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한 식품, 의약품 수요 증가에 따라 콜드체인 확대 추세 -
- 아직 미숙한 기술력과 부족한 인프라로 시장 공략 가능성 높아 -
□ 중국 콜드체인 시스템 현황
ㅇ 중국 냉장·냉동창고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나 세계 수준에 비해서는 낮고 일부 지역에만 편중됨.
- Global Cold Chain Aliance(IARW)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냉장·냉동창고 규모는 6억㎥에 달함. 중국의 냉장·냉동창고 규모는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16년에만 3000만㎥ 가 증가, 1억㎥를 넘어섰으나 여전히 미국·인도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임.
- 중국 냉장·냉동창고는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특정 지역에 밀집된 경우가 많음. 특히 중부와 서부의 농업 지대에 주로 분포함.
2016년 각국 냉장창고 보유량
(단위: 백만 ㎥)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ㅇ 중국 냉장·냉동차량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 운송차량 대비 비중은 낮은 수준임.
- 중국 냉장·냉동차량 시장은 몇 개의 기업이 독점함. 주요 기업은 중지차량(산동)유한공사[中集车辆(山东)有限公司], 전장페이츠자동차그룹유한책임공사[镇江飞驰汽车集团有限责任公司], 허난빙슝냉장차유한공사[河南冰熊冷藏车有限公司], 허난홍위기업그룹유한책임공사[河南红宇企业集团有限责任公司] 등임. 이들은 10년 이상의 중견기업이며 각 기업당 생산량이 2000~3000대 정도임. 이들의 매출이 전체 매출량의 70%를 차지함.
- 국가발전개혁위원회에 따르면, 2010년 냉장·냉동차량 보유수는 2만 대에서 2016년 10만500대로 약 5배 증가함. 하지만 전체 운송차량에서 냉장·냉동차량의 비중은 0.3%에 불과하며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적음. 이로 인해 신선제품의 20~30%가 유통과정에서 부패하는 것으로 나타남. 선진국의 신선제품 손실률은 5~10% 수준임.
ㅇ 선진국과 비교 시 중국 콜드체인 시스템의 활용은 아직 매우 낮은 수준이며 성장 가능성이 높음.
- 선진국(유럽, 미국, 일본 등)의 경우 쉽게 부패되는 식품(매년 10억 톤 이상 수요)의 냉장·냉동 운송비율이 90%를 넘었고, 그중 콜드체인 시스템 이용률은 95~98%임. 특히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육류 등 식품은 100% 콜드체인 시스템을 사용함.
- 중국은 대부분 농식품이 상온에서 유통됨. 일부 육류는 도축이나 저장단계에서는 저온처리를 하나 운송과 판매 등에서 콜드체인 시스템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음.
- 중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 내에서 유통되는 과정에서 콜드체인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율은 채소류 22%, 육류 34%, 수산물 41% 정도로 이용률이 매우 낮은 편임.
중국과 선진국 콜드체인 이용률 비교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콜드체인 시스템 발전 추세
ㅇ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콜드체인 물류시장은 2011년 약 13조 원에서 2015년 약 29조 원으로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22.3% 성장함. 2020년에는 신선식품과 의약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약 77조 원 규모의 시장으로 올라설 전망임.
- 중국 경제 발전에 따라 냉동식품 시장규모가 급성장하며 신흥산업 중 하나로 부상함. 냉동식품 시장규모는 2004년 45억7000만 위안에서 2013년 649억8000만 위안으로 연평균 30%대의 가파른 성장률을 기록함.
ㅇ 신선제품을 취급하는 온라인 플랫폼 증가에 따라 콜드체인 시스템의 수요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임.
- 최근 O2O 등 온라인을 통한 채소, 육류 등 신선식품의 소비가 늘어남. i-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규모는 전년 대비 61.2%가 증가한 약 664억 위안에 달함.
- 티몰(TMALL), 징동(JD), 아마존, 순펑유쉬안(顺丰优选), 1하오뎬(1号店) 등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들도 대거 신선식품을 취급하면서 콜드체인 시스템의 역할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ㅇ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의약품의 시장규모 확대에 따라 정밀한 콜드체인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
- 상무부 의약품 유통통계에 따르면, 중국 7대 신종 의약품 매출액이 1조8393억 위안으로 집계됐으며 전년 대비 10.4% 증가함. 2016년 11월 말 기준 전국 약품 도매업체 수가 1만2975개, 약품 판매 프랜차이즈 매장 수는 1만2975개, 소매점은 22만6331개로 총 판매처가 44만7034개에 달함.
- 그러나 중국 콜드체인 시스템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며, 식약청은 콜드체인 시스템의 문제로 품질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약 10% 정도로 추산함. 그러나 약품검사부문(药监部门)의 통계에 따르면 약 20%가 콜드체인 운송과 보관의 문제를 원인으로 삼음.
2012~2016년 의약품 판매 총액 증가율
자료원: 중국 상무부
□ 우리 기업의 진출 가능성
ㅇ 콜드체인 시스템에서 중국의 기술력과 인프라는 아직 미비함.
- 중국 내 냉장창고 가운데 상당수가 30년 이상 사용한 구형 창고로, 의약품이나 식품 유통과정에서 변질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함. 또한 콜드체인의 관리기법과 냉열방지 및 소방시설이 열악함.
- KMI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콜드체인 시장에선 1600개가 넘는 영세 업체들이 경쟁하고 있지만 물류센터, 육상운송, 항공운송, 공항, 배송 등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형 물류업체는 부족한 상황임.
- 한국무역협회 조사에 따르면 중국이 식품 손실을 위해 식품안전법률을 2009년에 제정하는 등 법적 장치는 마련되고 있으나 온도 모니터링 기술과 정보시스템, 기타 기술 서비스가 미비해 콜드체인 물류의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함.
ㅇ 중국의 복잡한 유통 네트워크를 확보하기 위해서 현지 로컬기업과 협력하는 것이 물류 원가를 절감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
- 중국 물류, 중국 구매연합회(采购联合会)와 콜드체인 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중국 콜드체인시스템은 수송·창고·도시 배송·복합·거래·SCM(공급사슬)의 총 6가지 비즈니스 형태로 운영됨.
형태 | 의미 | 대표기업 |
수송 | 저온 상태에서 운송을 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고, 간선운수와 구역별로 배송하는 것까지 맡음 | 솽후이물류(双汇物流), 룽칭물류(荣庆物流), 쭝룽물류(众荣物流) |
냉동창고업 | 냉동냉장 시설을 갖춘 창고보관 업무를 주로 하며 다양한 창고 서비스를 맡음 | 타이구콜드체인(太古冷链), 푸페이쓰(普菲斯) |
도시 배송 | 배송과 창고를 일체형으로 해 도시에서 집까지 직접 배달하는 시스템 | 베이징콰이싱셴(北京快行线), 상하이신톈톈(上海新天天), 선전수광(深圳曙光) |
복합 | 냉동창고와 간선운송 및 도시 창고 보관과 배송 업무를 종합적으로 함 | 자오상메이링(招商眉棱), 상하이광더(上海广德), 베이징중렁(北京中冷) |
거래 | 농산품 도매시장의 제품을 주로 취급하며 저온 보관 업무를 우선으로 함 | 장쑤룬헝(江苏润恒), 푸젠밍청(福建名成) |
SCM (공급사슬관리) | SCM 기반한 유통 시스템으로 물류 정보화를 통해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공급과정을 관리함 | 우한양중싱(武汉良中行) |
자료원: '中国冷链物流发展报告2016' 자료,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ㅇ 비용 절감과 환경보호 등을 강점으로 중국 콜드체인 물류 시장진출 가능성 높음.
- 냉장운송의 경우 계속 냉동기를 켜 놓아야 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국내 운송 시간이 길기 때문에 그만큼 공해 배출이 많고 유류비가 높아짐. 이로 인해 운송 중 냉동기를 꺼놓거나 기준 온도보다 높이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함. 현재 중국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필요로 함.
- 한국에서 사용되는 ESS와 인버터, 엔진을 결합해 주행 중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시동을 끄더라도 배터리의 동력으로 냉동기를 돌릴 수 있는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을 강조하면 중국 시장 진출에 더욱 가능성이 높을 전망임.
- 한국은 콜드체인 물류센터 운영 시 창고 레이아웃 설계, 포장기술 개발, 자동화 시스템 등 전 과정에서 선진화됐으며 이 중에서도 IT 기술을 활용한 창고운영 및 물류과정 내 온도관리가 강점으로 꼽힘. 중국 진출 시 이 부분을 내세워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시사점
ㅇ 신선식품과 온도에 민감한 의약품 유통 수요 증가로 온습도 조절, 화물상태 모니터링, 원격제어를 연계한 콜드체인 시스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물류 산업 전체의 발전을 촉진함.
ㅇ CJ대한통운은 콜드체인 물류 강점을 이용해 롱칭물류와 협력 방식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함. 중국 협력사를 통해 물류 네트워크를 확산시키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음.
ㅇ 중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따라 콜드체인에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 및 에너지절약 기술, IT 기술 등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다면 중국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IARW, 중국 상무부, 한국무역협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가발전개혁위원회,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