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비(似而非)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듯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아주 다른 것을 말한다.
似 : 같을 사(亻/5)
而 : 어조사 이(而/0)
非 : 아닐 비(非/0)
(유의어)
구밀복검(口蜜腹劍)
구유밀복유검(口有蜜腹有劒)
동상각몽(同床各夢)
동상이몽(同床異夢)
면종복배(面從腹背)
사시이비(似是而非)
소리장도(笑裏藏刀)
소면호(笑面虎)
소중유검(笑中有劍)
양두구육(羊頭狗肉)
양봉음위(養蜂陰違)
양질호피(羊質虎皮)
우맹의관(優孟衣冠)
표리부동(表裏不同)
출전 : 맹자(孟子) 진심편(盡心篇), 논어(論語) 양화편(陽貨篇)
사이비(似而非)는 공자(公子)의 말에서 유래했다. 만장(萬章)이 그의 스승 맹자(孟子)에게 물었다. "온 고을이 다 그를 향원(鄕原; 점잖은 사람)이라고 하면 어디를 가나 향원일 터인데 공자(孔子)께서 덕(德)의 도적이라고 하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맹자(孟子)가 대답했다. "비난을 하려 해도 비난할 것이 없고 공격을 하려 해도 공격할 것이 없다. 시대의 흐름에 함께 휩쓸리며 더러운 세상과 호흡을 같이 하여 그의 태도는 충실하고 신의가 있는 것 같으며 그의 행동은 청렴하고 결백한 것 같다. 모든 사람들도 그를 좋아하고 그 자신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는 함께 참다운 성현의 길로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덕의 도덕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공자는 말씀하셨다. "나는 같고도 아닌 것(似而非)을 미워한다."라고. 즉, 그들은 꼬집어 비난할 구석이 없으며 언뜻 보기에는 청렴결백한 군자와 같으나, 실인즉 오직 세속에 빌붙어서 사람들을 감복케 하고, 칭찬을 받으며, 자신도 만족한 삶을 누리는 것뿐 결코 성인(聖人)의 도를 행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이들이야말로 '덕의 적'이라 하고 세상의 사이비한 인간을 미워한다.
돌피는 잡초에 불과하나 벼포기와 비슷한 까닭으로 더욱 성가시다. 수작이 능한 자를 미워함은 정의를 혼란케 만드는 때문이요, 鄭(정)나라의 음악을 미워함은 그것이 아악과 비슷한 관계로 향원을 증오하는 까닭은 그들이 덕을 어지럽게 한다는 데 있다고 갈파했다.
---
사이비(似而非)
겉은 비슷하지만 속은 완전히 다르다는 뜻이다. 이 말은 맹자(孟子)의 진심편(盡心篇)과 논어(論語)의 양화편(陽貨篇)에 나온다. 맹자(孟子)의 진심편(盡心篇)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날 제자인 만장(萬章)이 맹자에게 물었다. "마을 사람들이 향원(鄕愿)을 모두 훌륭한 사람이라고 칭찬한다면 그는 훌륭한 사람이 분명할 텐데 왜 유독 공자께서만 그를 덕을 해치는 사람이라고 하셨는지요?"
맹자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마을 사람들이 비난하려고 하여도 비난할 것이 없고, 일반 풍속에도 어긋남이 없다. 집에 있으면 충심과 신의가 있는 척하고 세상에 나아가 행할 때는 청렴결백한 척한다. 그래서 그의 겉 모습만 본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를 좋아하며, 스스로도 옳다고 생각하지만 그와는 함께 요(堯)와 순(舜)과 같은 도(道)에 들어갈 수 없으므로 덕을 해치는 사람이라 한 것이다. 그래서 공자도 '나는 사이비한 것을 미워한다(孔子曰 惡似而非者)'라 한 것이다."
사이비는 원문에는 '사이비자(似而非者)' 또는 '사시이비(似是而非)'로 되어 있다. 사이비는 비슷하지만 실제는 아니기 때문에 외모는 그럴듯하지만 본질은 전혀 다른 것이다. 즉 겉과 속이 전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사이비는 명사 단독으로 문장 안에서 주요 문장 성분으로 분포하기도 하기도 하지만 다른 명사를 꾸며 주는 관형어로 더 많이 쓰인다.
'사이비 의사', '사이비 종교', '사이비 신도' 등과 같이 수식받는 명사가 내용이나 실제가 특히 중요하지만 그 내용이나 실제를 갖추지 못한 채 외양이나 형식만 그럴듯할 때 그 대상을 수식하는 관형어로 분포한다.
'사이비'라는 말과 비슷한 뜻을 지닌 고유어로 '돌팔이'가 있다. 이 말은 엉터리 실력을 가지고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을 속되게 가리키는 것으로 주로 쓰인다.
'의사'와 결합할 경우 '사이비 의사', '돌팔이 의사'는 둘 다 쓸 수 있다. 그러나 '종교'라는 단어와 결합할 경우 '사이비 종교'는 자연스러우나 '돌팔이 종교'는 매우 어색하다. 따라서 '사이비'보다 '돌팔이'가 전문직의 의미가 더 강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외래어로서 '사이비'와 비슷한 뜻으로 한때 많이 쓰였던 것으로는 '나이롱 신도', '나이롱 면허', '나이롱 학생' 등에서 볼 수 있는 '나이롱'이라는 말을 들 수 있다.
'나이롱'도 겉만 비슷하고 실제는 다른 것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사이비'와는 달리 명사 단독으로는 잘 쓰이지 않고 다른 명사를 꾸며 주는 관형어로 많이 쓰인다.
요즘에는 '무늬만 학자', '무늬만 의사', '무늬만 학생' 등에서 처럼 명사 '무늬'에 보조사 '만'이 결합한 '무늬만'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데 이때의 '무늬만'도 '사이비'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고 하겠다.
---
사이비(似而非)
본래는 사시이비(似是而非)라는 고사성어의 준말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듯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아주 다른 것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한자를 그대로 풀어 보면 비슷하지만 아닌 것이다. 사이버가 아니다.
용례는 다르지만 비슷한 말들은 다음과 같다. '돌팔이, 나이롱, 무늬만, 짝퉁, 가짜, 짜가' 등등이 있다.
원전은 맹자(孟子) 진심장구하(盡心章句下) 편에 수록된 말로, 공자왈 오사이비자(孔子曰 惡似而非者)에서 유래하였다.
어감 탓인지 한자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꽤나 많으며(오히려 외래어로 알고 있는 경우가 상당수) '싸이비'라고 읽기도 한다.
앞서 보다시피 영어(Cybie?)가 아니다(…). 사이코(Psycho)와 뜻이 혼동되거나, 사이버(Cyber)와 헷갈리면 더더욱 골란하다. 은유적으로 '42B' 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 영어에서 '사이비'라는 의미에 거의 정확하게 가까운 말은 pseudo라는 형용사 겸 명사인데 어원은 '거짓'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ψεῦδος(프세우도스)로 '허위의, 가짜의, 진짜인척 하는'이라는 뜻이고, '사칭, 사칭꾼'이라는 뜻도 있다.
최근 pseudo는 주로 특정 명사나 대명사에 접두사 형태로 붙어서 '사이비'로 해석하면 상당히 정확히 해석될 수 있도록 쓰인다.
예를 들어 후술될 항목에 기재된, 실제로 쓰이는 단어를 보면, pseudo-history는 '사이비 역사'이고, pseudo-science는 '유사 과학'이라고 주로 해석되긴 하지만, '사이비 과학'이라고 번역해도 실제로 이 단어를 쓰는 사람이 표현하는 뜻과 딱 맞는다.
가짜 과학이라는 뜻임에도 오히려 '유사' 과학이라는 표현이 과학과 유사하다는 뜻으로 오해될 수 있어서 더 미화해 주는 느낌이다. 위경(pseudepigrapha)도 문자 그대로 사이비 경전이라는 뜻이다.
사이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중적인 단어는 사이비 종교이다. 당장 아무 포털 사이트에다가 사이비만 검색하면 사이비보다는 사이비 종교 관련 문서들만 수두룩하게 뜬다.
그만큼 사이비는 종교 단체와 관련된 의미로 많이 쓰이곤 한다. 물론 단어 자체의 순수한 정의는 종교만이 아닌 모든 가짜들을 의미하는 것이라서 다른 경우에도 쓸 수 있지만...
---
사이비(似而非)
조선중기의 실학자 성호 이익은 “성인(聖人)이 가장 미워하는 사람은 향원(鄕愿)에 해당하는 사람이니, 그들은 옳은 듯하지만 옳지 않으며 의견이 분명하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聖人所惡 最在鄕愿 似是而非 依違者當之.
세상에는 여러 부류의 사람이 있는데, 공자(孔子)는 향원(鄕愿)에 해당하는 사람을 “덕(德)의 적(賊)”이라 말하며 극도로 배격하였다.
그렇다면 ‘향원’이란 어떤 사람인가? 한 마을의 모든 사람들에게 평이 좋은 사람이다. 모든 사람에게 좋은 평을 듣는 사람이 어째서 문제인가?
그의 모습은 신의가 있어 보이고 행동은 청렴한 것 같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지만 실제로는 더러운 세속에 영합하여 바른 도리를 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주자(朱子)는 이러한 태도를 두고, 마을의 착한 사람, 착하지 않은 사람 모두가 좋아하고 미워하지 않는 사람은 그의 행(行)에 필히 구합(苟合; 아부)이 있으며, 반대로 모두가 미워하고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그의 행(行)에 실(實; 성실함)이 없다고 하였다.
구합은 정견(定見)없이 남을 추수(追隨)함이며, 무실(無實)은 선자(善者)의 편이든 불선자(不善者)의 편이든 자기의 입장을 갖지 못함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비슷한 것 같지만 실제 그렇지 못한 사이비(似而非)가 이러한 사람이며, 양쪽의 의견에 분명한 자신의 의사를 표명하지 않아 어떠한 비난도 교묘히 피하는 사람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혹시 우리 주변에는 향원이 없는가? 향원을 덕을 지닌 사람으로 착각하고 있지는 않은가? 이것도 옳다 하고 저것도 옳다 하며, 여기에도 고개를 숙이고 저기에도 고개를 숙이며 칭찬만을 유도하는 사람이 있지는 않은가?
이쪽과 저쪽의 가운데에 서서 자신이 옳다고 말하는 사람은 공자가 말하는 향원이며, 옳은 것 같지만 옳지 않은 사이비에 불과하다.
단순히 이쪽과 저쪽의 가운데에 서는 것이 옳은 것이 아니라 이쪽과 저쪽 중 옳은 쪽에 서는 것이 진정 올바른 것이며, 진정한 중용(中)이요 중도(中道)이다.
그래서 공자는 제자의 물음에 “착한 사람이 좋아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이 미워하는(善者好之 不善者惡之) 사람이야말로 군자”라고 답하였다.
군자는 착한 사람에게는 동조하고 나쁜 사람과는 맞서기 때문에 착한 사람은 그를 좋아하지만 나쁜 사람은 그를 미워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쁜 사람에게는 미움을 받더라도 맞서 싸워 불의(不義)를 바로잡을 수 있어야 사이비인 향원이 되지 않고 진정 덕을 갖춘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似(닮을 사)는 ❶형성문자로 佀(사)는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耜(사의 변형 以)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似(사)는 嗣(사; 대를 이음), 始(시; 먼저 난 여자, 시작) 따위의 말과 결부되어 뒤를 잇다, 닮다, 닮게 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❷형성문자로 似자는 ‘같다’나 ‘닮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似자는 人(사람 인)자와 以(써 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以자는 본래 수저와 같은 모습을 그렸던 것으로 ‘~에 따라’나 ‘~때문에’라는 뜻이 있다. 以자에 대한 명확한 해석은 없다. 그러다 보니 似자의 해석도 그리 명확하지는 않다. 似자의 금문을 보면 수저와 갈퀴가 함께 그려져 있었는데, 소전에서는 갈퀴가 人자로 바뀌게 되었다. 아직 명확한 뜻풀이는 없지만 ‘닮다’나 ‘비슷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似(사)는 ①닮다 ②같다 ③비슷하다 ④흉내내다 ⑤잇다 ⑥상속하다 ⑦보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서로 비슷함을 사류(似類), 서로 비슷함을 유사(類似), 거의 같음이나 비슷함을 흡사(恰似), 아주 비슷함이나 거의 같음을 근사(近似), 모양이 서로 비슷함을 상사(相似), 비슷한 것들을 구별함을 변사(辨似), 형체가 서로 비슷함을 형사(形似), 아주 비슷함을 방사(倣似), 닮지 아니함이나 같지 아니함을 불사(不似), 그림자와 같이 비슷함을 영사(影似), 더할 수 없이 사치함을 극사(極似), 비슷하여 분간하기 어려움을 의사(疑似), 실제와 비슷함을 의사(擬似), 서로 같다고 할 만큼 매우 비슷함을 혹사(酷似), 비슷한 것을 바친다는 뜻으로 자기가 바치는 글이나 물건이 훌륭하지 못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을 정사(呈似), 겉은 옳은 것 같으나 속은 다름을 사시이비(似是而非),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것 같으나 실지로는 아주 다른 가짜를 사이비자(似而非者), 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한 상태를 비몽사몽(非夢似夢), 남이 보기에 꼴이 온당치 아니함을 망지불사(望之不似) 등에 쓰인다.
▶️ 而(말 이을 이, 능히 능)는 ❶상형문자로 턱 수염의 모양으로, 구레나룻 즉,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을 말한다. 음(音)을 빌어 어조사로도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而자는 ‘말을 잇다’나 ‘자네’, ‘~로서’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而자의 갑골문을 보면 턱 아래에 길게 드리워진 수염이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而자는 본래 ‘턱수염’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지금의 而자는 ‘자네’나 ‘그대’처럼 인칭대명사로 쓰이거나 ‘~로써’나 ‘~하면서’와 같은 접속사로 가차(假借)되어 있다. 하지만 而자가 부수 역할을 할 때는 여전히 ‘턱수염’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한다. 그래서 而(이, 능)는 ①말을 잇다 ②같다 ③너, 자네, 그대 ④구레나룻(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⑤만약(萬若), 만일 ⑥뿐, 따름 ⑦그리고 ⑧~로서, ~에 ⑨~하면서 ⑩그러나, 그런데도, 그리고 ⓐ능(能)히(능) ⓑ재능(才能), 능력(能力)(능)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30세를 일컬는 이립(而立), 이제 와서를 이금(而今), 지금부터를 이후(而後), 그러나 또는 그러고 나서를 연이(然而), 이로부터 앞으로 차후라는 이금이후(而今以後), 온화한 낯빛을 이강지색(而康之色) 등에 쓰인다.
▶️ 非(아닐 비, 비방할 비)는 ❶상형문자로 새의 좌우로 벌린 날개 모양으로, 나중에 배반하다, ~은 아니다 따위의 뜻으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非자는 ‘아니다’나 ‘그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非자를 보면 새의 양 날개가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非자의 본래 의미는 ‘날다’였다. 하지만 후에 새의 날개가 서로 엇갈려 있는 모습에서 ‘등지다’라는 뜻이 파생되면서 지금은 ‘배반하다’나 ‘아니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飛(날 비)자가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非(비)는 (1)잘못, 그름 (2)한자로 된 명사(名詞) 앞에 붙이어 잘못, 아님, 그름 따위 부정(否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아니다 ②그르다 ③나쁘다, 옳지 않다 ④등지다, 배반하다 ⑤어긋나다 ⑥벌(罰)하다 ⑦나무라다, 꾸짖다 ⑧비방(誹謗)하다 ⑨헐뜯다 ⑩아닌가, 아니한가 ⑪없다 ⑫원망(怨望)하다 ⑬숨다 ⑭거짓 ⑮허물, 잘못 ⑯사악(邪惡)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닐 부(不), 아닐 부(否), 아닐 불(弗), 아닐 미(未),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옳을 시(是)이다. 용례로는 남의 잘못이나 흠 따위를 책잡아서 나쁘게 말함을 비난(非難), 옳은 이치에 어그러짐을 비리(非理), 예사롭지 않고 특별함을 비상(非常), 부정의 뜻을 가진 문맥 속에서 다만 또는 오직의 뜻을 나타냄을 비단(非但), 제 명대로 살지 못하는 목숨을 비명(非命), 보통이 아니고 아주 뛰어남을 비범(非凡), 법이나 도리에 어긋남을 비법(非法), 번을 설 차례가 아님을 비번(非番), 사람답지 아니한 사람을 비인(非人), 잘못되거나 그릇된 행위를 비행(非行), 불편함 또는 거북함을 비편(非便), 결정하지 아니함을 비결(非決), 사람으로서의 따뜻한 정이 없음을 비정(非情),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을 시비(是非), 옳음과 그름을 이비(理非), 간사하고 나쁨을 간비(姦非), 아닌게 아니라를 막비(莫非), 그릇된 것을 뉘우침을 회비(悔非), 이전에 저지른 잘못을 선비(先非), 교묘한 말과 수단으로 잘못을 얼버무리는 일을 식비(飾非), 음란하고 바르지 아니함을 음비(淫非), 같은 일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비일비재(非一非再), 중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비승비속(非僧非俗),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한 상태를 비몽사몽(非夢似夢),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라는 말을 비례물시(非禮勿視), 모든 법의 실상은 있지도 없지도 아니함을 비유비공(非有非空)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