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잡담
1.1에 쓴 단검도적 육성법 Lv.1~70에 레벨 80까지 추가해서 한 육성법입니다.
중요한 부분에 색, 굵기를 지정했습니다.
1. 단검도적
1) 단검도적의 장점
먼저, 도적 자체의 장점인, 이동속도·점프력을 높여주는 헤이스트, 공속이 빠르다는 점과 회피율이 상당히 높다는 점을 들 수 있겠죠. 헤이스트, 빠른 공속 덕에 사냥속도가 좀더 향상되고, 회피율이 근접공격 캐릭터임에도 낮은 방어력을 보완해준다는 점이 있죠.
또, 세비지 블로우의 화려함, 데미지. 세비지 블로우가 1, 2차 스킬 중 가장 멋지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데미지도 무시할 수 없다죠.
2) 단검도적의 단점
단검도적의 단점 하면 떠오르는것 하나가, 방어력이 아닐까 싶군요. 장점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단검도적은 근접공격 캐릭터임에도 물리방어력이 전사에 비해 많이 낮습니다. 회피율과 점프력이 높기 때문에 몬스터의 공격을 피하면서 공격하면 된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덩치가 작거나 한두방에 끝나는 몹의 얘기입니다. 덩치가 크고 한두방에 처리가 안되면 상당히 난감해지죠. 3차 스킬에 적을 통과하는 어썰터가 있기는 합니다만, 적의 크기가 어썰터의 관통 길이보다도 길면 그냥 맞아버리는 겁니다. 역시나 3차 스킬에 메소 가드가 있기는 합니다만, 그 전까지는 낮은 방어력으로 먹고 살아야 되는거죠.
2 - 1. Lv.1 ~ 10
주사위 스탯 - STR / INT → 4 / 4 , 4 / 5 , 5 / 4 중 선택
스탯 - 전직 전까지 DEX 25, 나머지 스탯 모두 LUK
장비 - 전직 후 10셋(경제적 상황에 따라 선택)
일단 캐릭터 생성 시에 주사위를 굴려서 스탯을 위에 나온 것처럼 해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른 캐릭터도 마찬가지이지만, 그렇게 해야 데미지가 조금이라도 더 높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4/4가 계속 안나오신다면 4/5나 5/4를 하셨다가 AP 되돌리기 주문서를 구입하셔서 스탯을 깎으셔도 됩니다.
캐릭터 생성 후의 스탯은 덱스는 전직 제한에 맞춰 25까지만 올리시고 나머지는 모두 럭에 투자해주시면 됩니다. 덱스를 30까지 올리고 올럭을 한다는 육성법을 어디서 봤는데요, 초보자 때 데미지를 높인다는 생각은 좋습니다만, 단검을 끼면 데미지가 럭 위주로 적용이 되기 때문에 덱스 25 올럭을 추천드립니다.
사냥 몬스터는 달팽이들만 열심히 잡아주시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자신의 생각에 돈 좀 되신다고 생각되시는 분은 도루코 대거, 혹은 후루츠 대거를 끼시고 주황버섯을 잡아 주셔도 됩니다. 도루코 대거는 암 허스트에서 구입하실 수 있으며, 사우스 페리의 NPC 빅스의 퀘스트를 통해 도루코 대거와 후루츠 대거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도루코/후루츠 대거를 사시기 전에는 캐릭터 생성시 검으로 하시다가 암 허스트에서 파는 몽둥이를 사셔서 착용해주시면 되겠군요. 맨 처음의 퀘스트는 모두 다 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편지 전달 퀘스트는 쉽고 투구도 얻으실 수 있기 때문에 추천하는 퀘스트입니다.
1 - 2. 1차 전직 가이드
레벨을 10까지 올리셨다면 사우스페리 오른쪽에 있는 NPC 샹크스에게 말을 겁니다. 그러면 그 NPC가 150메소를 주면 리스항구로 보내주겠다고 합니다. 꼭 가 주셔야 합니다. 리스항구에 도착하시면 커닝시티보다도 먼저 다른 마을부터 돌아다니면서 마을귀환서를 1개씩 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경제적 상황에 따라 선택하셔야 하겠지만, 그렇게 하시지 않으면 전직 후에 택시비가 전직 전보다 늘어나기 때문에 추천하고 싶습니다. 총 경비는 2470메소입니다.
그렇게 마을 귀서를 모두 사셨으면 커닝시티로 가셔서 전직 NPC 다크로드에게 갑니다. 다크로드는 커닝시티 가장 오른쪽 건물의 1층 입구에 들어가시면 있습니다. 다크로드에게 말을 걸면, 전직 조건을 말하면서 전직을 하겠냐고 물어봅니다. 예를 선택하시면, HP와 MP가 늘어나면서 직업명이 도적으로 바뀝니다. 그리고 스킬포인트 하나가 주어지게 되는데, 이것은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2. Lv.10~17
스탯 - Lv.13까지 DEX 26 맞추시고 그 후에 덱스는 무기·방어구에 맞춰서, 럭은 나머지 투자 (생략)
스킬 - 1. 더블 스탭형 - 더블 스탭 20 → 님블 바디 1
2. 님블 바디형 - 님블 바디 20 → 더블 스탭 1
장비 - 1. 무기 - 후루츠 대거(Lv.8) → 삼각 자마다르(Lv.12) → 삼지 자마다르(Lv.17)
2. 방어구 - 1)10셋 → 15셋
2)10셋으로 버티기
사냥터 - 1. 커닝시티 공사장(스텀프)
2. 솟아오른나무1, 2, 3, 남·북쪽숲나무던전(슬라임 리젠사냥터)
스킬트리에 대해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마스터하는 스킬트리에 따라 더블 스탭형과 님블 바디형으로 나누었습니다. 더블 스탭형은 높은 데미지를 통해 빠른 레벨업 속도를 노리는 스킬트리로, MP 포션을 소비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자본이 있으신 분에게 추천합니다. 더블 스탭은 원래는 10개를 먼저 올리고 그 다음에 10개를 모아 다시 올리는게 정석이었으나, 1.2.1 패치로 인해 스킬 레벨이 11로 넘어가면서 MP가 2배로 늘어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킬포인트 10개를 모아서 올려주시 마시고 그냥 쭉 올려주셔도 되겠습니다. 님블 바디형은 더블 스탭형을 하기에는 자본이 부족하거나, 회피율을 높여 조금이라도 약값을 줄이시겠다는 분에게 추천합니다.
사냥터는 커닝시티의 커닝시티 공사장과 엘리니아의 솟아오른나무, 북·남쪽숲나무던전으로 했습니다. 커닝시티 공사장은 커닝시티 바로 왼쪽에 있는 사냥터로, 포션을 사거나 장비를 맞추기에 편리한 곳입니다. 그리고 죽었을 때에도 바로 옆인 커닝시티로 와지기 때문에 좋은 곳입니다. 주황버섯은 무리해서 잡으실 필요는 없구요, 스텀프와 달팽이를 많이 사냥해주시면 됩니다. 더블 스탭형 스킬트리를 하신 분은 주황버섯을 잡으셔도 됩니다. 솟아오른나무와 나무던전은 경험치가 비교적 높은 슬라임이 대량 리젠되는 곳입니다. 특히, 솟아오른나무1은 많은 초보 유저분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아 자리싸움도 치열한 곳입니다. 여러 돈되는 아이템도 많이 주기 때문에 인기가 좋습니다. 커닝시티 공사장보다 추천하는 곳입니다.
무기는 착용 레벨이 될 때마다 착용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방어구는 10셋과 15셋을 모두 맞춰주시거나 10셋만 맞춰주시고 15셋은 건너뛰셔도 됩니다.
3. Lv.17~22
스킬 - 1. 님블 바디 +15(16)
2. 더블 스탭 +15(16)
장비 - 1. 무기 - 삼지 자마다르(Lv.17) → 스팅어(Lv.22)
2. 방어구 - 1)15셋 → 20셋
2)10셋 → 20셋
사냥터 - 1. 커닝시티 공사장(주황버섯)
2. 솟아오른나무1, 2, 3, 남·북쪽숲나무던전(슬라임 리젠지역)
3. 돼지의 해안가
스킬트리는 님블 바디를 마스터하신 분은 더블 스탭을, 더블 스탭을 마스터 하신 분은 님블 바디를 올려주시면 됩니다.
사냥터 설명에 들어가겠습니다. 커닝시티 공사장에서 사냥하실 분은 이제부터 주황버섯 사냥에 들어갑니다. 맨위에 있는 옥토퍼스는 아직은 무리일 듯 하군요. 솟아오른나무, 나무던전에서 사냥하실분은 특별히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경험치가 주황버섯, 돼지에 비해 낮기 때문에 레벨업 속도는 더딜수 있습니다. 그리고 돼지의 해안가에서 사냥하실 분은, 돼지와 리본돼지를 잡아주시면서, 아이언호그(갑옷돼지)를 주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무기는 이 때 쯤이면 무기는 살 수 있는 돈은 모이기 때문에 꼭 맞춰주시구요, 방어구는 자신의 의사에 따라 맞춰주시면 됩니다.
4 - 1. Lv.22~30
스킬 - 1. 님블 바디 +4(20) → 디스오더 3 → 다크 사이트 18
2. 더블 스탭 +4(20) → 디스오더 3 → 다크 사이트 18
장비 - 1. 무기 - 스팅어(Lv.22) → 쌍지단도(Lv.27) → 리프 크로(Lv.30)
리프 크로(Lv.30)
2. 방어구 - 20셋 → 25셋 → 30셋
사냥터 - 1. 남·북쪽숲나무던전(초록버섯·뿔버섯 리젠지역)
2. 개미굴 1, 2, 3, 4
스킬트리, 크게 설명할 것은 없군요. 디스오더와 다크사이트에 대해서만 설명드리겠습니다. 디스오더가 사냥에 도움이 될듯 한데 왜 다크 사이트를 올리냐 하면, 디스오더를 일반 사냥에 아주 유용하게 쓸 일은 없습니다. 마스터하면 물리공격력 -20, 물리방어력 -20이라는 효과가 있기는 합니다만, 디스오더 한번 쓸 시간에 차라리 더블 스탭이라든지 세비지 블로우, 어썰터를 쓰는 것이 낫습니다. 디스오더, 진짜 쓸데 없는 스킬입니다. 저도 디스오더를 되돌려서 인듀어에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합니다만, 1차 스킬을 2차스킬에 되돌려 찍을수 없기에.... 안타깝군요. 그리고, 다크 사이트는 2차 필수 스킬(마스터리, 헤이스트, 부스터, 세비지)를 모두 찍어도 스킬 포인트가 31개 남기 때문에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사냥터는, 초반부터 계속 추천해오던 남·북쪽숲나무던전(초록버섯·뿔버섯 리젠지역)과 개미굴입니다. 나무던전은 초록버섯의 냄비뚜껑, 그 외의 돈되는 아이템로 인한 자금 마련과 약값 절약 등에 유리하고, 개미굴은 좀비버섯의 높은 경험치로 인해 열렙이 가능한 사냥터입니다.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장비는 무기와 방어구 모두 잘 맞춰주시면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4 - 2. 2차 전직 가이드
레벨 30이 되셨다면, 1차 전직 NPC인 다크로드에게 다시 말을 겁니다. 그러면 언제 이렇게 컸냐는 둥 뭐라고 말을 하면서 2차 전직을 해보겠냐고 합니다. 예를 선택하시고, 커닝시티 북쪽 공사장(커닝시티 → 해질녘 하늘 → 커닝시티 북쪽 공사장)의 도적 전직 교관에게 말을 겁니다. 그 NPC가 전직 사냥터로 가겠냐고 물어봅니다. 예를 선택하세요. 그러면 전직 사냥터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 곳에는 콜드아이와 파란버섯이 리젠됩니다. 더블 스탭 2~3방 정도의 HP를 가지고 있으며 70 정도의 데미지를 입힙니다. 검은 구슬은 대략적으로 50%의 드롭률을 보이는 듯합니다. 검은 구슬 30개를 다 모으셨으면, 다시 도적 전직 교관에게 말을 겁니다. 그러면 커닝시티로 보내지면서 검은 구슬 30개가 사라지고, 영웅의 증거 아이템이 나오게 됩니다. 그것을 다크로드에게 주면, 2차 전직 루트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시프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또 HP와 MP가 늘어나게 되면서 직업명이 시프로 바뀌게 됩니다. 전직 시에 얻어지는 스킬포인트 1은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5. Lv.30~40
스킬 - 1. 마스터리형 - 대거 마스터리 19 → 세비지 블로우 12
2. 세비지형 - 세비지 블로우 30[마스터] → 대거 마스터리 1
장비 - 1. 무기 - 리프 크로(Lv.30) → 반월 자마다르(Lv.32) → 게파트 · 태극 부채(Lv.35) / 메이플바그나 · 드래곤토네일(Lv.40)
게파트 · 태극 부채 / 메이플바그나 · 드래곤토네일
2. 방어구 - 30셋 → 35셋 → 40셋
사냥터 - 1. 개미굴 1, 2, 3, 4
2. 와일드보어의 땅 1, 2
3. 이블아이의 굴 1, 2, 3, 4
4. 불타버린 땅 1, 2, 3, 4, 5
스킬트리는 마스터리를 추천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고 있는 스킬트리이기도 합니다. 이유는, 세비지를 먼저 올리더라도 마스터리를 올리지 않았기 때문에 데미지가 많이 들쭉날쭉해서 몬스터들이 한방이 나올 확률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정적인 데미지가 나오게 하는 마스터리를 올려서 몬스터들에게 한방이 많이 뜨게 하려는 것입니다. 여기서, 마스터리를 19까지만 올리는 이유는, 숙련도는 19나 20이나 숙련도는 모두 60%이기도 하고, 19까지만 올려야 Lv.43 때 세비지가 6방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만약, 20까지 올리셨다면 Lv.44 때 세비지가 6방이 나오게 됩니다.
사냥터는 개미굴, 와일드보어의 땅, 이블아이의 굴, 불타버린 땅에서 사냥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불타버린 땅은 Lv.40 이후부터 사냥하시는 것을 더 추천합니다. 개미굴 1과 와일드보어의 땅 1, 2는 모두 인기가 높은 사냥터이기 때문에 개미굴 2~4에서 사냥하시거나 이블아이의 굴이나 불타버린 땅에서 노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무기는 현재 자신의 자본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부채/게파트/토네일/바그나 뭐던간에 돈이 좀 되신다 하시면 작을 사시고 돈이 좀 부족하다 하시면 100% 떡을 하시면 됩니다.
6. Lv.40~50
스킬 - 1. 세비지 블로우 +18(30) → 헤이스트 12
부스터 6 → 헤이스트 6
2. 대거 마스터리 19 → 헤이스트 12
부스터 6 → 헤이스트 6
장비 - 1. 무기 - 1) 게파트 · 태극 부채/메이플바그나 · 드래곤토네일 → 신기타(Lv.50)
2) 신기타 통과
2. 방어구 - 40셋 → 50셋
사냥터 - 1. 불타버린 땅 1, 2, 3, 4, 5
2. 북쪽숲나무던전 3(커즈아이 리젠지역, 파티 플레이)
스킬트리는 대거 마스터리 19와 세비지 마스터 이후, 헤이스트 12와 부스터 6 → 헤이스트 6으로 나누었습니다. 헤이스트 12로 올리시는 분은 50 이후에 신기타를 끼실 분에게 추천하며, 작이 잘 된 게파트나 태극 부채를 끼셔서 신기타를 넘기시겠다거나 신기타 착용 전에는 부스터를 쓰겠다는 분은 부스터를 6까지 올리시고 헤이스트를 올려주시면 됩니다. 부스터를 6까지 올리는 이유는, 1분에 맞추기 위함이며, 1분이 너무 짧다 싶으시면 어느 정도는 더 올리셔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사냥터는, 불타버린 땅과 북쪽숲나무던전 3으로 하였습니다. 불타버린 땅에서 파이어보어를 잡으시면서 유리구두를 얻으셨다면 아르웬의 유리구두 찾아주기 퀘스트를 클리어 해주시면 됩니다. 북쪽숲나무던전 3에서 커즈아이를 잡으시면서 돼지와 함께 춤을의 땅문서 아이템을 얻으셨다면 하나는 모아 두셔서 나중에 퀘스트를 깨시면 됩니다.
7. Lv.50~60
스킬 - 1. 헤이스트 +8(20) → 부스터 20 → 마스터리 +1(20) → 다크 사이트 +1(19)
2. 헤이스트 +14(20) → 부스터 +14(20) → 마스터리 +1(20) → 다크 사이트 +1(19)
장비 - 1. 무기 - 1) 신기타(Lv.50) → 게타(Lv.60)
2) 게파트 · 태극 부채 / 메이플바그나 · 드래곤토네일 → 게타
2. 방어구 - 50셋 → 60셋
사냥터 - 1. 골렘의 사원 입구, 골렘의 사원 1, 2, 3, 4
2. 슬리피던전 3, 4, 5
3. 드레이크의 밥상
4. 원숭이의숲 나무던전 1, 2
스킬트리는 헤이스트와 부스터, 마스터리까지 모두 마스터하신 뒤에 다크 사이트를 올려주시면 됩니다.
사냥터는, 골렘의 사원과 원숭이의숲 나무던전, 슬리피던전 3, 4, 5, 드레이크의 밥상으로 나누었습니다. 원숭이의숲 나무던전은 싱플, 골렘의 사원 입구는 싱플과 파플, 슬리피 던전과 드레이크의 밥상은 파플에 유용한 사냥터입니다. 단, 드레이크의 밥상은 너무 멀어서 좀 귀찮기도 하고 가는 데 시간도 좀 걸리실 겁니다. 그래도 여도적이신 경우에는 드레이크의 밥상의 콜드아이가 여도적 60 상하의를 드롭하기 때문에 여캐릭이신 분은 이 곳에서 얼마간 사냥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슬리피던전은 다크 스톤골렘이 토비를 드롭하기는 합니다만, 확률이 낮기 때문에 큰 기대는 안하시는게 좋겠군요. 원숭이 던전은 저주인형 퀘스트를 깰 수 있습니다. 무기는 신기타와 게타를 차례대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신기타는 부스터를 써도 먹히지 않으니 약간의 컨트롤이 필요합니다. 돈이 어느정도 되신다면 작을 사셔도 됩니다. 방어구도 50셋과 60셋을 모두 맞춰주시면 됩니다. 돈이 꽤 많으신 분은 공장갑을 맞춰주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Lv.50부터 자쿰 퀘스트가 가능한데요, 자쿰 1단계 퀘스트를 어느정도 해두시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82때 듀얼 파이렛 파티를 가시는 것이 아니라면 88때 바이킹 파티를 하실 때까지 죽숲에서 놀으실 테니 폐광 귀환 주문서를 모아두기 위함입니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장사용으로 하실수도 있겠죠. 제 친구중 한명은 자쿰 퀘스트만 해서 하루에 5백을 번다는군요.
8 - 1. Lv.60~70
스킬 - 1·2. 다크 사이트 +1(20) → 인듀어 20 → 스킬포인트 9개는 자유
장비 - 1. 무기 - 1) 게타(Lv.60) → 칸디네(Lv.70)
2) 칸디네 건너뛰기
2. 방어구 - 60셋 → 70셋
사냥터 - 1. 죽은나무의 숲 1, 2, 3, 4
2. 차가운벌판 1
3. 슬리피던전 3, 4
스킬트리는 다크 사이트를 마스터 하신 후에 인듀어를 마스터해주시면 됩니다. 그래도 스킬포인트가 9개가 남는데요, 이것은 스틸이든지, 다른 여러가지 스킬을 찍어주시면 됩니다.
사냥터는 죽은나무의 숲(이하 죽숲)을 제일 추천합니다. 싱플이고 파플이고 모두 좋은 사냥터입니다. 죽숲에 젠되는 쿨리 좀비가 잡기 비슷한 헥터와 스톤 골렘에 비해 높은 경험치(쿨리 좀비 +190, 헥터·스톤 골렘 +170)와 메소 드롭량(쿨리 좀비 +270~410, 헥터·스톤골렘 +200~350)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크로미, 리넥스, 세라피스 등의 돈되는 아이템들도 드롭하기 때문에 인기가 한층 더해지고 있는 곳입니다. 단, 자리 경쟁이 치열하기에 스틸도 많이 당할 수 있으며 자리를 사실 때도 많은 돈을 내셔야 합니다. 또한 매크로범들도 득실득실합니다. 만약, 죽숲 자리를 구하지 못하셨다면 차가운벌판 1에서 사냥하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차가운벌판 1은 헥터가 집중 젠되며, 화이트팽이 가끔 가다 3, 4마리씩 젠되며, 싱플과 파플 모두 좋습니다.
장비는 게타에서 칸디네로 넘어가시고, 혹은 칸디네를 건너뛰시고 용천권으로 바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방어구는 역시 꼬박꼬박 챙기시면 됩니다. 여도적이신 경우, 쿨리 좀비가 70셋 상하의를 드롭하기 때문에 그것을 착용하셔도 됩니다. 이 레벨대에서는 대부분 엘나스에서 사냥하기에 아이젠을 착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신발 점프력 주문서 시세가 그렇게 높은 것도 아니니, 한번 발라보시는 것도 생각해 보셔도 됩니다.
8 - 2. 3차 전직 가이드 ※ 어둠의 크리스탈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Lv.70이 되셨으면, 엘나스의 꼭대기 건물(장로의 관저)에 있는 도적 3차 전직 NPC 아레크에게 말을 겁니다. 3차 전직을 하겠다는 것을 선택하면, 1차 전직 NPC인 다크로드에게 가보라고 합니다. 다크로드에게 가서 말을 걸면 자신의 분신을 쓰러뜨리고 검은 부적을 가져오면 강인함의 목걸이를 주겠다 뭐 그러는데요, 원숭이의 숲 2(커닝시티 → 방황의 늪 1, 2, 3 → 위험한 크로코 1, 2 → 원숭이의 늪 1, 2)에 있는 차원의 문에 들어가면 분신을 만날 수 있습니다. 만약 먼저 분신을 죽이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때는 들어갈 수 없습니다.
분신은 스치면 4백, 검은 뇌전에 맞으면 7백, 어벤져에 맞으면 천 정도가 답니다. 상태 이상 허약을 걸기 때문에 보약을 챙겨가시는 것이 좋으며, 또한 타우로 마시스를 소환하기 때문에 죽지 않도록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환된 타우로 마시스는 일반 타우로 마시스와 동일합니다. 분신의 경험치는 2400이며, 검은 부적을 줍니다.
검은 부적을 가지고 다크로드에게 가면, 검은 부적을 뺏어가면서 강인함의 목걸이를 줍니다. 그리고 그 목걸이를 가지고 다시 신대륙의 아레크에게 가보라고 말을 합니다.
아레크에게 다시 말을 걸면, 이번에는 강인함의 목걸이를 뺏어가면서 성스러운 돌이 내는 문제를 맞춰서 지혜의 목걸이를 가져오라고 합니다. 성스러운 돌은 엘나스 → 빙판조심 1, 2 → 차가운 벌판 1, 2 → 얼음 골짜기 1, 2 → 날카로운 절벽 1, 2 → 설원의 성지에 있습니다. 성스러운 돌이 내는 문제를 받기 위해서는 어둠의 크리스탈이 필요합니다. 처음에 어둠의 크리스탈을 준비하라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참고로, 원석이 아니라 제련입니다. 엘나스 시장의 보겐에게서 어둠의 크리스탈 원석 10개와 10만 메소로 제련 가능하며, 엘나스의 고대의 책을 찾아서 퀘스트를 클리어하신 분은 오르비스 구름공원 4의 스피루나에게서 어둠의 크리스탈 원석 10개와 5만 메소로 제련 가능합니다.
성스러운 돌에게 말을 해보면, 어둠의 크리스탈을 뺏어가면서 문제 5개를 냅니다. 만약, 틀렸을 경우 어둠의 크리스탈을 다시 주고 처음부터 다시 해야 됩니다. 문제 5개를 맞추면 성스러운 돌이 지혜의 목걸이를 줍니다. 이것을 가지고 다시 아레크에게 가면, 이번에는 이 목걸이를 뺏어가면서, 3차 전직이 됩니다. 직업명이 시프마스터로 바뀌면서, 능력치 5와 스킬포인트 1이 주어집니다. 전직 후 HP와 MP가 안늘어 나는 것을 봐서, 이번에 주어진 능력치로 올리라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럭에 올려주시면 됩니다.
10. Lv.70~80
스킬 - 어썰터 30 [마스터] → 챠크라 1
장비 - 1. 무기 - 1) 게타 → 용천권(Lv.80)
2) 칸디네 → 용천권
2. 방어구 - 70셋 → 80셋
사냥터 - 1. 죽은나무의 숲 1~4
2. 차가운벌판 1
3. 늑대의영역 5
4. 얼음골짜기 2
5. 골렘의 숲
스킬트리, 어썰터 마스터하시고 그 후 메소 가드를 올리기 위해 챠크라를 올려야 합니다. 챠크라 3개 이상일 시 메소 가드를 올릴수 있습니다만, 렙 80까지이기에 챠크라 1개만 올릴수 있습니다.
사냥터 설명입니다. 죽숲, 차가운벌판이야 위에서도 설명했으니 또 하지는 않겠습니다. 얼음골짜기 2, 주로 프리스트를 동반하는 파티 플레이 위주 사냥터입니다. 프리스트가 있기는 할지라도 죽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티와 페페, 변신 주니어 예티 등이 리젠됩니다. 늑대의영역 5, 3명이서 파티 플레이 위주로 하는 사냥터입니다. 1/2층을 한 사람이 맡고 3, 4층을 한사람씩 맡는 형식입니다. 1층은 젠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1/2층을 함께 맡는 겁니다. 화이트팽만 리젠되며, 2방이 뜰때 좋다고 봅니다. 골렘의 숲, 며칠 전 패치에 추가된 본대륙 사냥터입니다. 4명이 각각 한 층씩 맡아서 파티 플레이를 하는 사냥터입니다. 경험치 210인 믹스골렘이 주로 리젠되며, 다크 스톤골렘/루팡/커즈아이도 리젠됩니다.
장비는, 칸디네를 건너뛰시고 용천권으로 넘어가셔도 좋고 차례대로 착용하셔도 됩니다. 방어구도 꼬박꼬박 맞춰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11. Lv.80 이후
최종 스킬트리는, 어썰터 30[마스터] → 챠크라 3 → 메소 가드 20[마스터] → 시브즈 30[마스터] → 메소 익스플로전 3 → 픽파킷 20[마스터] → 메소 익스플로전 30[마스터] → 18개 자유 입니다. 남는 스킬포인트로는 인듀어를 마스터하지 못하셨다면 마스터하셔도 좋습니다. 챠크라나 쉴드 마스터리, 둘다 비추천 스킬트리입니다.
사냥터로는, Lv.70~80 사냥터에서 주로 노시다가 Lv.82 때 루디브리엄의 듀얼 파이렛 파티 사냥을 가셔도 됩니다. 또 Lv.88 때 바이킹 파티 사냥도 가능합니다. 위의 두 사냥터 모두 경험치는 아주 좋지만 적자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꼭 가셔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최근에 추가된 아쿠아리움 사냥터는 아직 좋은지 나쁜지 모르기에 고렙 프리스트 친구가 있으시다면 한번 가보셔도 됩니다.
장비야 몇번을 말했습니다만, 꼬박꼬박 맞춰주시면 됩니다. 무기는 바키트 시세가 상당히 비싸니 작 잘된 용천권으로 버티시는 것도 좋습니다.
12. 스킬트리 정리
1) 1차 스킬트리
(1) 더블 스탭형 - 더블 스탭 20 [마스터] → 님블 바디 20 [마스터] → 디스오더 3 → 다크 사이트 18
(2) 님블 바디형 - 님블 바디 20 [마스터] → 더블 스탭 20 [마스터] → 디스오더 3 → 다크 사이트 18
2) 2차 스킬트리
(1)마스터리형 - 마스터리 19 → 세비지 블로우 30 [마스터] → 헤이스트 20 [마스터] → 부스터 20 [마스터] → 마스터리 +1(20) [마스터] → 다크 사이트 +2(20) → 인듀어 20 [마스터] → 자유(9)
(2)세비지형 - 세비지 블로우 30 [마스터] → 마스터리 19 → 헤이스트 20 [마스터] → 부스터 20 [마스터] → 마스터리 +1(20) [마스터] → 다크 사이트 +2(20) [마스터] → 인듀어 20 [마스터] → 자유(9)
3) 3차 스킬트리
어썰터 30 [마스터] → 챠크라 3 → 메소 가드 20 [마스터] → 시브즈 30 [마스터] → 메소 익스플로전 3 → 픽파킷 20 [마스터] → 메소 익스플로전 +27(30) → 자유(18)
13. 스킬 설명 ※ 마스터하는 스킬만 설명합니다.
1) 1차 스킬
(1) 님블바디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명중률 +20, 회피율 +20, 패시브 스킬
도적이라면 필수적으로 올려야 하는 스킬입니다. 도적에게 가장 중요한 회피율을 올려주기 때문이죠. 올려주기만 하면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적용되는 패시브 스킬입니다.
(2) 다크 사이트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MP 5 소비, 200초간 이동속도 유지하면서 몸을 숨김(조건 - 디스오더 3 ↑)
물리 공격에 무적이 되는 스킬입니다. 마법 공격, 맵의 방해물(닿으면 데미지를 입는 것)에는 무적이 되지 않습니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마스터를 하면 이동속도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마스터 전까지는 이동속도가 감소되죠. 즉, 다크 사이트와 헤이스트를 모두 마스터 하셨다면 헤이스트를 먼저 써주고 다크 사이트를 써주면 이동속도가 140%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죠. 다크 사이트를 마스터하시지 않으셨다면 다크 사이트를 쓰시고 파티분께 헤이스트를 써달라고 하시면 이동속도가 증가합니다.
(3) 더블 스탭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MP 14 소비, 데미지 130%로 2연타
Lv.70이 넘어서도 세비지 블로우 후 처리용으로 씁니다. 세비지 블로우+더블 스탭으로 안된다면 세비지 블로우 2방을 쓰셔야겠지만, 세비지 블로우+더블 스탭으로 처리가 된다면 이렇게 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Lv.60~70 때 쿨리 좀비, 헥터 등은 세비지 블로우로는 안되는 넉백을 더블 스탭이 할수도 있다죠.
2) 2차 스킬
(1) 대거 마스터리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 단검 착용시 명중률 +20, 숙련도 60%, 패시브 스킬
숙련도란, 최소 데미지 공식에 들어가는 수치로서, 숙련도가 높을수록 최소 데미지가 상승하게 되며, 최대 데미지와의 차이가 줄어들어 데미지가 들쭉날쭉하는 것이 줄어들게 됩니다. 저를 기준으로 공식을 적용해 최소 데미지를 계산해보면, 마스터리를 마스터했을 때(숙련도 60%) 데미지는 582, 마스터리를 올리지 않았을 때(숙련도 10%) 데미지는 177입니다. 이만하면 마스터리의 중요성은 아실 듯하군요.
(2) 인듀어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HP 60, MP 20 추가 회복, 패시브 스킬
도적의 인듀어는 전사의 인듀어와는 달리, 사다리에서의 회복은 물론 일반 때의 회복에서도 적용됩니다. 이게 뭐가 좋냐고 하실수도 있는데, 겪어보시면 압니다. 의자가 나왔으니 망정이지, 의자도 없고 인듀어 안배운 도적이라면, 엘나스나 아쿠아리움에서 잠수 절대 못탑니다. 게다가 MP까지 추가 회복되니 MP 포션값 절약에도 약간 도움이 되겠죠.
(3) 헤이스트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MP 30 소비, 200초간 이동속도 +40, 점프력 +20
별로 말할 것은 없군요. 좋은 스킬이라고만 알아두시면 되겠군요...
(4) 대거 부스터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 단검 착용시 HP, MP 10 소비, 200초간 공격속도 증가(조건 - 대거 마스터리 5 ↑)
이게 없다면 사냥 속도가 상당히 느려지게 됩니다. 일반 단검 + 부스터 후 세비지 블로우를 쓰면 속도가 환상적이지만, 그게 아니라면 느려서 속터져 죽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스킬이죠.
(5) 세비지 블로우 - 마스터레벨 Lv.30, 마스터, 단검 착용시 MP 27 소비, 데미지 80%로 6연타
이게 없는 단검도적, 상상하기 힘들 겁니다. 게다가 더블 스탭으로 3차까지 놀아야 될테니 상당히 암울해지죠. 게다가 장점에서도 언급했듯이, 데미지도 아주 좋고 개인적으로 화려합니다.
3) 3차 스킬
(1) 메소 가드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MP ?? 소비, 120초간 가드한 데미지의 78%를 메소로 소비
스킬 설명을 직접 읽어 보시면 대충 감이 오실 겁니다. 자신이 입은 데미지의 반은 HP로 그냥 깎고, 나머지 반의 일부를 메소로 막는다는 것이죠. 이거 쓰면 적자나지 않나? 하는 분들을 위해 계산을 한번 해보죠.
하이퍼 바디 받아서 HP가 4500이 넘어버렸는데, 어느 몹님께서 4000이란 데미지를 입혔습니다. 메소 가드를 안 썼다면 쭈쭈바 2번, 즉 4600메소를 쓰는 셈이죠. 메소 가드를 썼다면 쭈쭈바 1번에 가드, 즉, 쭈쭈바 2300메소에 나머지 데미지 2000의 78%, 즉 1560메소, 총 소비 메소는 3860메소.
이제 감이 더 오셨을 겁니다. 그리고 적자든 흑자든, 죽기 않기 위해 쓰는 것이죠.
(2) 어썰터 - 마스터레벨 Lv.30, 마스터, 단검 착용시 MP 26 소비, 데미지 450%, 스턴확률 80%
적을 통과하면서 강한 일격을 가하는 스킬입니다. 물리방어력을 무시한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제 생각에도 그런 듯하더군요. 하지만 다크 스톤골렘이나 웨어울프 등의 물리방어력 업 스킬에는 영향을 받습니다(아마 일정 %를 깎아버리지 않나 싶군요). 게다가 세비지 블로우로는 불가능한 몹의 넉백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좋다는 것이죠.
(3) 픽파킷 - 마스터레벨 Lv.20, 마스터시 MP 50 소비, 180초간 공격시 60%의 확률로 메소 드롭
픽파킷 적용 중에는 어떤 공격을 하던 데미지와 스킬 레벨에 비례해 메소가 드롭됩니다. 단검을 착용했을 때 뿐만 아니라 다른 때에도, 어떤 스킬을 사용하던 데미지만 입히면 확률에 따라 무조건 메소가 드롭됩니다. 후반에 픽파킷도 사냥에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4) 시브즈 - 마스터레벨 Lv.30, 마스터시 MP 50 소비, 데미지 210%, 5명의 분신 소환
분신을 소환해 자신과 분신이 주위의 몹을 공격하는 스킬입니다. 메소 익스플로전과 함께 시프마스터의 유일한 범위 스킬이죠. 데미지에 비해 MP 소비가 크긴 합니다만, 그래도 뽀대는 좋습니다.시브즈도 후반에 주요 공격 스킬이 됩니다.
(5) 메소 익스플로전 - 마스터레벨 Lv.30, 마스터시 MP 30 소비, 숙련도 100%, ??개 폭발 가능
자신이 떨어뜨렸거나 자신이 잡은 몹에게서 나온 메소, 자신이 픽파킷 사용후 적을 공격해 나온 메소를 폭파시켜 적을 공격하는 스킬입니다. 숙련도만 올려줘서 별로다 싶으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데미지 차이가 적어지니 편해집니다. 시브즈, 세비지 블로우, 픽파킷과 함께 후반 주요 사냥 스킬입니다.
14. 몇가지 팁
1) 데미지 계산법
최대 데미지 공식 - (LUK * 3.6 + STR + DEX) * 공격력 / 100
최소 데미지 공식 - (LUK * 3.6 * 0.9 * 숙련도 + STR + DEX) * 공격력 / 100
숙련도 - 마스터리 마스터 했을 때(숙련도 60%) : 0.6 / 숙련도 35% : 0.35 로 계산해주시면 됩니다.
공격력 - 무기의 공격력 뿐만 아니라 장갑에 붙어있는 공격력, 파이터의 분노 스킬로 상승된 공격력, 전사의 물약/알약으로 상승된 공격력까지 모두 합산해서 계산해주시면 됩니다.
2) 다크 사이트 썼을 때 이동속도 계산법
마스터 안했을 때 - 0 + 장비 아이템의 이동 속도 + 물약/알약 이동속도 - 다크 사이트 스킬의 감소되는 이동속도
마스터 했을 때 - 사용 전 이동속도 그대로 유지
3) 메소 가드 소비 HP/메소 계산법
HP - ( 받은 데미지 ) / 2
메소 - ( 받은 데미지) / 2 * 메소 가드의 메소 소비량
메소 소비량 - 마스터 시(78%) : 0.78 / 스킬레벨 1(90%) : 0.9
15. 마치며
,,,,,, 특별히 할 말은 없군요. 루디브리엄, 오르비스 초중수 때 사냥터 있으면 리플좀 달아주세요 -ㅂ- 제가 상당히 고령자 유저라서 잘 몰라요 -ㅂ-
http://blog.daum.net/beejuja 이곳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첫댓글 선플 ^^ / 조회수 0의 축복 ㅇ _ㅇ ㅎ
굳뜨 ㅋㅋ
단도 스킬 < 알고싶었던..
루디나 오르비스설명이 없는게 흠...ㅎㅎ
루디, 오르비스 사냥터는 제가 해본적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ㅂ- 1~2년은 된 사람이라서 말이죠
그런데 스텟도 좀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ㅜㅡ
감사합니다^^
40무기 추가입니다. 태부나 게팟 작된걸로 신기타를 뻐기시던지 드래곤토네일이나 메이플바그나로 신기타를 뻐기세요.
감사합니다, 좀전에 막 수정했습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좀비인지, 레이스인지, 마스터크론스인지, 믹골인지, 신전인지, 좀비루팡인지.... 좀비에서 하고있긴하지만 어디가 제일 빠른지 확인해보고싶어요 -ㅁ-
시브즈가 5방이군요..ㄳ
깔끔하고 잘 쓰셧네요^^
깔끔해요~잘썻어요~확실해요~참 잘했어요 ^ ^
30업하고 주는거 세비지 찍고 37까지 대거마스터리 찍으면 안되나요? 세비지 1개 찍으면 1대?
선세비지 스킬트리로 나가셔도 상관은 없지만 말리고 싶습니다. 숙련도 부족으로 데미지 격차가 커서 한방 뜨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세비지 1 올리면 2방입니다.
3차 스킬에.. 70에 메익 1찍구 픽파킷 3찍은다음에 어썰 올리는 것두 있지 않나요 ?
글쎄요, 픽파킷 하나 올려놓고 하는 스킬트리도 있겠습니다만, 제 경우에 큰 효과는 보지 못했습니다. 요즘은 얼골 파사할때 메익으로 터뜨리려고 쓰기는 합니다. 그리고, 메익 1 픽파3이 아니라 메익3 픽파1입니다 -ㅂ-/
도움이 많이 됐네요 ㅋ 깔끔하게 잘 쓰셨어요 ㅎㅎㅎ
우와..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