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오어사 동종 (浦項 吾魚寺 銅鍾) - 보물 제1280호
종 목 보물 제1280호
명 칭 포항 오어사 동종 (浦項 吾魚寺 銅鍾)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98.06.29
소 재 지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오어로 1, 오어사 (항사리)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오어사
관리자(관리단체) 오어사

신라시대 종의 형태를 하고 있는 고려 범종으로, 종의 꼭대기 부분에 종을 매다는 역할을 하는 용뉴와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이 있다.
몸통부분의 위와 아래에는 횡선의 띠를 두르고, 같은 무늬를 새겨 넣었다. 3분의 1되는 곳 위쪽으로는 사각형의 유곽을 만들고, 그 안에 9개의 돌출된 모양의 유두가 있다. 또한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종을 치는 곳인 당좌를 따로 둔 것도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 종 몸통의 문양을 보면 서로 마주보고 꽃방석 자리에 무릎을 꿇고 합장하는 보살을 새겼고, 다른 두 면에는 범자가 들어간 위패형 명문으로 장식하였다.
고려 고종 3년(1216) 주조되었고, 무게가 300근이나 되고 오어사에 달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종의 변천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포항 오어사동종
향토자원 현황
- 자원명
- 포항 오어사동종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 분류
- 문화 > 유물
향토자원 소개
본 자원은 자원의 제작 연대로 보아 가히 몇 안되는 범종의 국보급에 해당되는 자원이라 사료 된
다.
포항시의 3대 사찰인 보경사, 오어사, 법광사(터), 그외에도 몇개의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 있
지만 우선 사찰의 역사성 때문에 현대에 세워진 그 어떤 사찰과는 비교 우위를 지닐수 있는 문화
유산의 가치가 탁월하다 하겠다.
불도의 4물이라 칭해지는,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의 하나인 자원을 유구한 역사를 지닌 사찰에
설치한것은 사찰의 권위와 역사성으로 판단할때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동종은 표면에 제작 연대가 각인 되어 있는데 그 시기가 고료 고종 3년(1216년) 이리하니 고찰의
명성에 걸맞는 범종이라 하겠다 현재 오어사 부지에 기념관을 세우고 그안에 보관하여 전시되어
있어 누구나 사찰을 방문하면, 자세히 살펴 볼수가 있다.
특히 최근, "오어사 동종"이 있는 오어사 주변을 관광 자원화 하기 위하여,조경 사업에 정성을 들
이고 있는데, 사찰 앞에는, 광활한 오어지(吾魚池)가 있는데, 갈수기에도 수량은 언제나 풍부하게
보존되여 현재 포항시의 지역 수자원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수원지에 직접 수질에 영향을 줄수 있
는 관광,휴게 시설의 설치가 어려울지 모르나, 오어지 위를 건너 다니며,산행을 할수 있게 최근
에 설치된 부교는 금후 관광객의 증대와 인근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훌륭하게 이용 되리라고 전
망한다.
부속 설비인 자장암, 보현암까지도, 서서히 걸어서 20-30분 이면 도착 할 수 있는 암자가 있어,
산행과 역사 문화재 탐방이란 일거 양득의 효과까지 있어 향후 관광객의 증대와, 현재 주말(토,
일)시행중인 포항시의 시민과 외지인의 일일 6-7시간의 일일 투어 코스에도 포함되어 있어, 지역
문화재의 소개와 역사교육의 장으로 인식되어 있어 더욱 활성화 시킨다면, 소기의 목적을 충분
히 달성할수 있으라라 여긴다.
그러면 이제부터 동종의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이 자원은 1998년 6월 29일 국가지정보물 제1280호로 지정되어 전용 기년관의 별도건물에 보관,관
리는 오어사에서 총괄하고 있다.
고려 고종 3년(1216년) 에 주조된 신라 범종 형식으로 언제 소실 되었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1995년 11월6일 오어지 상류의 준설작업중에 굴삭기 운전공에 의해 발견 되었다는데,
원래 동종의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용유와 음관, 및 상하대를 골고루 갖추고 있고,
당좌와 비천상 종기(鐘記)의 위치도 정연함
당좌위에 범자문을 새기거나,용통 상부를 요의두문으로 장식한점과, 비천상이 구름위의 영화좌위
앉아 있는 모습등은,신라종에서 모습의 변화를 보인 고려시대의 종의 특징을 나타 내고 있다고 한
다.
용의 머리쪽에 해당하는 종신부분의 왼쪽 하부 비천상과 당좌 사이에는 7행 82자의 종기가 음각되
어 있는데, 이를 통해 동화사(棟華寺) 순성(淳誠)대사를 도감으로하여 사부대중의 힘을 모아 300
근(180키로)의 동제품을, 대장(大匠) 순광(淳光)이 만들어 오어사에 설치했다함 종기의 내용을 확
인한 결과, 고려 고종3년 5월 19일임을 확인 했다고 전해진다.
첫댓글 오늘 가입한지라 준회원 신분으로 다 볼 수 없어 아쉽지만,
이곳저곳 볼 수 있는곳 둘러 본 결과 자료는 상세하고 풍부하여 좋은데 반해
화답글이 거의 없어 자료 제공하신분들 서운 하시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힘내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