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이 내용
냉이 (식물) [shepherd's purse] |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에 속하는 잡초. |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지금은 전세계에 퍼져 있다.
잔디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는데, 꽃대를 따라 편평하고 심장 모양으로 생긴 초록색의 열매가 달려 다른 식물들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꽃은 줄기의 끝에 무리지어 피는데 4장의 작은 꽃잎으로 되어 있으며, 하얀색이다.
줄기의 아래쪽에는 잎들이 달리는데, 이 잎은 작고 화살처럼 생겼으며 줄기를 감싼다.
꽃대는 민들레처럼 땅 위에 달라붙어 있는 로제트 잎 사이에서 나오며 로제트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깊게 파여져 있다.
키는 때때로 45㎝까지 자라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처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이른 봄에 하얀색으로 꽃을 피워 사람들에게 봄이 왔음을 알려준다.
이른봄에 새싹을 캐어 나물·국거리·김치 등에 쓰고 어린잎은 죽에 넣어 먹기도 한다. 글출처:다음백과사전, |
냉이는 채소 중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냉이에는 칼슘과 철분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입니다. ♥ 냉이에는 비타민 C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칼륨 성분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 냉이에는 아세틸콜린, 콜린, 티라민 등 많은 특수성분이 있어 약리 효과가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한방에서 전하는 냉이 이야기 중국에서는 제채(薺菜)라고 부를 정도로 냉이는 옛날에 나물보다는 약초로 많이 이용되어 왔습니다. 한방에서 전하는 냉이의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초강목』: ' 냉이는 경기하는데 좋고 뱃속을 고르게 하며 오장에 이롭다고 했으며, 또 겨울에도 냉이죽을 먹으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간을 도와서 눈이 밝게 해 준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동의보감』: ' 냉이로 국을 끓여 먹게 되면 피를 끌어다 간에 들어가게 하고 눈을 맑게 해준다'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냉이의 다양한 효능 이야기 냉이는 향긋한 향이 있는 반면 쌉사름한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냉이의 다양한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간에 쌓인 독을 풀어 주고 간기능을 정상으로 회복하게 하게 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 냉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칼륨 성분이 나트륨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냉이는 비위를 이롭게 해 한방에서는 소화제, 지사제로 사용합니다. ▷ 냉이는 지혈효과가 있어 보혈제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 냉이는 이뇨효과가 있어 부종이 있는 사람이 섭취하면 좋습니다.
냉이를 이용한 맛있는 요리~!! 향긋한 냉이는 주로 국이나 나물 등으로 음식을 해먹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냉이를 이용해 고소한 튀김을 만들어 보세요. 색다른맛의 냉이돈육탕수는 봄에 잃어버리기 쉬운 입맛을 되찾는데 도움을 준답니다.
▶ 재료 : 냉이 60G, 돈육(탕수육) 300G, 마늘 1작은술, 생강 약간, 정종, 식용유, 밀가루, 계란 1/2개, 전분, 소금, 후추, (초간장소스) 간장 3큰술, 식초 1큰술,
▶ 만드는 방법 1. 마늘, 생강은 다듬은 후 다져 놓습니다. 2. 돈육은 탕수용으로 썰어 정종, 마늘즙, 생강즙, 소금, 후추를 넣고 버무려 밑간을 해 놓습니다.
3. 냉이는 깨끗하게 손질한 후 끓는 물에 살짝 데치고(100 ℃ 끓는물, 1분간) 흐르는 물에 5번 이상 헹군 후 5cm 길이로 썰어 놓습니다.
4. 밀가루에 전분, 계란, 물을 넣고 섞어 튀김옷을 만들어 놓습니다. 5. 튀김솥에 식용유를 넣고 가열하여 온도가 오르면(180℃) 정육과 냉이에 튀김옷을 입혀 튀겨낸 후 한번 더 튀겨 냅니다. 6. 초간장이나 기호에 맞는 소스를 곁들여 냅니다.
여기서 잠깐~!! 냉이는 몸이 냉한 사람이 많이 섭취하게 되면 몸이 더 차게 될 수 있으므로 적당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출처:다음지식에서,aliseland님, |
|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 |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에 속하는 2년생초. |
논밭 근처나 습지에서 흔히 모여 자란다.
키는 15~30㎝ 정도이다.
건조한 곳에서 자란 것은 기부가 갈색을 띠며 털이 많지만 습지나 음지에서 자란 것은 녹색으로 털이 없다.
잎은 잔잎 7~17개로 이루어진 깃털처럼 생긴 겹잎으로 잔털이 있고 어긋나는데 끝에 달려 있는 잔잎이 가장 크다.
흰색의 꽃은 4~5월경 가지 끝에 20개 정도가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과 꽃받침은 4장이고 꽃받침은 흑자색빛이 돈다.
수술은 6개 중 4개가 길고 2개는 짧다.
열매는 길이가 2㎝ 정도의 삭과(蒴果)로서 터지면 뒤로 말린다.
전세계적으로 동남아시아, 히말라야, 유럽 및 북아메리카 등 온대에서 아열대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한국에는 황새냉이속(―屬 Cardamine)에 큰황새냉이(C. scutata), 논냉이(C.lyrata), 미나리냉이(C.leucantha), 는쟁이냉이(C.komarovi)를 비롯하여 약 13종(種)이 자생하는데, 황새냉이를 비롯한 모든 종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글출처:다음백과사전에서,李相泰 글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
학명 Cardamine lyrata |
분포지역 한국(전남·전북·경기·함남)·일본·중국·몽골·헤이룽강 논황새냉이 |
키: 30∼50cm |
줄기:곧게 서고 모가 나며 꽃이 질 때 땅위로 기는 가지를 벋는다.
가지의 잎은 둥글고 홑잎이다.
잎:어긋나기, 잎자루있음. 깃꼴겹잎. 작은잎은 3~13개, 둥글거나 타원, 톱니없고 가장자리 물결모양,
꽃: 흰색 4∼5월개화,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
꽃받침: 약 4mm 녹색의 긴 타원형, 꽃잎 4개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길이 8∼10mm 수술_ 6개, 2개는 짧다 열매: 각과, 길이 1∼2cm, 길이 2∼3cm, 나비 1mm로 비스듬히 위로 퍼짐. (황새냉이와 비슷함) 종자에 날개._털이 없다.(황새는 있음)
황새냉이속은 전세계 온대지방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2종이 있다.
황새냉이, 꽃황새냉이, 애기냉이, 좁쌀냉이, 싸리냉이, 는쟁이냉이, 참고추냉이, 미나리냉이, 논쟁이, 꽃냉이, 두메냉이, 큰황새냉이, 벌깨냉이, 왜갓냉이가 있으며, 고추냉이속의 고추냉이, 나도냉이속의 나도냉이, 개갓냉이속은 전세계에 약 50종이 분포되어있고, 개갓냉이, 좀개갓냉이, 구슬갓냉이, 속속이풀이 있다.
황새냉이는 겨자과의 "황새냉이"이다.
논밭 근처나 습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무더기로 모여 나는 줄기는 10~30센티미터 높이로 자라며 밑에서 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퍼진다.
줄기는 갈색을 띠며 털이 많으나 습지나 응달에서 자란것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맛은 달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청열, 양혈, 조경, 명목의 효능이 있어 이질과 토혈에 황새냉이 40그램을 물로 달여 복용하며, 안질환에는 짓찧어서 왼쪽에 이상이 있으면 오른쪽 콧속에 삽입한다.
여성의 생리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
글출처:http://oyoon.com.ne.kr/flower/flower_sp/neng-y(non).htm |
|
나도냉이속의 나도냉이, 개갓냉이속은 전세계에 약 50종이 분포되어있다,
개갓냉이, 좀개갓냉이, 구슬갓냉이,두메냉이, 벌깨냉이,산냉이, 애기냉이,왜갓냉이,
큰는쟁이냉이,섬싸리냉이,제주싸리냉이,털싸리냉이,는쟁이냉이,미나리냉이
통영미나리냉이, 좁은잎미나리냉이,
황새냉이속은 전세계 온대지방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2종이 있다.
황새냉이, 꽃황새냉이, 애기냉이, 좁쌀냉이, 싸리냉이, 는쟁이냉이, 참고추냉이, 미나리냉이, 논쟁이, 꽃냉이, 두메냉이, 큰황새냉이, 벌깨냉이, 왜갓냉이,논냉이, 좁쌀냉이 ,큰황새냉이, 좀냉이,
냉이종류도 엄청나게 많지요?^-^ㅎㅎ |
간혹 냉이와 황새냉이에 대해 혼동을 하신 분들이 더러 계시는 것 같아 참냉이와
황새냉이 이미지를 함께 올리면서 냉이에 대한 상세한 자료도 함께 올려봅니다.^-^
윗쪽 네번째 부터 올려진 냉이는 일반적으로 (참냉이)라고 부릅니다만 참냉이는 고소한맛이 일품이지만 논황새냉이도 일반적으로 (황새냉이)로 그리 불려지고 있는데
잎을 뜯어서 맛을 보면 입안이 얼얼할정도로 즉, 겨자향같이 그리 톡쏘는 매운맛이 일품이랍니다.^-^
냉이 종류가 엄청많아 냉이 종류 이름 모음도 함께 올려보았습니다.^-^ |
|
|
첫댓글 봄나물의 대표인듯한 냉이가 이렇게 많을 줄 몰랐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