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국전통예절 연구원 원문보기 글쓴이: 선 광 ( 善 光 )
任那日本府 說 (임나일본부 설) 考察
1. 정의
왜가 4세기 중엽에 가야지역을 군사적으로 정벌해 임나일본부라는 통치기관을 설치하고 6세기 중엽까지 한반도 남부를 경영했다는 학설.
2. 내용
‘남선경영론(南鮮經營論)’이라고도 한다.
이는 일제가 그들의 한국 침략과 지배를 역사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조작해 낸 식민사관 중에서, 한국사의 전개과정이 고대부터 외세의 간섭과 압제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타율성이론의 대표적인 산물의 하나이다.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에도 『고사기(古事記)』·『일본서기』 등의 일본고전을 연구하는 국학자들은 그를 통해 태고 때부터의 일본의 조선 지배를 주장하였다.
그 뒤 메이지 연간(明治年間, 1868∼1911)에 문헌고증의 근대 역사학이 성립되면서, 국학연구의 전통을 이어받은 간[菅政友]·쓰다[津田左右吉]·이마니시[今西龍]·아유가이[鮎貝房之進] 등은 일본의 임나 지배를 전제하고 주로 임나관계의 지명 고증작업을 행하였다.
이어 스에마쓰[末松保和]는 『대일본사(大日本史)』(1933)의 한 편으로 「일한관계(日韓關係)」를 정리했다가, 제2차 세계대전 후에 학문적 체계를 갖춘 남선경영론을 완성시켰으니, 그것이 『임나흥망사(任那興亡史)』(1949)였다. 그의 임나일본부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지』 위서 왜인전 서두의 문구로 보아, 3세기 중엽에 이미 변진구야국(弁辰狗邪國), 즉 임나가라를 점유하고, 왜왕은 그 중계지를 통해 삼한에 통제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일본서기』진쿠황후[神功皇后] 49년조의 7국 및 4읍 평정기사로 보아, 369년 당시 왜는 지금의 경상남북도 대부분을 평정하고, 전라남북도와 충청남도 일부를 귀복시켜 임나 지배체제를 성립시키고, 백제왕의 조공을 서약받았다.
셋째, 광개토왕비문의 기사로 보아, 왜는 400년 전후해서 고구려군과 전쟁을 통해 임나를 공고히 하고 백제에 대한 복속관계를 강화하였다.
넷째, 『송서(宋書)』 왜국전에 나오는 왜 5왕의 작호로 보아, 일본은 5세기에 외교적인 수단으로 왜·신라·임나·가라에 대한 영유권을 중국 남조로부터 인정받았으며, 백제의 지배까지 송나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였다.
다섯째, 『남제서(南齊書)』 가라국전 및 『일본서기』 게이타이왕[繼體王] 때의 기사들로 보아, 일본은 5세기 후반에 임나에 대한 통제력이 완화되기 시작해 6세기 초반에는 백제에게 전라남북도 일대의 임나땅을 할양해 주기도 하고, 신라에게 남가라(南加羅) 등을 약탈당하기도 하면서 임나가 쇠퇴하였다.
여섯째, 『일본서기』긴메이왕[欽明王] 때의 기사들로 보아, 540년대 이후 백제와 임나일본부는 임나의 부흥을 꾀했으나, 결국 562년에 신라가 임나 관가를 토멸함으로써 임나가 멸망하였다.
일곱째, 그 뒤에도 일본은 임나 고지에 대한 연고권을 가져서 646년까지 신라에게 임나의 조(調)를 요구해 받아내었다.
즉, 임나일본부설은 왜왕권이 한반도의 임나지역을 정벌해 현지에 설치한 직할통치기관으로서, 왜는 이를 기반으로 하여 4세기 중엽부터 6세기 중엽까지 200년간 가야를 비롯해 백제·신라 등의 한반도 남부를 경영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임나일본부설의 주요 근거사료인 『일본서기』는 8세기 초에 일본왕가를 미화하기 위해 편찬된 책으로서, 원사료 편찬과정에 상당한 조작이 가해졌다. 특히 5세기 이전의 기록은 대체로 신빙성을 인정하기 어려우며, 「광개토왕비문」이나 『송서』 왜국전의 문헌기록은 과장되게 해석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헌사료상의 문제점 외에 그 주장의 사실관계만 검토해 보아도 임나일본부설의 한계성은 곧 드러난다. 김석형(金錫亨)의 연구에 따르면, 기나이[畿內]의 야마토세력[大和勢力]이 주변의 일본열도를 통합하기 시작한 것은 6세기에 들어서야 겨우 가능했다고 하며, 이러한 견해는 일본학계에서도 이제 통설화되어 있다.
그렇다면 야마토국가가 멀리 떨어진 남한을 4세기부터 경영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없는 것이며, 이는 내부 성장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대외관계를 우선적으로 언급한 일본고대사 자체의 맹점이었다.
또한, 왜가 임나를 200년 동안이나 군사적으로 지배했다면 그 지역에 일본 문화유물의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야 하는데, 가야지역 고분 발굴자료들에 의하면 4세기 이전의 유물문화가 5, 6세기까지도 연속적으로 계승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즉, 일본에 의해 지배당했다는 증거가 문화유물에 반영된 바 없으므로, 임나일본부설에서의 문헌사료 해석이 크게 잘못되었음이 입증되는 것이다.
스에마쓰에 의해 학문적으로 정립된 임나일본부설은 오랫동안 일본고대사 연구자들 사이에 정설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김석형의 일본고대사 자체에 대한 반론이 1960년대에 발표되자, 그 충격에 의해 1970년대 이후 일본사학계에서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재검토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노우에[井上秀雄]는 『일본서기』의 사료계통의 원전을 분석, 부레쓰기[武烈紀] 이전 기록의 신빙성을 의문시하고 그들 기록에 의한 더 이상의 상상을 배제하였다.
반면 「광개토왕비문」에 나타나는 4세기 말의 왜군이나 긴메이기[欽明紀]에 나타나는 6세기 전반의 임나일본부에 관한 기록은 신뢰할 수 있되 이들은 야마토왕조에서 파견한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실태는 왜인으로 칭하는 임나의 지방호족이 일본의 중앙귀족이나 지방호족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세력을 확대하려 한 것이고, 그들은 백제·신라의 접촉지대에 있던 일본부의 군현을 통치하고 있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즉, 임나일본부는 왜인을 자칭하는 가야의 한 지방세력에 의한 독립소국이었다는 것이다. 이는 일본인학자의 연구결과 중에서 왜왕권의 임나지배를 부인한 최초의 것이다.
우케다[請田正幸]는 사료상으로 임나일본부는 6세기 전반의 안라(安羅: 지금의 경상남도 함안)에 있던 일본부만을 가리키며, ‘일본부(日本府)’의 고훈(古訓)은 ‘야마토노미코토모치’로 그 뜻은 일본왕이 임시로 파견한 사신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요시다[吉田晶]도 우케다와 비슷한 입장에 서면서, 6세기 전반의 기나이 세력은 국가형성의 주체세력으로서 한반도의 선진문물을 독점하는 것에 주안을 두고 임나에 사신을 파견한 것이므로, 일본부는 왜왕권에서 파견된 관인(官人)과 가라제국의 한기층(旱岐層)으로 구성되어 상호간의 외교 등 중요사항을 논의하는 회의체였다고 보았다.
거의 같은 시기에 기토[鬼頭淸明]는 우케다나 요시다와 같은 견해이면서도, 당시에 관인을 파견해 임나일본부에 의한 공납 수령체제를 형성시킨 주체인 왜는 야마토 왕권이 아니고 그에 선행하는 일본열도 내 별개의 정치세력일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야마오[山尾幸久]는 『일본서기』의 기사들을 재검토하고 백제사와의 관련성을 첨가해, 왜왕권이 임나 경영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5세기 후반 백제의 대신이면서 임나의 지배자였던 목만치(木滿致)가 왜국으로 이주한 이후부터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를 맞이함으로써 임나에 대한 연고권을 갖게 된 왜왕권이 가야지역에 관인을 파견해 구성한 것이 임나일본부이며, 5세기 후반에는 직접 경영이었고, 6세기 전반에는 백제왕을 사이에 낀 간접 경영이었다고 주장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 오야마[大山誠一]는 6세기 전반에 백제·신라에 의해 독립을 위협받던 가야제국과 현지 거주의 일계인(日系人)이 야마토 왕조에 요청해, 게이타이왕 26년(532년으로 고증)에 아후미노게나노오미[近江毛野臣]가 파견됨으로써 임나일본부가 성립되었다고 하였다.
즉, 가야제국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가야제국의 왕과 야마토에서 파견된 관인이 일종의 합의체를 구성한 것이 임나일본부인데, 562년 가야의 멸망과 함께 소멸되었다는 것이다.
최근에 스즈키[鈴木英夫]는 임나일본부의 존립 시기와 의의를 극도로 축약한 연구를 보여주었다. 임나일본부는 가야 재지 지배층의 요청에 의해 530년에 왜왕권에서 게나노오미가 군사집단을 이끌고 안라에 파견됨으로써 성립되었으나, 이듬해 백제군대가 안라로 진주함으로써 실질적인 활동, 즉 임나 지배가 종결되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근래의 일본인학자들의 임나관계 연구경향은 종래에 비해 상당한 차이가 나타난다.
첫째, 『일본서기』의 5세기 이전 사료의 신빙성을 부인함으로써 임나일본부의 성립 시기를 4세기 중엽으로 설정하는 고정적 관점에서 후퇴해 대체로 6세기 전반으로 제한해 보고 있다.
둘째, 임나일본부의 성격을 왜왕권이 임나를 군사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지배기관이 아니라, 왜왕권이 한반도의 선진문물을 독점 수용하기 위해 임나에 파견한 사신 또는 관인집단으로 보고 있다.
셋째, 임나일본부의 존립 이유를 왜의 군사적 압제에서 구한다기보다 백제·신라의 압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가야제국의 자주적 의지에서 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의 변화는 종래의 임나일본부설에서 일단 진일보한 것이라고 인정된다. 그러나 임나일본부와 야마토 왕조와의 관계를 부인하는 견해에서 알 수 있듯이, 6세기 이전의 일본고대사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점이라 하겠다.
일본열도 내의 기본적인 세력판도를 모르는 상태에서, 모든 대외관계의 주체를 기나이의 왕가로 돌려서 보려는 고정관념이 얼마나 타당할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야재지세력의 자립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주된 관심을 일본부 자체에 두고 있다. 그리하여 가야지역 내의 가야인의 대응방식에는 소홀하고, 『일본서기』를 찬술한 이래 일본의 일방적인 관점이 강조되어 여전히 실태 파악의 균형을 잃고 있다.
국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스에마쓰의 임나일본부설을 금기시해 외면하고 체계적 반론을 펴지 않고 있다가 1970년대 후반 이후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천관우(千寬宇)는 『일본서기』의 임나관계 기록들을 재해석, 기록의 주어를 왜왕이 아닌 백제왕으로 봄으로써 ‘왜의 임나 지배’가 아닌 ‘백제의 가야 지배’라는 시각으로 가야사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그는 근초고왕이 369년에 가야지역을 정벌해 백제권에 편입시킨 후, 가야 지배를 위해 설치한 파견군사령부가 이른바 임나일본부라는 것이다.
그리고 5세기부터 6세기 초에는 군사령부가 김천·달성 등의 낙동강 중·상류방면에 있었고, 530년대 이후에는 진주·함안 등의 낙동강 하류방면에 있었다는 것이다.
김현구(金鉉球)는 보다 신중하게 긴메이기의 기록만을 이용해, 임나일본부는 백제가 가야 통치를 위해 설치한 기관이었다는 천관우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6, 7세기 백제와 야마토 사이의 외교관계의 특징을 용병관계(傭兵關係)로 파악하였다.
즉, 4세기 후반 이후 백제는 임나에 직할령을 두고 군령(郡令)·성주(城主)를 파견해 다스렸는데, 6세기 전반에는 일본인 계통의 백제 관료와 야마토 정권으로부터의 용병을 배치시켰다는 것이다.
이근우(李根雨)는 게이타이기 이전의 4, 5세기의 상황에 대해서는 천관우의 입론을 수용하면서, 일본열도 내의 세력주체가 6세기 초에 구주(九州)의 왜왕조에서 기나이의 야마토 세력으로 바뀌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그러므로 임나일본부는 원래 구주의 왜왕조와 관련이 있는 문물 수용의 통로였고, 야마토 세력과는 무관한 것이었는데, 6세기 전반에 야마토 세력이 가야 문제에 말려들어 임나일본부에 대한 연고권이 있는 것처럼 인식하게 된 것은 백제의 외교적 술수에 의한 것이라고 하였다.
근래의 국내학자들에 의한 임나관계 연구경향은 백제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다. 특히, 540년대 이후로 가야지역이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고 지적한 연구성과는 존중되어야 할 것이며, 임나일본부를 구주의 왜왕조와 관련시킨 것도 주목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4세기 중엽부터 6세기 중엽까지 가야가 백제의 지배 아래에 놓여 있었다고 추정한 점은, 앞에 서술한 가야문화의 전대(前代) 계승적인 경향과 어긋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가야사 및 가야의 문화능력에 대한 몰이해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사료상으로 임나일본부는 백제로부터 명령을 받거나 백제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고 반백제적인 성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이를 백제 군사령부로 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그에 소속된 일본인 계통의 관인을 백제의 군령·성주로 동일시하기도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그러므로 문헌에 나오는 임나일본부는 가야 문화의 독자성을 배경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광개토왕릉비문」의 신묘년 기사는 매우 불분명한 것이어서, 왜의 임나 지배에 대한 증빙 자료로 활용될 수는 없다.
또한 한일간에 근래의 연구 동향에서 『일본서기』의 신공황후 관련 기사를 모두 조작된 전설로 처리해 이를 토대로 임나의 성립을 말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백제본기』가 인용된 『일본서기』의 기사들을 통해, 6세기 전반에 이른바 ‘임나일본부’라는 기구가 가야연맹의 강국 중 하나였던 안라국(安羅國: 지금 경상남도 함안)에 있었다는 것은 인정된다.
530년대는 가야연맹이 신라와 백제의 복속 압력을 받아 맹주국인 대가야의 영도력이 흔들리던 시기였다. 당시 ‘임나일본부‘를 안라국에 설치한 것은 백제였고, 관리들은 친 백제계 왜인들로 구성되었다.
성립 초기의 안라왜신관은 백제·왜 사이의 교역 대행기관의 성격을 가지며, 백제는 이를 통해 안라국(함안)·탁순국(창원)을 거쳐 왜국으로 향하는 교역로를 확보하려고 한 듯하다.
반면에 안라는 ‘일본부’의 존재를 이용해 대왜 교역 중개기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가야연맹 내에서 북부의 대가야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중심세력으로 대두할 수 있었다.
그러다가 안라는 530년대 후반 국제관계의 혼란을 틈타 백제의 의사와 관계없이 ‘임나일본부’의 왜인 관리들을 재편성함으로써 기구를 장악하였다.
그러므로 540년대 이후의 사료상에 나타나는 ‘임나일본부’는 안라왕의 통제를 받는 대왜(對倭) 외무관서로 성격이 변질된 것이며, 그곳의 관리들은 친 안라계 왜인 또는 그들과 가야인 사이의 혼혈계의 인물들로서 안라를 비롯한 가야연맹을 위해 일하고 있었다.
가야연맹의 제2인자였던 안라국은 왜와의 교역에서 유리한 입지 조건을 차지하고 있는 이점을 살려 자신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 체제를 도모하기 위해 이를 운영했던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이 외무관서는 실제와 달리 ‘왜국 사절들의 주재관’처럼 표방되어, 가야연맹을 병합하려고 도모하는 백제·신라의 외교적 공세로부터 가야의 독립성을 연장시키는데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550년을 전후해 안라의 왜인 관료 기구가 백제의 압력으로 해체되고 다시 백제의 교역 대행기관으로 변모되었다. 이에 가야의 세력은 점차 약화되었고, 560년경 안라국이 신라에 병합되면서 결국 이른바 ‘임나일본부’는 완전히 해체되었다.
그런데 ‘일본(日本)’이라는 국명은 7세기 중엽 이후에 성립된 것이므로 6세기 전반에 ‘일본부(日本府)’라는 명칭은 있을 수도 없다.
그러므로 ‘왜의 임나 지배’라는 선입견이 들어있는 ‘임나일본부’라는 용어는 폐기하고, 앞으로는 ‘안라에 있던 안라의 왜인 신하들이 일을 보던 곳’이라는 관점에서 ‘안라왜신관(安羅倭臣館)’이라는 이름으로 고쳐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스에마쓰에 의해 정립된 임나일본부설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비판되고 수정되어, 이제는 학설로서의 생명을 거의 잃었다.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임나관계의 연구들은 서로 근접된 인식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① 임나일본부의 문제를 6세기 전반에 한정해 취급한다든가, ② 임나일본부의 성격을 지배가 아닌 외교의 측면에서 이해한다든가, ③ 임나문제에 대해 백제와 가야의 역할을 중시한다든가 하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6세기 이전의 가야사 및 일본고대사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진해, 그들 사이의 대외관계사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임나관계 연구는 더 이상의 규명이 어려운 단계에 와 있다.
그러므로 『일본서기』에 나타나는 6세기 중엽 당시 임나일본부의 실체에 대해서는 가야사 및 일본고대사의 체계적 연구 이후에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광개토왕릉비문(廣開土王陵碑文)』
『삼국지(三國志)』
『송서(宋書)』
『남제서(南齊書)』
『일본서기(日本書紀)』
『임나일본부연구』(김현구, 일조각, 1993)
『가야연맹사』(김태식, 일조각, 1993)
『초기조일관계연구』(김석형,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가야사연구의 제문제」(김태식, 『한국상고사』, 민음사, 1989)
「일본서기 임나관계기사에 관하여」(이근우, 『청계사학』2, 1985)
「복원가야사」(천관우, 『문학과 지성』28·29·31, 1977·1978)
『大和政權の對外關係硏究』(金鉉球, 吉川弘文館, 1985)
『任那日本府と倭』(井上秀雄, 寧樂社, 1973)
『任那興亡史』(末松保和, 吉川弘文館, 1949)
『任那考』(菅政友, 菅政友全集, 國書刊行會, 1907)
「加耶·百濟と倭: 任那日本府論」(鈴木英夫, 『朝鮮史硏究會論文集』24, 1987)
「所謂任那日本府の成立について」(大山誠一, 『古代文化』32-9, 32-11, 32-12, 1980)
「任那に關する一試論: 史料の檢討を中心に」(山尾幸久, 『古代東アジア史論集』下, 1978)
「任那日本府の檢討」(鬼頭淸明, 『日本古代國家の形成と東アジア』, 校倉書房, 1976)
「古代國家の形成」(吉田晶, 『岩波講座 日本歷史』2, 1975)
「六世紀前期の日朝關係: 任那日本府を中心といて」(請田正幸, 『朝鮮史硏究會論文集』11, 1974)
「日本書紀朝鮮地名攷」(鮎貝房之進, 『雜攷』7, 1937)
「加羅疆域考」(今西龍, 『史林』4-3, 4-4, 1919)
「任那疆域考」(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硏究』1, 191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네이버 지식백과] 임나일본부설 [任那日本府說]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廣開土大王陵碑(광개토대왕비)
광개토대왕릉비는 조선초기부터 우리에게 알려져 있었으나 우리 조상들은 여진의 영토에 있고 여진의 역사라고 평가하여 연구를 하지 않았다. 그러다 1877년 관월산(關月山)이라는 자가 왕릉비를 발견하였는데, 비 전체가 이끼에 덮여 제대로 탁본을 뜰 수 없었다.
광개토대왕릉비가 있던 마을에 초천부(初天富), 초균덕(初均德)이라는 부자(父子)가 비의 탁본이 돈이 됨을 알고 탁본을 팔아 생활하였는데, 비의 이끼가 탁본을 어렵게 하자 쇠똥을 발라 불을 질렀다. 이로 인해 이끼는 제거되었지만, 비의 표면에 균열이 생기고 일부가 터져나가 글자가 훼손 되는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우리에게 광개토대왕릉비가 중요한 것은 일본의 한반도 지배원리를 제공했었던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附設)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1883년 일본 헌병 중위인 사토오 가게노부(酒勾景信)가 이 탁본을 입수하여 일본으로 가져가자 일본 학계에 큰 바람이 불게 되는데, 일본은 이를 한반도 침략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임나일본부설 조작의 자료로 삼게 된다.
조작은 원문 백잔신라 구시속민 유래조공 이왜이신묘년 도해파백잔 ㅇㅇ 신라 이위신민(百殘新羅 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來 渡海 破百殘 ㅇㅇ 新羅 以爲臣民)에서, 애초에 멸실되어 탁본에 보이지 않던 두 글자 ㅇㅇ 부분에 임나(任那)라고 하는 글자를 일본이 임의로 끼워 넣어 해석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일본의 해석에 따르면‘백제와 신라는 과거 속국으로 지금까지(고구려에) 조공해 왔는데, 왜가 신묘년(391년)에 바다를 건너와 백제,임나,신라를 격파하고 신민으로 삼았다’는 뜻이 된다.
그러나 이 구절은 뒤에 나오는 ‘이에 병신년(영락6년)에 (고구려)왕이 수군을 이끌고 백제를 토벌하였다(以六年丙申 王躬率水軍討伐殘國)는 말과 앞뒤가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본은 하필 왜 그 자리에 뜬금없이 임나(任那)가 들어가야 하는지도 설명을 못하였다. 뒤 구절에 나오는 토벌 대상은 왜(倭)이지 백제가 될 리가 없는 것이다.
그러다 1972년 재일 사학자인 이진희가 석회도말론(石灰塗抹論)을 발표하여 사학계를 흔들게 된다. 일본이 왕릉비에 석회를 발라 글자를 조작하였다는 것이다. 그동안 일본학계의 주장에 제대로 반론조차 못하던 한국 사학계가 이 석회도말론을 쌍수를 들어 환영하였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중국사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석회도말은 애초에 없었던 것으로 결론이 났다. 석회도말론이 나온 배경은 탁본 장사로 먹고 살던 초초부자(初初父子)가 비석의 글자가 흐려 탁본에 잘 나타나지 않자 임의로 석회를 발라 일부 글자를 교정하려 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탁본마다 글자 생김새가 조금씩 달라진 배경도 여기에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일본 교과서에도 버젓이 수록되어 있던 왕릉비의 임나라는 글자가 전혀 사실이 아님을 유추할 수 있는 증거가 근자에 발견되었다.
중국의 왕건군 길림성문물고고연구소장이란 사람이 왕릉비를 오랫동안 연구하였는데, 그의 저서 말미에 실은 참고자료 중에 광개토대왕비 초본이 마이크로필름으로 담겨있었다. 초본에는 보이지 않던 글자 ㅇㅇ 중 앞 글자가 동(東)으로 적혀있었다.
그 초본은 초초부자(初初父子)중 아들인 초균덕(初均德)이 적은 것으로, 그들이 왕릉비에 쇠똥을 발라 불태워 비를 훼손하기 전 일일이 비의 전자(全字) 1750여자를 필사하여 기록한 것이었다.
초균덕은 고고학에는 문외한인 사람이었으나 별명이 초대비(初大碑)라 불릴만큼 왕릉비를 평생 끼고 산 사람으로 유명했는데, 그가 죽으면서 남긴 유물 중에 왕건군의 저작에 실린 왕릉비 초본이 있었다. 그는 비를 불태우기 전 탁본에도 잘 나타나지 않던 글자를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여 왕릉비 초본을 만들었던 것이다.
초균덕이 만든 초본은 기록된 다른 글자가 하나도 기존 알려진 탁본과 다르지 않아 그 진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초균덕의 초본으로 알게된 동(東)자를 집어넣어 글귀를 완성해 보면 도해파백잔 동ㅇ 신라 이위신민(渡海 破百殘 東ㅇ 新羅 以爲臣民)이 되는데, 나머지 멸실된 ㅇ자는 자연히 동사인 정(征)이나 벌(伐)이 되어 백제가 동쪽으로 신라를 정벌하여 신민으로 삼았다는 뜻이 된다. 그러면 이에 화가 난 고구려가 바다를 건너 백제를 치게 되는 뒤의 글자 풀이가 자연스러워 지는 것이다.
요즘 일본 국사교과서에 왕릉비의 임나일본부 주장은 거의 사라졌다. 그리고 일본 역사학자들도 일본서기에 적힌 임나일본부가 역사적 사실이 아닐 것으로 생각하는 이가 많아지고 있다. 당시의 일본 국력으로 보나 연대기로 보나 가능하지 않은 일일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일본이 해방 후 퇴각하면서 자기들이 남긴 교육효과가 조선반도에서 일백년은 갈 것으로 예측하였다는데, 불행히도 거의 사실화 되어가고 있다. 조선사편수회의 망령이 들씌운 우리 강단역사학계의 노력이 아직도 부족함을 많이 느낀다.(오계동)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에 대한 비판(批判)
6. 위작(僞作)“倭(왜)”자고(字考)에 대한 재론.
〈성야량작(星野良作)의“위작‘왜’자고 비판”에 대한 재 비판〉
1981년 12월 18일 이형구(李亨求)·박노희(朴魯姬)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발표한 바 있는“광개토대왕릉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의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에 대하여 –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논문에 대하여 성야량작(星野良作)의 부정적인 논평이『광장(廣場)』1983년 1월호“논단”(58~71쪽)에 “광개토대왕릉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 연구(硏究)의 새로운 전개(展開) – 이형구의 신설(新說)에 접하여 - ”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하였다. 이에 대해〈위작 ‘왜’자고〉논문의 저자의 답변을 하였다. 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보기로 하자.
“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는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가 재발견(再發見)되고부터 근 백 년 동안 한(북 포함)·일 양국 간에 가장 큰 문제가 되었던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라고 하는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제 1면 제8행 제34자부터 제9행 제24자까지의 32자에 대해서 논증을 한 것이다. 그러나“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라고 하는 부제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 즉 횡정충직(橫井忠直) 석문(釋文)에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後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羅以爲臣民.
백잔신라구시속민유래조공이후이신묘년래도해파백잔□□라이위신민
百殘(백잔. 제)과 新羅(신라)는 예로부터 屬民(속민)으로서 朝貢(조공)하여 왔다. 그리하여 倭(왜)는 辛卯年(신묘년. 291년)부터 이쪽에서 바다를 건너 百濟(백제) · □□羅를 破(파)하여 이를 臣民(신민)으로 삼았다.〔井上光貞等編(정상광정등편), 日本(일본) 文部省(문부성) 檢定淸(검정청) 敎科書(교과서) 「詳說 日本史(상설 일본사)」, 1983, 25쪽 번역문〕
이라고 하는 문장 중에서 기왕의 여러 설이 통념적으로 믿어 왔던“倭(왜)”자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분석·고증을 하여, 마침내 논자는“倭(왜)”자가 일본의 관학자(官學者)들에 의하여 위작(僞作)되었다는 것을 밝혀내고 이를 특별히 강조하고 소위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를 아래와 같이 복원을 하였다.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以辛卯年破白殘新羅以爲臣民.
백잔신라구시속민유래조공이이신묘년파백잔신라이위신민.
百殘(백잔. 제)과 新羅(신라)는 예로부터〔高句麗(고구려)의〕屬民(속민)으로서 朝貢(조공)을 바쳐왔는데, 그후 辛卯年(신묘년. 291)부터 朝貢(조공)을 바치지 않으므로 〔廣開土大王(광개토대왕)은〕 百殘(백잔. 제)·倭寇(왜구)·新羅(신라)를 파하여 이를 臣民(신민)으로 삼았다. 다시 말해서 –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의 핵심적인 주제를“倭(왜)”자의 진위(眞僞)에 두고 이를 분석 · 고증한 결과, 이는 위작(僞作)임을 밝히고 또 다른 의심스러운 문자(文字)에 대해서도 철저히 분석·고증하여 복원을 해보았다. 본 논문에 대해서 물론 논쟁의 여지가 없다고 여긴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다른 학자들의 비판을 기다리던 중 성야량작(星野良作)의 논평(論評)을 접하였는바 성야량작(星野良作)은 논자(論者)의 논문(論文)에 대해“新‘虛構’說(신‘허구’설)”또는“新‘바꿔치기’說(신‘바꿔치기’설)”이라 규정을 하고
「나는 이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구사된다고 여겨지는 비문의 서법에 의한 분석에 대하여 발언하는 자격을 갖지 못한 것이다. 이 점에 대해 용서를 빈다.¹」
고 하였다. 성야량작의 사려 깊은 겸허에 대해서 오히려 숙연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성야량작은 80매 가량의 원고 중에 3/4은“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의 논지를 주석을 곁들여 논평을 하였고, 나머지 1/4을 할애하여 크게 두 가지 문제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였다. 즉“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에서“倭(왜)”자를 부정하게 된 동기가 된 주구경신(酒勾景信)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 별칭 酒勾雙鉤本주구쌍구본)의 제4면 제9행 제41자인“後(후)”자와 또 하나는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의 복원 중에서“缺字(결자)”로 가정한 점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성야량작(星野良作)이 제기한 두 가지 의문점 이외의 여타 문제를 긍정하고 있다고만 생각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본다. 논자는 먼저 성야량작(星野良作)이 제기한 위 두 가지 의문점에 대해서 답변형식으로“僞作 ‘倭’字考(위작‘왜’자고)”를 재론하였다.
우첨자
성야량작이 주 6)에서 “탁본의 복사본의 입수에 대해서 편의를 보아주면 대단히 고맙겠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탁본이란 아마 중국 중앙연구원과 임창순 소장탁본(즉,‘원석정탁본’)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여겨지는데, 전자는 논자가 본서에 전문을 사진판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후자는 소장자가 독자적으로 편인을 준비중 이라고 한다.
1) “倭(왜)”字(자)의 출현(出現)과 삭제(削除)
성야량작(星野良作)은“이형구(李亨求) 설(說)에서의 의문점”이라는 장에서. 첫째로 酒勾景信(주구경신)의 雙鉤加墨本(쌍구가묵본)의 맨 끝 글자인“後(후)”자의 출현과 삭제 문제에 대해서 다시 몇 가지로 구분하여 의문을 제기하였다. 즉, 성야량작(星野良作)은 여기에서
“이 작업 과정을 (1) “而後以辛卯年不貢因破白殘倭寇新羅(이후이신묘년불공인파백잔왜구신라)”라는 원비문(原碑文)을 쌍구(雙鉤), (2)“後(후)”·“不貢(불공)” ·“倭寇(왜구)”의 僞刻(위각) ·삭제, (3) 재쌍구(再雙鉤)로 상정해도 좋으면, (2)·(3)의 단계에서 “또 하나의 쌍구가묵(雙鉤加墨)한‘倭(왜)’자를 전문(全文)과 같이 다시 조합하면서”라는 문의(文意)가 알기 힘들고, 또 “不貢因(불공인)”·“倭寇(왜구)”의 문제도 별개로 해서 잘못이라고는 하나 “後(후)”자만을 잔류한 구체적 경우에 부자연성을 느끼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에서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가 변조된 시기를 1879년부터 1883년 사이로 추정하였는데, 이는 중총명(中塚明)의“근세일본사학사におけゐ조선문제:とくに‘광개토대왕릉비’をめぐつて“에 보면 일본(日本) 육군참모본부(陸軍參謀本部)가 설치된 1878년 다음해 즉, 1879년부터 십 수 명의 장교를 주재무관(駐在武官)·어학유학생(語學留學生)의 명목으로 청(淸)나라에 파견하여‘스파이’ 활동을 시켰는데, 주구경신(酒勾景信)이라고 하는 군인도 그와 같은 사명을 띠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간첩)이 광개토대왕릉비에 관계했을 것으로 짐작되는 시기는 현지에서 비교적 익숙해지고 첩보활동에 익숙해질 수 있는 1, 2년의 세월이 경과한 후의 1880년경 전후부터가 아닌가 한다. 여기대해 이진희(李進熙)는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가 재발견(再發見)된 시기를 1880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니까 주구경신(酒勾景信)이 문제의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을 일본으로 가지고 간 1883년 이전까지의 2, 3년 동안에 작업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에서 일본(日本)의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 연구자들은 1884년으로 보고 있으나, 이진희(李進熙)는 1883년으로 보고 있다. 논자 역시 이진희의 설을 받아들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략 1879년~1883년경의 어느 시기에 일본(日本) 육군참모본부(陸軍參謀本部)의‘스파이(간첩)’인 주구경신(酒勾景信)에 의하여 광개토대왕릉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의 내용은 참모본부(參謀本部)와 협의를 거쳐 모종의 설계가 작성됐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물론 변조 대상을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로 설정했다고 했을 때 전문을 쌍구가묵(雙鉤加墨)하기 전에 우선 변조할 대상의 원자에 대한 쌍구(雙鉤)를 만들어 놓고 자의적 자획(字劃)을 습각(習刻)하는 것이 당연한 순서일 것이다.
물론 이때의 쌍구는“後(후)”·“不(불)”·“貢(공)”·“因(인)”등으로 단자로 하든가, 아니면“而後(이후)” 그리고“不貢因(불공인)”과 같이 연자(連字)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자획(字劃)이“倭(왜)”와“來渡海(래도해)”자로 변조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을 후에 비로소 원래의 자에 첨획(添劃) ·개각(改刻)하게 된 것이다. 이 같은 과정을 저친 후 전문에 대한 쌍구(雙鉤)를 하게 되는데, 이때야 비로소 현재 동경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 소장 주구경신(酒勾景信)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과 같이 제1면의 경우 제1행에서 제 4행까지의 각 4자 모두 16개의 글자를 한 장의 종이에 쌍구하여 제 1면의 총 매수는 33매가 된다.
논자는 글에서 비문위작(碑文僞作)에 참여한 인물이 주구경신(酒勾景信) 한 명이었을 것이라고 하지 않는다. 당시 비문위조작업(碑文僞造作業)에는 육군 장교 한 사람이 아닌“酒勾景信一黨(주구경신일당. 일본제국주의관학자日本帝國主義官學者)”이라고 주장을 하고 있다. 만일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 중에서“破白殘□□新羅以爲臣民(파백잔□□신라이위신민)”의 □□에 원래“倭寇(왜구)” 두 글자가 새겨져 있었는데, 일본(日本) 육군참모본부(陸軍參謀本部)가 자의적으로 박삭(剝削)할 의도가 있었다고 가정한다면 굳이 이 두 글자는 쌍구가묵(雙鉤加墨)하는 과정을 거칠 것도 없이 박삭(剝削)해 버릴 수도 있다.
그리고 성야량작은 주구경신 쌍구가묵본의 제4면 제9행에 맨 끝 글자인 문제의“後(후)”자가“‘制令守墓(제령수묘)’, “後(후)””와 같이 단독으로 쌍구된 경우는 같은 행의 최상단에 위치한“之(지)”자도“‘之(지)’, ‘人自今以(인자금이)’”로 각각 한 장의 지편에 쌍구되었는데, 그렇다면“之(지)”자 문제가 참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제4면의 글자가 원래 9행 각 41자로 모두 369자인데, 제1행의 상단 4개자가 빠졌으므로 상단은 제2행에서 제5행, 제6행에서 제9행까지의 각 행 43자 모두 한 장에 쌍구(雙鉤)하고, 그 이하부터는 제1행부터 제4행, 제5행부터 제8행까지 각16자로 쌍구(雙鉤)하고, 또한 제9행의 제5자부터 제40자까지는 모두 9장에 쌍구(雙鉤)하였다.
그리고 광개토대왕릉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의 최하단에 해당하는 제41자 선상의 9개 글자는 제 1~4행의 4개 글자, 제5~8행의 4개 글자를 각각 한 장에 쌍구(雙鉤)하였으므로 결국 제4면에서는 최종적으로“之(지)”자만이 단자(單字)로 쌍구(雙鉤)되었다. 특히 제4면이 지편(紙片)으로써 편성될 때 크게 혼동을 일으켜 많은 부분이 서로 교착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성야량작(星野良作)이 우려하는 것처럼 그렇게 문제될 것은 없다.
이와 같은 작업이 단시일 내에 완성되었을 리도 없을 것이고 더구나 적은 인원으로 이루어진 것도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특별히 사전에 쌍구(雙鉤)된 수 개 글자 중에서 혹시 연자(連字)로 쌍구(雙鉤)될 가능성이 많은“不貢因(불공인)”만은 쉽게 소각시키고 실수로 전기“之(지)”자는 잔류시킨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렇다면 혹자는 문제의“後(후)”자를 제4면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나“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에서도 논증한 바와 같이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의 다른 여러“後(후)”자와 대조해 봐도 동일한 자체(字體)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만일 광개토대왕릉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 제4면 중에서 잘못 결락(缺落)시켰다고 본다면, 오직 제1행 오른쪽 위쪽의 6, 7개 글자의 흔적 중에서 찾아야 하는데, 제1자부터 제4자까지는 쌍구(雙鉤)할 때에도 이미 빠졌을 것이므로 나머지 두 세 글자에서 찾아봐야 하겠다. 그러나 수곡제이랑(水谷悌二郞) 원탁(原拓)이나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 원탁(原拓)에서 도저히“後(후)”자에 대체될 만한 흔적을 찾아 낼 수 없다.
한편 성야량작(星野良作)은
“이씨(李氏)의 신설(新說)의 특징은 연구사상 맹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주구쌍구본(酒勾雙鉤本)의“後(후)”자에 착안하여, 그 의미를 목하(目下) 독단장(獨壇場)이라고도 볼 수 있다. 새 방법으로 정탁본(精拓本)을 해석함으로써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의‘신허구설(新虛構說)’을 구축한 데 있다.”라고 하고, 문제의“後(후)”자가 삭제된 시기에 대해서 역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성야량작은 특히“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의 결론 부분에서 기왕에 진술한 제 면의“後(후)”자에 대한 삭제 문제를 종결하면서 “사계의 학자를 총동원하여 해독 작업을 거친 이후 돌연히 삭제되었다”고 한 데 대해서 혹시 정상뢰국(井上賴國)의 “王簏(왕록)” 중의 석문 맨 끝 여백에 더 써진 내용 중에 보이는 1888년 10월 11일 석문(釋文)을 작성하기 위하여 모인 하전강(河田剛)·환산작영(丸山作榮)·횡정충직(橫井忠直)·정상뢰국(井上賴國)·주구경신(酒勾景信)을 지칭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 하고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그 이듬해에 『會餘錄(회여록)』 제5집에“高句麗古碑文(寫眞石版), 고구려고비문(사진석판)” 즉, 주구경신(酒勾景信)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이 발표되고, 관정우(菅政友)는 계속해서 “高麗好太王碑銘考(고려호태왕비명고)”(1891)에서 “又制, 守墓□□□之人, 自今以後, 後不得······制令守墓(우제, 수묘□□□지인, 자금이후, 후불득······제령수묘)”라 정리하였는데, “後(후)”자 위의 □□□는 “守墓(수묘)” 다음에 가고 상단의 “之(지)”자를 “自今以後(자금이후)” 다음에 넣어서 중복되게 하였다. 그리고 나가통세(那珂通世)는 “高句麗古碑考(고구려고비고)”(1893)에서 “後(후)”자는 관정우와 마찬가지로 반복하고 있으나 오직 “□□□之人(지인)” 위의 □□□만은 삭제해 버렸다.
1898년에 이르러서는 삼택미길(三宅米吉)이“高句麗古碑考(고구려고비고)”와 “高麗古碑考追加(고려고비고추가)”를 내놓았는데,“高麗古碑考追加(고려고비고추가)”의 釋文(석문)에서는 三宅米吉(삼택미길) 이전까지 엄연히 존재했던 문제의“後(후)”자가 돌연히 삭제되고 반면“之(지)”자는 맨 끝, 즉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의“後(후)”자의 위치에 옮겨 놓아 원비(原碑)의 위치로 환원되었다.
이와 같은 석문(釋文)이 나오기까지 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고 있다. 그래서 논자(論者)는 주구경신(酒勾景信)·횡정충직(橫井忠直) 등 일본(日本) 육군참모본부(陸軍參謀本部)의 군인 및 군속을 비롯하여 작업에 동원된 하전강(河田剛)·환산작영(丸山作榮)·정상뢰국(井上賴國) 및 그 후의 관정우(菅政友)· 나가통세(那珂通世)·삼택미길(三宅米吉) 등까지를 포함해서“사계의 학자”라고 칭하였다고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주구경신(酒勾景信) 일당(一黨)”이라고까지 표현을 하고 있다. 이는 직접적인 작업(작전)을 전개했던 주구경신(酒勾景信) 일당 이외에도 일본제국주의(日本帝國主義) 시대에“對朝鮮關係(대조선관계)”에 활약한 학자들을 통틀어서 관학의 범주에 넣은 것으로, 만일 이와 같은 뜻을 성야량작이 이해할 때 곧 의문의 실마리가 풀릴 것이라고 말 하고 있다.
2) “倭寇(왜구)”字(자)의 원상설(原傷說)에 대하여
성야량작(星野良作)이“이형구(李亨求)의 설(說)에의 의문점(疑問點)”이란 장에서 두 번째로 의문을 제기한 문제는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의 후반에 해당하는 “······破白殘□□新羅以爲臣民(······파백잔□□신라이위신민)”의 □□ 두 글자를 논자가“倭寇(왜구)”자로 가정한 논지를 비평하여
“이 “倭寇(왜구)”자 복원에 보강하는 구실을 지니고 용의(用意)된 것이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성야량작(星野良作)은 논자가 마치 궁극적으로 이 □□ 두 글자를“倭寇(왜구)”자로 복원하기 위하여 앞에서 전술한“倭(왜)”자의 부정에 전력투구한 것처럼 느끼고 있는 것 같으나 반드시 그러하지만은 않았다고 논자를 밝히고 있다.
“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이전까지는 물론 누구도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 중의“倭(왜)”자를 추호도 의심해 본적이 없었던 것을 논자가 철저히 부정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倭(왜)”자를 고정해놓고 □□ 두 글자만은 지금까지“□擊(격)”²·“任那(임나)”·“加羅(가라)”³·“更討(경토)”⁴·“隨破(수파)”⁵·“聯侵(련침)”⁶·“將侵(장침)”·“欲侵(욕침)”⁷ 등으로 복원해왔는데, 논자가 앞서의“倭(왜)”자를 부정하고 뒤의 □□에 “倭寇(왜구)”자를 보충하는 것은 문제로 남을 것이라고 한 것 같다.
우첨자 보충
2. 菅政友(관정우), “高麗好太王碑銘考(고려호태왕비명고)”
3. 那珂通世(나가통세), “高句麗古碑考(고구려고비고)”
4. 三宅米吉(삼택미길), “高句麗古碑考追加(고구려고비고추가)”
5. 榮禧(영희), “高句麗永樂太王墓碑文(고구려영락태왕묘비문)”
6. 鄭寅普(정인보), “廣開土境平安好太王陵碑文釋略(광개토경평안호태왕릉비문석략)”
朴時亨(박시형), “廣開土王陵碑(광개토왕릉비)”
7. 千寬宇(천관우), “廣開土王陵碑文 再論(광개토왕릉비문 재론)”
그러나“僞作‘倭’字考(위작‘왜’자고)”는 전자의“倭(왜)”자의 서법(書法)에 중점을 두고 재차 □□ 주위 탁흔(拓痕)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함으로써 “某人(모인)”에 의하여 자의적으로 박삭(剝削)됐을 것이라고 가정을 하였는데, 만일 자의적 행위의 소산이라고 한다면 누구든지 이는 결코 범상한 자구(字句)가 아니라는 것을 쉽게 상기하게 될 것이다. 이미“倭(왜)”자의 허구를 밝힌 후인지라 당연히 이 두 글자 □□는“倭(왜)”(倭寇왜구, 당시의 史官사관은 왜를 왜구라 칭하였다. 광개토대왕릉비문 제2면 제10행과 제3면 제4행 참조)과 관련된 부분이었을 것이라는 연상으로 귀납되는 것이 오히려 범상한 이치가 아닐까 한다.
한편 성야량작(星野良作)은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형구가“倭寇(왜구)”자를 보충한 것과 관련해서 상기되는 것은 앞서 말한 말송보화(末松保和)의 주장이다. 말송보화(末松保和)는 최근 비문의 제1면의 우각선상(隅角線上)에 또 1행을 인정해야 한다는 지론을 발전시켜 비문(碑文)의 원상(原傷)을 추정하여 이형구의 설에서“倭寇(왜구)”자에 해당하는 부분도 原傷(원상)의 일부이며 原文(원문)은“破白殘新羅(파백잔신라)”의 5자로 해야 하지 않느냐고 지적하고 있다. (중략) 지금에 와서는 비석의 原傷(원상) 문제는 끝이 안 나는 논쟁으로 흐르는 느낌이 없다고 하지 않을 수 없으나 碑文(비문)의 복원을 기본으로 하는 입장에서는 등한시할 수 없을 것이다.”
위의 인용문에서 성야량작(星野良作)이 말송보화(末松保和)의 설을 빌어 두 글자 □□가 원래 손상된 부분이며, 건비(建碑) 당시부터 근본적으로 글자를 새기지 않았을 것이라는 면으로 유추하려 하는 저의가 숨어 있지 않았는가 여겨진다.
아무튼 성야량작(星野良作)이 상기시킨 말송보화(末松保和)의 두 가지 설을 일단 집고 넘어가야 할 상황이 되었다. 말송보화(末松保和)의 “제1면과 제2면의 모서리에 1행이 또 있었을 것”이라고 하는 설을 우선 살펴보면,
“「高句麗好太王碑縮本(고구려호태왕비축본)」(大正대정 7년 간행)을 살펴보면 제1면 제11행의 좌측(제 1면의 左端좌단) 위에 문자의 흔적이 약 20자가 있다. 그것은 문자의 우부(右部) 3분의 1 정도의 것이지만, 제2면 제 1행의 우측(제 2면의 우단(右端)우단)에도 문자의 좌부(左部) 3분의 1 정도의 흔적이 똑같이 약 20자가 인정되고, 양자는 서로 상응하여 한 자(字)를 이룬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탁자(拓者)가 부주의로 보지 못한, 또한 거기에다가 무의식중에 탁출(拓出)한 제1면과 제2면의 우각선상(隅角線上)의 1행의 존재를 증명한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된다.(굵고 붉은 글씨 부분은 末松保和).”라고 하였다. 말송보화(末松保和)는 이들 두 행의 손상은 건비(建碑) 이전부터 “原傷(원상)”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中國)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의 탁본(拓本)에는 중국(中國) 사회과학원(社會科學院)의 조사와 마찬가지로 또다른 행을 찾아낼 수 없었다.(그림. 1)
그리고 1916년에 나온『朝鮮古墳圖譜(조선고분도보)(1)』 도판 308 호태왕비(好太王碑) 전경(정면 및 우측면), 도판 311 호태왕비(好太王碑) 제1면(정면), 도판 312 호태왕비(好太王碑) 제2면(우측면)을 살펴보아도 말송보화(末松保和)가 인정하고 있는 제1면과 제2면의 모서리에 문자의 행간을 찾아낼 장소가 없다(그림. 2). 이에 대해 논자는 절대 수긍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성야량작(星野良作)이 말송보화(末松保和)가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의 “破白殘□□□羅(파백잔□□□라)” 7자 중 □□□ 3자를 “原傷(원상)”으로 추정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켰는데, 이는 말송보화의 다음과 같은 설을 두고 한 말이 아닌가 짐작된다. 즉,
“그런데 이 결자(缺字) 부분은 내가 말한 원상(原傷)에 연속한다. 즉, 원상(原傷)의 일부분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종래 이 부분을“破白殘□□□羅(파백잔□□□라)” 와 같이 7자라고 생각되었지만 원문은“破白殘新羅(파백잔신라)”의 5자 뿐이었다고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제안이 가능하다.”
라고 하는 말송보화의 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논자가 앞에서 기술한 가정에 대응한 것으로 여겨지나, 논자는 앞에서 살짝 언급한 바 있듯이 이를 “원상”이라고 보는 것은 많은 무리가 있다고 보았다.
〈그림,. 1, 2, 3, 4〉 제2면 모서리, 제1면 모서리, 신묘년기사 파열부분,
제1, 2 모서리 중앙 파열 부분 사진
말송보화(末松保和)의 설에 따르면 건립(建立) 당시의“原傷(원상)”으로 인하여 글자를 새길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오게 되는“□羅”의“羅(라)”앞에 오는 □를 쌍구가묵본(雙鉤加墨本)이나 중국(中國)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의 탁본(拓本)에서 찾아보면 斤(근)형으로 이 자의 오른쪽에“斤(근)”부의 새겨진 획이 역력히 보인다(그림. 3) 그러나 말송보화(末松保和)는 이를 완전히 공백자로 보고 뒤에 오는“羅(라)”자와 연관시켜“新羅(신라)”의“新(신)”자로 추정하고 있다. 물론 여러 설이 신라(新羅)로 정립되어 있지만, 만일 말송보화(末松保和)의 설처 “新(신)”자 앞의 두 글자를‘原傷(원상)’으로 본다면 마땅히“新(신)”자로 추정하고 있는 글자의 위치, 즉 斤(근)자도 1자 뒤로 밀어내 “羅(라)”자의 위치에서 글자가 새겨졌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탁본이나 사진상에 나타나는 斤(근)자의 잔상(殘像)이 斤형으로 대각선상의 오른쪽 위의 반이 이미 깊은 상처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곧 원래 손상이 아닐 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손상으로 보기에도 무리가 있다.
그리고 제1면 제10행·11행 중간 부분에도 제1면 제9행에서와 마찬가지로 빠진 글자가 있는데, 말송보화(末松保和)의 설대로라면 여기에도“原傷(원상)”이어야 할 텐데 석문상(釋文上)으로는 도저히 성립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原傷(원상)”흔적을 1918년에 흑판승미(黑板勝美)가 촬영한 도판으로도 찾아내기 어렵다(그림. 4). 물론 이른바 신묘년기사(辛卯年記事)의 전반부에 보이는“倭(왜)”자가 부정된 후의 일이지만, 이미 말한 바와 같이“倭(왜)”자는 부정돼야만 하기 때문에 논자는 뒤에 오게 될“倭寇(왜구)”자를 인위적인 상흔이 아닌가 가정하고 있다.
[출처]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비판-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22|작성자 byunsdd8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