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팜=김지은 기자] 정부의 비대면 진료 허용이 장기화되면서 병·의원의 팩스 처방전 발행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약국가에서는 우후죽순으로 전송되는 팩스 처방전에 대한 지침, 통일된 형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31일 약국가에 따르면 대형 병원은 물론 중소 병·의원의 전화 처방, 특정 앱을 통한 팩스 처방전 전송과 더불어 관련 문의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지속되면서 기본적인 비대면 진료가 증가하는데 더해 관련 앱 등이 공격적인 홍보를 펼치면서 이를 이용하는 환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처방전 전송을 위해 병의원이나 환자가 팩스 사용 가능 여부나 관련 의약품 보유 여부 등을 묻는 전화도 눈에 띄게 늘었다는 게 약사들의 말이다.
문제는 팩스 처방전이 늘면서 형식이 제각각인데다 기본적인 처방전 양식에 맞지 않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처방전에 환자의 연락처가 기재돼 있지 않거나 처방전을 발행한 병·의원의 팩스 번호가 기재되지 않았거나 다른 경우도 발견되고 있다.
나아가 약사들은 단기 처방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지역 병·의원의 처방전이 전송되거나 향정약 등이 포함된 처방전이 전송되는 경우 조제 여부를 두고 난감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서울의 한 약사는 “약국 업무 특성상 처방전이 접수되면 우선 조제를 하게 되는데 한 이후에 의심되는 부분이 있다면 그때는 처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해진다”면서 “약사회 차원에서 앱을 통한 처방전 전송에 문제를 제기하는 상황에서 일선 약사들은 당장 이런 처방전이 접수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도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약국가에서 정부의 비대면 진료 허용이 유지될 방침이라면 차라리 관련 지침을 만들거나 통일된 형식을 요구하자는 목소리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서울 구로구약사회는 최근 열린 회장단,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팩스로 전달되는 처방전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약국 업무 지침을 마련하자는데 협의했다.
또 상급회에 팩스로 전달되는 처방전이 통일된 형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요청하기로 했다.
구약사회는 최근 들어 팩스 처방전의 처리 여부, 방식 등에 대한 회원 약사들의 문의가 증가하고 있어 관련 내용을 논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구로구약사회 노수진 회장은 “대형 병원에서 전송하는 처방전의 경우 처방 리필의 성격이 강해 오히려 처리가 쉬운 반면 일반 의원에서 전송하는 처방전은 처방 내용 자체에 의문이 제기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면서 “더불어 앱을 통해 전송된 처방전의 경우도 약사들이 우선 조제를 한 이후 상황을 파악해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난감해 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현재 회원 약사들을 통해 팩스 처방전 사례를 수집했다”며 “분회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이나 지침을 회원들에 안내하는 한편, 상급회에 형식 통일화 등 근본적인 방안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2월 24일부터 전화 상담, 처방을 한시적으로 허용한 바 있다. 의사가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전화 상담을 하고 팩스나 이메일 등으로 처방전을 전송하는 것이다.
관련 처방전은 환자가 지정한 약국으로 전송되고, 처방전에 환자 전화번호를 명시해 약사의 전화 복약지도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조제된 약 수령은 환자와 약사가 협의해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