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세 번’이란 말을 사람들은 자주한다. 무슨 일이든 세 번은 해봐야 된다는 뜻도 있고, 세 번 정도하면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다는 의미로도 풀이할 수 있다.
세상을 살면서 자기 인생을 바꿀 기회가 세 번은 온다는 말도 있다.
우리는 옛날부터 3 이란 숫자를 좋은 숫자로 여길 뿐만 아니라 많이 활용 했으며 이 숫자에는 숨어 있는 의미가 아주 많다고 한다.
3이란 숫자는 1과 2가 합쳐 만들어진 것이며, 여기서 1은 양(陽), 2는 음(陰)을 뜻한다고 한다.
즉, 음양이 합쳐진 숫자이며 때문에 음양(陰陽)이 하나로 되어 생물학적으로는 자손(子孫)의 생산(生産)을 뜻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많이 들었던 ‘삼신할머니’라고하는 세 명의 神은 아기를 점지하고, 낳게하고, 잘자라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아기가 태어나도 세이레(三七日)동안 금줄을 쳐서 외부인들 접촉을 통제했다.
이와 같이 3의 의미는 단순한 숫자 보다는 완전함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고 보면 우리는 숫자 중에서 유난히 ‘3’을 좋아하는 민족인 것 같다.
만세도 언제나 세 번을 불러야 하고, 가위 바위 보를 해도 삼세번을 하고,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가고, 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읊었고,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였다.
시집살이 하려면 귀머거리 3년, 벙어리 3년, 눈뜬 장님 3년을 해야 한다. 작심 3일 등 사진 찍을 때도 하나, 둘, 셋이다.
물론 요즘에는 김치라고 하기도 하지만 최소 3초 정도는 웃고 있어야 멋지고 좋은 사진이 나온다고 본다.
아무튼 삼 세 번은 일상의 삶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규범이나 정치 문화에도 적용이 된다.
보통 두 번째까지는 용서를 해도 세 번째 잘 못을 저지를 경우 합당한 벌을 받는다.
법정 선고를 할 때도 방망이를 세 번 두드리고 한국이든 외국이든 국회에서 법안이 통과되거나 부결되어도 의사봉을 세 번 치는 것으로 끝이다.
이처럼 3이란 숫자는 완성(完成) 또는 종결(終結)의 의미가 강하다.
‘삼인성호’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세 사람이 우기면 없는 호랑이도 만든다는 말이다.
세 사람이 서로 짜고 호랑이가 있었노라고 거짓말을 하면 안 속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서양에서는 7을 행운의 숫자로 여기고, 3은 대체로 운(運)으로 풀이 된다고 본다.
한, 두 번 실패 했더라도 포기하지 않으면, 세 번째엔 행운(幸運)이 찾아온다는 속담이다.
우리의 삼 세 번과 비슷하다.
겸손과 배려와 사랑으로 사는 삶속에 화가 날 때나, 언행을 조심해야 할 때, 참아야 할 때, 기다려야 할 때, 삼 세 번을 늘 생각하고, 3초, 3분, 3시간, 3일, 3개월, 3년이 지니는 존재의 힘을 활용해서 지혜롭고 현명하게 살아가는 삶이면 좋겠다.
그러나 우리의 삶에 주님은 3번이 아니라 언제나 늘 함께 하신다.
2024년에는 우리 모든 성도들에게 하나님이 은혜와 축복과 생명과 사랑이 넘치기를 기도한다.
하나님은 살아계셔서 언제나 역사하신다.
힘차게 달려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