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가본 그곳은 그저 철길 옆. 집들이 늘어서 있는 모습 이외에도 많은 이야기들이 녹아있는 동네였다.
이 특이한 철길은 1944년 4월 4일, 신문용지 제조업체인 '페이퍼코리아'사의 생산품과 원료를 실어나르기 위해 처음 놓여졌다고 한다. 사람사는 집이 옆에 있는 터라 기차의 속도는 느렸다. 재밌는 건, 기차가 들어올 때 역무원 세 명이 기차 앞에 탄 채로 호루라기를 불고 고함을 지르며 사람들의 접근을 막았다고 한다. 그러면 사람들은 화분이며 빨랫감이며 살림살이들을 집안으로 들여놓고 아이들과 애완동물들을 불러들였다.
현재는 기차가 다니지 않아 이런 풍경들을 볼 수 없지만, 기찻길을 가로지르는 빨랫줄을 보며 그러한 모습들을 상상하는 재미에 시간가는 줄을 몰랐다.
그러다 문득 태국에 있다는 기찻길 시장이 생각났다. 그곳은 기찻길을 중심으로 시장이 생겼다는 점이 다르지만, 사는 모습은 우리의 과거와 다를게 없어보였다.
사실 이러한 생활들이 결코 낭만적이지만은 않을 것이다. 내 집앞을 내 맘대로 마음놓고 사용할 수도 없거니와, 기차가 지나갈때마다 소음과 진동을 견뎌야 하는 고통은 감히 상상할 수도 없다.
하지만 내가 살던 곳이기에 떠날 수 없는 어쩔 수 없는 그 마음은 어느정도 짐작이 간다.
우리나라에선 왜 그렇게 사람들마다, 가는 곳마다 흔적을 남기고 싶어 안달인지 모르겠다.
기찻길 중간에 있는 가게에서 파는 추억의 음식, 쫀드기
기찻길은 생각보다 길지 않았다. 토요일이라 그런지 사람이 많아 쭉 뻗은 기찻길 사진을 찍기도 힘들었다. 겨울이라 그런지 너무 춥고, 꽃이 피거나 녹음이 우거지지 않아 조금 휑해보였다.
그렇지만 철길마을이 기억에 남는 이유는 그곳에서만 볼 수 있는 삶의 모습들, 그리고 연탄불에 구운 쫀드기같은 추억의 먹거리 등의 재미요소가 어우러져 특별함을 만들어내기 때문일 것이다. (나중에 알고보니 옛날교복을 대여해주는 곳도 있다고 한다.)
철길마을 다음으로 간 곳은 근대화거리. 사실 계획없이 간 여행이라 일본식 건물들이 쭉 줄지어 서서 이국적인 풍경을 만들어내는 것을 보고 놀랐는데, 알고보니 그곳이 근대화거리였다.
근대화 거리에 있었던 게스트하우스. 숙박을 하게된다면 이곳에서 해도 정말 좋은 경험이 될 것 같다.
군산의 대표적 일본식 가옥인 히로쓰 가옥. 창살이 만들어내는 형태가 아름다워 찍었다.
히로쓰 가옥 안에서.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에 나오는 집이 생각났다.
철길도 그렇고 일본 가옥들도 그렇고, 일제의 잔재가 유독 많이 남아있는 도시가 군산인데, 알고보니 그 시기에 쌀을 수탈하기 위한 주요 거점으로 군산을 이용했기 때문이었다.
그런 것들을 보면 괜히 아픈 역사가 떠올라 찝찝하고 기분이 나빠지지만, 그렇다고 그 흔적들을 모두 없애버린다면 역사를 누가 기억해줄까.
그러고보니 그 다음으로 갔던 절 동국사도 일본의 건축 양식을 닮아있었다. 구경할 때는 그저 무언가 특이하게 생겼다는 생각만 했었는데, 이제와 생각해보니 일본에서 갔던 절들과 비슷하게 지붕이 크게 강조된 형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