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혜석 羅蕙錫 (1896~1948)】 "여성 독립운동 자금모금책... 일군경에 체포 옥고치러"
1896년 4월 28일 수원군 수원면 신풍리 291번지에서 출생한 나혜석은 1910년 수원 삼일여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9월 1일 서울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입학하여, 1913년 3월 28일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했다.
졸업 한 그해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에 진학해 서양화를 전공했다. 한국인으로 4번째, 여자로서는 최초로 서양화를 전공하게 된 셈이다. 당시 매일신보는 동경의 여자유학생 30명 가운데 나혜석이 제일 뛰어나다고 보도하고 있다.
나혜석의 일본유학은 개방적인 집안 분위기와 재정적 기초가 있었던 탓이었다. 이미 오빠 홍석(弘錫)과 경석(景錫)이 모두 일본에 유학하여 대학교육을 받았고, 특히 나경석이 나혜석이 그림에 소질이 있음을 알고 일본 유학을 적극 권장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오빠 나경석과 조선인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학우회(學友會)의 기관지 '학지광'에서 인쇄인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던 약혼자 최승구를 통해 사회적이며 민족적인 문제에 눈을 뜨게 됐다.
이에 나혜석은 학지광(學之光)에이상적 부인(理想的 婦人),잡감(雜感) 등을 발표함으로써 근대적 여권(女權)의 신장을 주장하게 됐다.
1915년 4월 김정화(金貞和) 등과 함께 발기하여 조선여자유학생친목회(朝鮮女子留學生親睦會)를 조직하면서 행동으로 옮겨졌다. 친목회의 취지는 동경에 있는 조선 여자 서로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지식을 계발하며 국내 여성을 지도 계몽하자는 데 있었다. 창립 당시 전영택(全榮澤)․이광수(李光洙) 등이 고문으로 활동했다.
나혜석은 이 조직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조선여자유학생친목회는 잡지 여자계를 간행하는 동시에 기금 모집에 힘쓰고, 정기 총회와 임시총회를 통해 시사에 관한 사항을 논의했다. 특히 시사에 관한 논의를 할 경우 조선의 근대화 문제, 제1차 세계대전 문제, 여성해방론, 민족문제 등을 논의했다.
최승구가 1917년 26세로 폐병으로 죽자 당시 19살이었던 나혜석은 깊은 충격으로 정신쇠약 증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나혜석은 1917년 10월 17일 동경 조선교회당 내에서 개최된 임시총회에서 여자친목회 총무로 선출됐다.
회장에 김마리아, 서기 정자영(鄭子英), 부서기 김충의(金忠義), 회계 현덕신(玄德信) 등이 선출됐다. 또한 나혜석은 허영숙(許英肅), 황애시덕(黃愛施德) 등과 함께 여자계의 편집위원으로 선출되어 편집부장인 김덕성(金德成)을 보필했다. 여자친목회 관계자들은 이후 3/1운동 당시 함께 긴밀히 연결되어 활동하게 됐던 것이다.
여자계는 창간 이후 경비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었는데 전영택과 함께 적극적으로 학생들을 오가며 간행기금을 호소하기도 하고, 또한 출연금을 내서 발간에 힘쓰게 됐다.
나혜석은 1918년 3월 동경여자미술학교를 졸업하여 4월 귀국하여 모교인 진명여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일하다가 건강이 나빠 익선동(益善洞) 자택에서 요양하면서도 여자계를 위해 힘을 쓰고 있을 정도로 애정을 갖고 있었다.
1919년 경성부 운니동 37번지 집에서 혼자 그림 연구를 하고 있었는데 이 때 동경에서 유학생을 중심으로 2․8독립선언이 있었고, 3/1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활동했다.
일본에서부터 같이 활동했던 김마리아. 황애시덕(黃愛施德)을 비롯하여 당시 여성 지식인으로 손꼽혔던 이화학당의 교사들이던 박인덕(朴仁德)신준려(申俊勵) 등과 더불어 비밀회합을 통해 거족적 독립운동에 따른 지식인 여성들의 역할과 여학생의 참가 계획을 논의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혜석은 자금 모집을 위하여 해주, 평양 등 황해도평안도 지역을 돌며 운동을 했다.
일제 군경에 체포돼 8월 4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일이 커지는 것을 막으려는 일제의 배려로 면소 및 방면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옥중에서 곤욕을 치뤘다.
이 때 변호사는 김우영(金雨英)으로 동경 유학시절부터 적극적으로 나혜석에게 구애를 해왔던 인물이었다. 이러한 인연으로 1920년 24살의 나혜석은 3년전 상처하고 독신으로 살고 있던 김우영과 결혼했다. 이러한 일면도 당시의 상황에서 보면 쉽지 않을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이해 문예지 폐허의 창간 동인으로 참여함으로써 화가로서 뿐 만 아니라 소설가로 창조적 역량을 넓혀가고 있었다. 당시 신학문을 한 사람들 대부분 문학과 관계를 맺고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때였다.
1918년 6월 고희동(高羲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단체인 서화협회(書畵協會)가 창설되는데 나혜석을 비롯해 김창섭(金昌燮),이종우(李鐘禹),박광진,장발 등이 참여함으로써 서양화단이 형성됐다. 나혜석은 귀국 후 3~4년 동안 작품활동을 표면화시키지 않고 개인화실에서 창작에 몰두했다.
이러한 창작의 과정은 1921년 3월 19일부터 이틀간 경성일보 후원으로 내청각(來靑閣) 전시장에서 첫 개인전을 열게 했다. 풍경화를 중심으로 한 70여 점의 유화가 출품된 개인 전시회는 서울에서 한국인 화가로 열리는 최초의 일이었던 만큼 신문에 대서특필됐다.
한국인으로서는 2번째이고, 한국 여류 최초의 유화 개인전이었다. 한국 근대 미술사에 하나의 이정표와 같은 사건이었다. 같은 해 4월 3일 매일신보에는 자기 고백적인 시인형의 집을 발표했다.
김우영과 결혼한 이후 1927년부터 16개월에 걸친 유럽여행은 서양화가 나혜석에게 또 다른 미술 흐름을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그러나 먼저 귀국한 남편보다 1년간의 더 프랑스 파리에 남아 있던 나혜석은 당시 중추원 참의였고 언론사 사장이었던 최린과의 염문설로 이혼을 당하게 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러나 나혜석은 이러한 현실에 굴하지 않고 잡지 삼천리에 ‘이혼고백서’를 게재하여 부조리한 가부장적 가치에 대하여 저항했다. 그러나 이후 최후의 100여 점의 개인전에 대한 평단과 대중의 싸늘한 반응에 직면하여 붓을 놓은 채 수덕사와 마곡사 등을 전전하며 정처없는 유랑의 길에 올랐다. 행려병자가 되어 용산에 있는 시립병원 자제원(慈濟院)의 무연고자 병동에서 홀로 숨을 거두었다.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칼럼니스트요, 시인이자 소설가였던 나혜석은 여성권익과 여성운동의 사상을 끊임없이 작품을 통해 표현했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단순한 부도덕함이나 욕심과 허영의 형태가 아니라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그 고뇌속에서 행복한 삶을 구가하려는 노력과 실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48년 12월 10일 서울시립 자제원에서 행려병자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