핵폐기장 1단계 공사는 사실상 끝났으며 준공검사 및 운영허가심사 절차를 남겨놓고 있습니다.
핵폐기장은 최근 *뇌물비리 사건, *건설자재 시험성적서 위조, *운영허가 6개월 연기(준공연기)로 또다시 안전성 문제가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경주핵안전연대는 여러 문제점을 제기하기에 앞서 준공을 앞두고 있는 핵폐기장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해 방문을 했습니다.
본격적인 탐사에 앞서 폐기물을 임시 저장하고 있는 시설을 먼저 둘러봤습니다.
- 임시저장시설의 방사선량은 1.39마이크로시버트로 일상 방사선량의 10배 초과
- 하루 60드럼의 폐기물을 검사할 수 있음.
- 현재 반입 수수료는 1드럼당 1193만원.
운영동굴을 통해 하역동굴과 사일로(폐기물 처분고)를 둘러봤습니다.
그림의 파란색 점이 우리가 견학한 지점입니다.
경주핵안전연대 대표들이 서있는 발 뒤쪽으로 은색 맨홀이 보입니다.
맨홀 아래에 큰 수로가 지나갑니다.
사일로 돔 바깥의 암반에서 생성되는 지하수는 이곳에 모여 집수정으로 흐르게 됩니다.
즉, 외부의 지하수를 안으로 끌어들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1번 사일로의 돔부분입니다. 덕트는 환기 장치입니다. 공기순환을 위해 사일로의 하단에선 공기를 뿜어내고 돔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있습니다.
붉은 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사일로와 하역동굴의 경계입니다.
사일로의 콘크리트 두께는 1m지만 1번 사일로의 경우 벽체로 내려오면서 1.6m로 두꺼워집니다.
총 6개의 사일로 중 1번 1.6m, 2번 1.2m, 3~6번 1m 입니다.
1,2번 사일로의 벽체가 두꺼운 것은 이곳에 단층이 지나가는 등 암반이 특히 불량하기 때문입니다.
하역동굴의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경계 지점에 있는 작은 수로입니다.
결로 등에 의해 생기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즉 핵폐기장 시설 안쪽에서 발생하는 물을 처리하는 통로입니다.
배수관으로 떨어진 위에서 본 맨홀로 흘러들어가 집수정으로 모이게 됩니다.
사일로에 핵폐기물을 적재하는 연습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하역동굴 바닥에 설치된 은색 맨홀이 보입니다.
맨홀 아래에 수로가 조성되어 있고 집수정으로 연결됩니다.
사일로 외부와 하역동굴 외부의 암반에서 발생된 지하수를 시설 안으로 끌어들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지하수가 모이는 집수정입니다.
집수정에 모인 지하수를 배수시키는 간이 펌핑 시설입니다.
핵기폐기장이 정상 운영을 실시하면 간이 펌핑 시설을 철거하고 집수정에 설치된 펌핑 시설을 이용하여
수직출입구 쪽으로 배수를 시킵니다. 현재 하루 1300톤의 지하수가 배출되고 있습니다.
수직출입구입니다.
이곳엔 엘레베이트가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지상에서 빠르게 핵폐기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역동굴과 건설동굴의 집수정에 모인 지하수도 수직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건설동굴입니다.
핵폐기장 시설의 최하단부입니다.
초록색 사각형 안에 보이는 벽면이 바로 사일로의 최하단 벽체입니다.
그리고 빨간원에 보이는 것은 맨홀입니다.
맨홀 아래에는 수로가 있으며 건설동굴과 사일로 외부에서 발생된 지하수를 시설 안으로 끌어들이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맨홀을 열어보았습니다.
외부 암반에서 생성된 지하수가 핵기장 안으로 유입되어 졸졸 흐르고 있습니다.
이 지하수는 건설동굴 집수정에 모아서 수직출입구를 통해 배출합니다.
즉 인위적인 펌핑에 의해서만 지하수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펌핑을 중단하면 핵폐기장은 곧바로 지하수에 잠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댓글 고마운 경주 분들이지요..
갈등이 많았던 곳에 사는 사람이..
이 자료대로라면 방폐장 폐쇄뒤 방사능 누출은 불을 보듯 훤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