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찬송가에 나타난 용어및 약자 해석에 대하여
1. 아멘
1) 아멘의 뜻 아멘은 히브리어ָ אמו(’ámén), 헬라어’αμην(amén) 영어 Amen(á:mén, éimen)으로 발음된다. “히브리어 동사 אעוָ(àman의뢰가 된다. 의지가 된다)에서 온 부사가 ⌜아멘-⌟으로서 진실로, 참으로의 뜻이 있다.” - 간추린 성서 대사전 이성호편 “히브리어에서는 ‘확고히 하다’ ‘기초를 세우다’,‘설립하다’, ‘받쳐드리다’등의 의미를 갖는다, 그런고로 ‘지지하다’ ‘그렇게 될 것을 확신한다’의 뜻을 갖고 있다. 헬라어에서는 ‘지실로’, ‘정말로’, ‘실로’ 이외에도 ‘그렇게 되어 주소서’ 혹은 ‘그렇게 이루어 주소서’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성서 대백과 사전 “아멘이 예배 의식적인 의미로는 긍정(affirmation), 맹세(Oath) 그리고 받아드림(acceptance)의 뜻이다. - Eric Werner의 The Sacred Bridge
2) 아멘의 유래 유대인들이 종교생활에서 사용하던 관용어였었는데 기독교회에서 그대로 받아들여 예배의식에서 사용하는 예배용어가 되었다.
3) 성서에서 사용한 아멘의 예
(1) 구약 ① 맹세: 신 27:15 종교적인 율법을 지키기로 응답하여 맹세하는 뜻 민 5:22 이스라엘 백성들의 판죄법으로 간음한 혐의가 있는 여인을 재판하는 규 정에서 맹세의 의미로 아멘하게 함 느 5:13 느헤미아가 세금징수법을 세워놓고 맹세시킨다. 이렇게 맹세의 뜻으로 쓰일 때는 따로 쓴다. ② 동감: 왕상1:36, 렘 28:6, 계 7:12, 계 22:20 유대인들이 명령과 기도에 그리고 앞에 진 술된 말에 대하여 동감의 뜻으로 쓸때 사용했다. ③ 송영뒤: 대상 16:36, 느 8:6, 시 106:48 지도자가 여호와를 송축한뒤 모든 회중은 아멘 으로 응답하였다. ④ 확고함: 창15:6 아브라함은 여호와를 믿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해 아멘이라 했다. ‘확고 함’이나 ‘믿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 ‘아만’에서 나왔다.
(2) 신약 ① 주 예수 이름으로 아멘: 명사는 예수에 대한 명칭으로 사용됨 (계3:16) ② 예수님에 의해 사용된 아멘: 예수님이 가르치신 주의 기도 끝에 아멘을 사용했으며 공관복음에서 54회나 아멘을 사용하셨다. 예수는 다음에 나오는 말을 확증하기 위해 말하기전에 이 단어를 사용하였다. (마 5:18, 26, 6:5, 10:15, 13:17 요 1:51, 3:3, 5:19, 24, 25, 12:24, 14:12) ③ 사도 바울에 의해 사용된 아멘: ⓐ 서신에서 축복의 뜻으로, 마지막 맺는 말로서의 아멘사용을했다. )롬 15:33, 16:27, 고전 16:24, 갈 6:18, 빌 4:20, 딤전 6:16) ⓑ 다음으로 하나님에 대한 찬양을 드린후 아멜을 사용했다. (롬 11:36, 갈 1:5, 엡 3:21, 빌4:20) ⓒ 짧은 송영 다음에 아멘을 사용했다. (딤전 1:17, 6:16, 딤후 4:18) ⓓ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찬양의 묘사뒤에 사용했다. (롬1:25, 9:5, 고후 1:20) ⓔ 그리스도인들은 듣는자의 동의를 나타내기 위해 기도후 사용했다. (고전 14:16) ④ 다른 사도들에 의해 사용된 아멘: ⓐ 세세무궁토록이라는 구의 마지막에 아멘을 첨부하여 찬양의 끝맺음으로 사용했다. (히 13:21, 벧전4:11, 5:11, 벧후3:18, 유1:25, 계1:6, 7:12) ⓑ 계3:15, 5:14, 7:12, 19:4에서 기원 축복을 아멘으로 끝맺고 그리스도안에서 인격화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4) 찬송가에서의 아멘 사용 “유대주의에서는 어떤 기도 끝에 아멘을 사용하는 것을 필수적으로 생각하였고 회당에서는 회중들이 아멘으로 응답하기 전에 선창자가 ‘Beraka'를 계속해서는 안되었다”고 한다.-Eric Werner 의 The Sacred Bridge * 느헤미아 8:6: 에스라가 여호와를 송축할 때 모든 백성이 ‘아멘 아멘’으로 응답했다. * 역대상 16:36: 성전음악인 레위인이 하나님을 찬양할 때 모든 백성이 ‘아멘’하고 여호와를 찬양하였다. * 성전예배때 선창자들이 노래하면 짧은 단어인 ‘아멘’으로 응답하였다. * 찬송가에서 아멘사용의 유래: 영국왕실의 한 관리였던 읠리암 허니스(William Hunnis)가 1583년 자신의 자작 찬송시를 출판할 때 모든 찬송가 끝에 ‘아멘’을 첨가 하였다. * 김경선은 “찬송가는 아멘을 붙이고 복음성가는 아멘을 붙이지 않고 복음 찬미는 단독일때는 붙이지 않고 복합일때는 붙인다.”라고 주장한다. * 아멘은 예배 용어이다. 예배의식적인 의미로 긍정, 맹세, 받아드림의 뜻으로 그렇게 될 것을 확신한다. 그렇게 이루어지이다. 지실로, 정말로, 그리고 그렇게 되게 하소서 라는 기원의 뜻을 가지고 있다. * 아멘에 부합되는 가사내용은? ① 하나님 혹은 삼위중 각위에게 찬양을 드리고 감사를 드리는 내용인 경우이다. ② 나와 그리고 나와 관계된 모든 이우의 일상생활 및 신앙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 을 위해 간구하는 기도의 내용인 경우이다. ③ 하나님을 향한 나의(우리의) 서원에 관한 내용인 경우이다. ④ 가사에 실린 내용을 긍정하여 받아 드리고 맹세하는 결단의 태도를 표현할때이다. ①-③까지는 가사내용에서 아멘을 붙일 수 있는 경우이고 ④는 교회성가를 부른후에 영적인 반응의 결과로 아멘을 붙이게 되는 경우이다.
2. 할렐루야
1) 할렐의 뜻 ‘할렐’이란 랍비용어로 시편의 찬양송 몇몇편을 통틀어 지칭한것인데 유대인의 기도서 용어가 되었다. 히브리어 동사 (Hallel, 할렐)은 기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써 ‘찬양하다’(대하7:6)의 뜻이다.
2) 할렐의 사용 * 할렐 시편들을 다음과 같이 이름을 붙였다.:대 할렐 시편 (시120-136편),할렐 시편 (시146-148편),애굽의 시편 (시113-118) *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정에서 유월절의 의식을 행하는 동안, 그리고 회당모임에서 무교절, 오순절, 장막절에 할렐을 암송했다고 한다. * 예수님이 마가의 다락방에서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을 드실때도 할렐 시편 113에서 118편까지를 읽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3) 할렐루야
(1) 할렐루야의 뜻 히브리어로는 (할렐루야)로 발음하고 헬라어로는 (알렐루야)로 발음한다. 이 말의 뜻은 ‘너희는 여호와를 찬양하라’라는 뜻이다.
(2) 할렐루야의 사용 * ‘할렐루야’는 송영의 한부분으로써 또는 독립된 송영으로 다루게 되며 말 자체는 음악적인 함축성을 갖고있지 않다하더라도 할렐루야는 항상 노래와 찬양과 관계하여 생각게 된다. * 할렐루야는 예배 끝에 인사로써 사용되기 까지도 하며 송영적인 할렐루야는 보통 ‘아멘’과 나란히 사용된다 (시106:48, 대상16:36, 계19:1-8)라고 탈무드는 말한다. * 시편에서 ‘할렐루야’가 처음에만 붙은 것은 시 111편, 시112편, 시147편, 시148편, 시149편,시150편이다. 그리고 끝에만 붙은 것은 시105편, 시115편, 시116편이다. * 유대인들은 이들 시편을 그들의 예배나 절기에서 사용했을뿐만 아니라 초대기독교에서는 ‘할렐루야’를 날마다 외쳤다고 한다.
3. 호산나
1) 호산나의 뜻 히브리어로는 הֿושיעהנא(호시아나), 헬라어로는 ωσαννα(호산나)로 발음하며 영어로는 Hosana인데 ‘구원하소서’의 뜻이다. 호산나는 원래 하나님께 드리는 히브리어 기원으로써 ‘오! 구원하소서’, ‘이제 구원하소서’, ‘우리들을 구원하소서’라는 뜻이다. 즉 기원의 뜻이다.
2) 호산나의 사용 * 하나님께 드리는 기쁨의 갈채 찬양의 송영으로 사용 * 예레미야시대는 기쁨의 탄성 또는 환호성이 되었다. (렘31:7) 이런 의미로 호산나는 즐거운 장막절에 사용되어으며 장막절의 일곱째날을 위대한 호산나(The great Hosanna) 또는 호산나의 날(Hoanna Day)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유대인들이 절기때 시편(시118:25)을 노래할 때 종려나무, 도금향 그리고 버들가지를 흔들었다고 한다. 이렇게 예배의식용 외에도 황과 손님들을 잔치에 영접할 때 할렐과 나뭇가지들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러한 인용문들을 미루어 보면 예수님을 왕의 의미로 당시 호산나 외치면서 영접한 것을 우리는 이해할 수 있다.(막11, 요12, 마12:9,15)
4. 송영(doxology)
“doxa는 70인역에서 히브리의 어근, √kbd의 의미를 가졌으며 이것은 영광, 명예, 빛, 빛의 발기체, 빛나는 영광등의 뜻을 가진 것으로 생각한다고 Caspary, Morgen과 G.Kittel은 논증하고 있다.” 이러한 뜻의 doxa와 logy가 합쳐져서 예배의식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이해한다. 교회에서는 doxology하면 단순한 축복이 아니고 무한성의 신을 찬양하는 것이다. 서방교회는 2개의 송영적인 기도를 만들었다. 그것이 대송영과 소송영이라 불리워진다. 대송영은 사도법전(Apostolic Constitutions)에 기록되어있다. Gloria in Excelsis로 알려진것인데 눅2:14을 시적으로 의역화 시킨 것이다. 소송영의 가사는 Glory th the Father and to the Son and to the Holy Spirit, now and always and forever이다. 개신교 교회에서 사용하는 소영은 주로 소송영이다. 이 소송영은 3위 일체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다.
5. 단선성가 (Plain chant 혹은 plain song)
A.D.313년이후 예배의식이 제도화되고 예배음악이 표준화되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에 예배용 성가는 모두 단선율로 무반주로, 제창으로, 그리고 영창 형식으로 노래를 불렀다. 이것이 소위 단성성가이다. 나라마다 갖고 있는 언어의 특성, 음악의 특성, 그리고 예배의식형태의 다양성 때문에 나라마다 특징있는 단선성가를 갖게 되었다.
1) 암브로시안 챤트(Ambrosian chant) * 이태리 밀란 지역과 그 가까이에 있는 지역에서 발견된다. 성 암브로스(b. Trier, C.340;d. Milan, A.D397)가 만들기도 하고 동방각지를 순회하면서 모아 편집하여 밀란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던 단선성가이다. * 음악형식은 보통 실라빅으로 되어 있으며 노래의 끝에 와서 단순멜리즈마로 끝나는 형식과 긴 멜리즈마로 된 형식도 있다.
2) 그레고리안 챤트 (Gregorian chant) 그레고리 교황 I세(Gregory the Great I, b. Rome, C.540:d. Rome, 12.March.640)가 다스릴때 주님도 한분이요 성경도 하나이니 예배찬양의 음악도 하나로 통일되어야 한다는 철학하에 예배에서 사용되어 오던 성가를 모두 모아 집대성하여 그레고리안 챤트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예배음악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음악학교를 로마에서 재활성화하여 사제들을 훈련시켜 서방각지에다 파송하였다. 그 결과로 스페인, 밀란, 로마에 있는 어떤 교회들과 같은 소수의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 유럽이 그레고리안 챤트를 예배때 찬송가로써 노래 불었다. 음악형식은 실라빅, 네우마식, 멜리즈마식으로 되어있다.
3) 비잔틴 챤트(Byzantine Chant) A.D.330년 콘스탄틴 대제가 로마제국의 수도를 비잔티움(Byzantium)으로 옮기고 수도를 콘스탄티노플이라 이름을 바꾸어 다스린이래 오트만(Ottoman)에 의해 1453년 비잔틴 제국이 함락되기전까지의 비잔틴 제국에서 사용하던 성가이다. 비잔틴 제국은 주로 그리스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리스 언어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그리스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비잔틴 챤트의 주된것은 시리아의 예배의식에서 그 유래를 찾을수 있으며 시리아의 예배의식은 거슬러 올라 가서 유대 회당의 관습에서 또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챤트의 음악적 특징은 무반주, 단선율, 주로 음절식, 그리고 전음계적이다. 챤트의 가사면에서의 특징은 주로 헬라시오 된 창작 가사를 사용했다.
4) 모자라빅 챤트(Mozarabic chant) 'Mozarabic'이란 용어는 “A.D.711년에 Iberia 반도에 모슬렘의 침략후 마호메트교(Moslem)가 지배하고 있던 당시의 기독교인들의 생활에 관계된 것으로 바로 기독교인을 의미하는 모자랍스(Mozarabs)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의식이나 챤트자체는 아랍적인 자취를 지니고 있지 않다. 모자라빅 챤트는 바로 A.D.1085년 로마 예배의식을 강요당하기 전 까지는 스페인 기독교인들에 의해 사용된 것이다.
5) 갤리칸 챤트(Gallican chant) 페핀(Pepin d. A.D.768년)과 샬만 대제(Charlemagne d. A.D.814년) 통치때 프랑스의 골(Gaul) 지방에서는 예배의식에 그레고리안챤트를 사용하게끔 강요했었다. 그런데 이 갤리칸 챤트는 페핀이나 샬만 대제 이전에 골(Gaul)지방에서 예배의식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단선성가이다.
6) 아르메니안 챤트(Armenian chant) 아르메니아 교회에서 사용되던 단선성가이다. 아르메니아는 유대관습을 많이 따랐으며 예배의식에서 사용하는 용어도 유대관습을 따랐기 때문에 초기 단계의 시편 연주는 히브리 영창법과 유사하였다.
7) 시리안 챤트(Syrian Chant) 시리아 교회는 궁극적으로 안디옥(Antioch)교회를 이어받았다고 할수있다. 예배의식은 유대적인것을 전승했기 때문에 히브리영창법과 유사하다.
8) 켈틱챤트(Celtic chant) Celtic언어가 사용되던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영국서북쪽, 영국남서부 그리고 웨일즈에 있는 교회들 사이에서 사용된 예배의식음악이다. 로마예배의식과는 다르고 갤리칸예배의식과 비슷하다.
9) 콥틱챤트(Coptic chant) 애굽의 콥틱정교회에서 사용한 전통적인 예전음악이다. coptic이란 용어는 아랍어 'qibt'와 같은 말로 ‘애굽의 기독교인’이란 뜻이다. 콥틱교회는 성.마가(St. Mark)가 정립한 전통에 따라 세워진 알렉산드리아의 교회 계통에서 유래를 찾을수 있다.
6. 코랄 (Chorale)
독일어로는 ‘Choral',영러로는 ’Chorale'인데 용어 ‘choral' 은 전통적으로 라틴 단선성가 레퍼토리의 선율에 관계되어졌던 것인데 16세기후에는 자국어 회중찬송가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종교개혁과 더불어 종교개혁자 루터는 만인제사장설을 강조하면서 모든 사람이 직접 하나님앞에 나아가 기도드려 사죄함을 받고 직접 응답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결과 자국어 회중찬송가 즉 Chorale이 만들어졌다. 독일코랄의 대체적인 특징과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1)고정리듬을 갖고 있다. 2)가사는 자국어를 사용한다. 3)장.단음계에 의해 곡조를 만들었다. 4)음악자료는 창작곡조, 세속민요곡조, 종교개혁이전의 비예전음악 그리고 로마카톨릭의 좋은 예번음악이다. 5)가사의 자료 역시 창작가사와 로마카톨릭에서 좋은것을 가져와 사용하였다.
7. 약자해석
1) b.: born의 약자로 출생연도를 말한다. 2) C.: Circa(s irk), Circiter(s :rsit :라틴어)의 약자로 ‘약’의 뜻이다. 3) d.: died의 약자로 사망연도 4) attr.: attributed to ...의 것으로 추정한다 (출처, 기원에서) 5) ascribed to : ....의 것으로 한다 (작자 미상이나 대략...의 것으로 한다. 6) Arr. by: Arranged by...에 의해 편곡되다. 7) Arr. from: Arranged from ...의 것을 편곡하다. 8) Harm. by: Harmonized by ....에 의해 화음붙여지다. 9) Adapted from: ....에서 택하다. 10) Trans. by: ...에 의해 번역되다. 11) Para. by: Paraphrase by ...에 의해 의역되다. 12) Alt: Alternate 재수정하다. 13) Anon: anonymous 작자미상
|
|
첫댓글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