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채
구미쌍암고택사랑채
사랑채는 대문채 바깥 마당의 한단 낮은 터에 따로 두었는데 사랑방이 안마당 구역에서 분리되어 따로 배치된 예는 드문 것이다.
대청과 큰사랑방·골방·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청의 뒷면 2칸은 한단 높은 마루로 꾸며 위계를 두었다.
이런 수법은 경북지방 양반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큰사랑 2간 사이에는 장지문을 달았고 천장에는 간이 넓은 소란반자를 탄탄히 짜고 모두 백지로 싸발랐다.
큰사랑방의 아랫방 안쪽에 접한 1간방은 “골방 ”이며 그 옆에 붙은 방이 빈청방이다.
골방이 이처럼 큰 예는 하회북촌택(河回北村宅) 안방의 예와 같이 간혹 큰집에서는 볼 수가 있다.
사랑채는 넓은 마당을 앞으로 해서 一자로 남향해 있는데 이 마당이 안으로 내왕하는 통로인 셈이나
사랑 뒤로 출입했을 것이라 짐작된다.
사랑마당보다 높게 돋구어진 축단위에 안대문채가 사랑마당을 동으로 향해 一자로 세워져 있다.
이 안대문채는 근년의 개축이다.
쌍암고택안대문채
구미쌍암고택안채
안채는 ㄷ자형으로 동쪽을 향하였고, 一자형의 대문채는 안채와 마주 향하여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형 구조를 보인다.
안채의 중심은 6칸 크기의 대청으로, 이 지역 민가 형식으로는 매우 드문 규모이다. 대청의 오른쪽에는 찬방이 있고
그 아래쪽으로 큰 규모의 안방과 부엌이 연달아 있다.
안방을 안마당의 트인 곳과 접하게 함으로써 자연채광을 직접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옆 찬방의 출입문은 안방에만 두어 안방에서만 출입할 수 있다.
안방의 맞은편 쪽으로 보이는 건넌방을 이 집에서는 웃방이라고 부르는데, 비교적 큰 규모이다.
이 방의 옆으로 마루와 방,부엌이 있는데 부엌은 안방 옆에 있는 부엌과 마주보는 대칭을 이루고 있다.
안방 문 앞과 건넌방 문 앞에는 긴 쪽마루를 설치하였다.
특이한 것은 대청 왼쪽 윗벽에 설치되어 있는 긴 시렁과 앞 기둥에 부착된 5단 탁자형의 시렁이다.
시렁은 세면도구와 간편한 소도구를 얹어두는 고정 탁자의 구실을 하는 매우 보기 드문 설비이다.
쌍암고택사당
구미쌍암고택 건물배치도
첫댓글 대학다닐 때 자주 갔었는데 주로 사랑채에서 기거하다가 강을 건너면 고아면이 나오고 이곳에서 고향(내예동)까지는 2시간정도 걸렸다. 친구(최섭: 유한킴벌리 상무로 퇴직)는 현재 김천에 있으며, 우리동기들과 친숙한 사이임.
위 사진은 인터넷에 있는 것을 퍼왔읍니다. 인간극장에서 2번(본방, 앵콜)방영되었습니다.
오랜만에 좋은 집 잘 봤네 ~ 오늘날 우리들의 삶의 깊이는 무엇인가 자문(自問)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