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김호동교수의 집사 번역본을 읽으며 개인적으로 작성한 “집사”의 개요로, 인터넷 등에서 접근 가능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자료를 참고해서 작성된 것임을 먼저 밝힙니다. l Wikipedia “집사”(Jami al-Tawarikh) 항목 영어 및 일본어 l Baidu百科 史集 항목 (http://baike.baidu.com/view/744669.htm) l 이란 백과서전(Encyclopaedia Iranica) 집사 항목 l 김호동 역주; 라시드 앗 딘의 집사, 권1: 부족지, 권2: 칭기스칸기, 권3: 칸의 후예들, 2002-2005, 사계절 따라서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먼저 밝힙니다. (오류 등을 발견하신 분은 쪽지를 남겨 주세요) 또는 저는 전문적인 연구자(학자)가 아닙니다. 다만 역사(공부)를 좋아하는 직장인입니다.
[서명] 집사(集史)란 책 이름은 자미 앗 타와리크(Jami al-Tawarikh 또는 Jami al-Tavarikh, 아라비아어: ???? ????????) – ‘연대기의 집성’ 또는 ‘여러 가지 역사를 모아 놓은 것’이란 의미로 영어로는 The Compendium of Chronicles 또는 Universal History, 중국에선 史集, 일본에선 集史 (しゅうし)라고 불림 – 라는 아라비아어 제목을 번역한 것으로 역사를 모아놓은 것이란 의미이다.
[개요] 집사는 14세기에 일칸국(Ilkhanate, 존속기간: 1256/1258년 - 1355/1353년)의 제7대 군주인 카잔칸(Muhamud Ghazan Khan 또는 Qazaan the Khan of the tartars, 1271~1304, 재위: 1295-1304, 원사(元史)에서는 합찬(合贊)이라 표기되며, 서구에선 카사누스 Casanus 또는 Cassanus로 불리는 일칸국에서 가장 뛰어남 칸이었음)의 칙령(Yarlig)에 의해 그 때 재상(vizir 또는 vizier)이였던 라시드 앗 딘을 중심으로 편찬된 역사서로 이 책은 이란-이슬람 세계 환언하자면 몽골군주인 카잔칸 자신의 관점을 반영시킨 몽골제국의 발상과 발전을 기록해 놓은 아주 중요한 역사 문헌의 하나이며, 제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때까지에 대한 역사백과전서(歷史百科全書)라 부를 수 있다. 몽골사 부분의 편찬에는 카잔칸 자신도 많은 정보를 구술했지만 몽골사의 근간이 되는 부분은 라시드 앗 딘의 서문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집사는 카잔칸 자신의 견해가 농후하게 반영된 역사서이다. 이런 성격 때문에 집사에는 페르시아어로 편찬된 역사서지만 13, 14세기의 몽골어와 투르크(돌궐)어 외에 많은 다른 언어의 어휘 및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단 책의 제목은 아라비아어를 사용함.
[저자] 라시드 앗 딘(Rashid al-Din 또는 Rashid al-Din Tabib(의사 라시드 앗 딘), Khwaja Rashid al-Din, Rashid al-Din Hamadani으로 불림, 한문으로는 랍희덕정拉希德丁 또는 랍시특拉施特, ca. 1247~1318)은 1247년 하마단(Hamadan 또는 Hamedan) - 현재 이란 중서부에 위치한 하마단주의 주도- 의 유태인 약제사 집안에서 태어났고, 의술을 배운 후 일칸국의 아바카 칸(Abaqa khan, 1234~1282, 재위: 1265-1282, 훌라구의 아들- 의 궁전에 들어가 시의(侍醫)가 되었으며, 약 30세경에 이슬람교로 개종했고 1304년 카잔칸의 재상이 되어 카잔칸의 강력하게 추진한 일칸조의 개혁정책을 보좌했고, 올제이투(Oljaitu 또는 Oljeitu, 한문으로 完者都 또는 完者拔都, 1280-1316, 재위: 1304~1316, 무함마드 호다반데(Muhammad Khodabandeh)라고도 불림 – 치세에서도 계속 재무 전반과 국정의 대부분을 장악했고 1316년까지 그 지위를 맡았으나, 올제이투 사후 아부 사이드(Abu Said, 不賽因, 1304-1335, 재위: 1316-1335)칸 즉위 직후 정적인 알리 샤(Ali Shah)와 정쟁이 이어져 결국 올제이투칸을 죽게 했다는 모함을 받아 1318년 장남과 함께 처형되었고 가산(家産)은 몰수되었다. 라시드 앗 딘은 현재 “세계정복자사”를 쓴 주바이니와 “와사프사”를 쓴 와사프와 함께 이란의 3대 역사가로 꼽히고 있다.
[성서(成書)] 카잔칸은 즉위 이후 칭기스칸의 후예 훌라구(Hulagu Khan, 1217~1265, 재위: 1256~1265, 일칸국의 1대 칸으로 칭키스칸의 손자이며 톨루이의 아들 - , 더 나아가서는 훌레그가(家)의 주인으로 스스로 일칸국 영역내의 몽골계 제 세력을 중앙집권적으로 지배하는 강력한 국가를 추진했는데, 카잔칸은 이런 정책의 핵심의 하나로 칭기스칸가와 몽골국가의 역사편찬을 기획하여 할아버지인 아바카칸 때부터 시의(侍醫)를 했고 그때 재상이었던 라시드 앗 딘에게 그 역사편찬의 편집장관직을 맡겼다. 편집작업에는 카잔칸 자신의 구술 외에 현재는 사본이 전해지고 있지 않는 금책(金冊, Altan Daftar 또는 Altan Debter, Altan-depter(Barthold 한역본)) – 김호동교수는 부족지 해석 29페이지에서 이 문건이 ‘칸들의 재고(在庫) 안에 항상 대아미르들에 의해 보존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왕실의 비기(秘記)였음이 분명하고, 또한 ‘군주의 보고(寶庫)에 보존’되어 있는 문건들 가운데 ‘시대 시대마다 몽골의 문자와 언어로 된 그들의 신빙성 있는 사서들은 정비되고 정리되지 않는 채 불완전한 편편(篇篇)’이 있고, ‘이방인과 전문가들은 열람할 수 없도록 은폐되고 차단되어, 어느 누구에게도 열람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는 라시드 앗 딘의 기록으로 보아 이 금책은 ‘몽골의 문자와 언어’로 되어 있었고, 수미일관한 하나의 책자가 아니라 여러 단편들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고 해석 했다. - 이라 불리는 몽골 왕가 비장의 역사기록들에 대한 열람을 바탕으로, 일칸국 영내를 중심으로 몽골 제부족 집단이 갖고 있던 전승(傳承), 구사(舊辭), 금언(金言), 계보(系譜) 등에다 볼라드 칭상(Bolad Chingsang 또는 Pulad Chinksank, Bolad Ch’eng-hsiang/이란백과사전, 한문으론 孛羅 또는 福羅 丞相) – 그는 Bolad Aqa라고도 불렸으며, 두르벤 종족 출신으로 쿠빌라이에 의해 일칸국으로 파견된 인물이고, Chingsang은 중국어 승상(丞相)을 옮긴말- 과 중국의 한족 학자인 리타시(Li-ta-chi)와 마크선(Maksun 또는 Yaksun) - W. Barthold책의 중역본에 의한 발음, 한문으론 李达时, 倪克孙으로 음역되기도 하며 이들이 누군지 실체는 미상 - 을 비롯한 중국, 인도, 프랑크 등의 다양한 지역의 학자, 지식인을 동원하여 편찬을 진행하였다. 1304년 카잔칸이 죽은 후에도 계속 편찬작업을 진행하여 1307년 몽골 제국사 부분을 완성하여 “카잔의 축복된 역사 (또는 카잔사)”(Tarikh-i Mubarak-i Ghazani 또는 Tarikh-i Ghazani. 영어론 Ghazanian History)라는 이름으로 간행했고, 카잔칸의 아우이며 후계자인 올제이투칸에게 헌정되었고, 카잔칸의 정책을 이어받은 올제이투칸은 몽골제국에 관한 세계 각지의 역사를 총망라하게 이들 종족의 역사도 추가 편찬하도록 명령하여 1314년 집사라고 이름 붙은 책이 완성되었다.
[참고문헌] 집사 등 라시드 앗 딘이 책을 쓰기 위해 참조를 한 문헌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l 유럽에 대해서는 오파바의 마틴(Martin of Opava 또는 Martin of Poland) - 김호동교수는 트로포 출신의 마르틴(Maritn of Troppau 일명 Martinus Polonus)이라 한역본 1권 부족지 해설 33페이지 적음 – 13세기의 중요한 도미니크수도회(Dominian Order. 라틴어로는 ‘설교자수도회’의 뜻의 Ordo fratrum Praedicatorum, 약어로 O.P.)의 연대기 작가 – 이 쓴 “교황과 황제의 연대기”(The Chronicle of the Popes and the Emperors, 라틴어로는 Chronicon pontificum et imperatorum)
l 몽골에 대해서는 금책, 몽골비사 l 중국에 대해서는 부분은 볼라드칭상 등에 의해 반입된 13세기 후반에 편찬된 『왕숙화맥결(王叔和脈訣)』- 맥결(脈訣)이라고도 불림. (晋)王叔和(210-285)撰?(明)張世賢(静斎)註釈. - 와 『銅人』 등의 중국 의학서를 바탕으로 단스크 나마(Tangsug-nama, 珍寶의 書란 뜻) – 김호동교수 부족지 해설 23페이지의 (10) 보감(寶鑑) – 란 책으로 모았고, 쿠빌라이시대에 편찬된 『(농상집요)農桑輯要』 - 중국 원나라의 繆啓愉가 쓴 관찬(官撰)의 농서(農書) – 를 바탕으로 농서도 지음
[구성] 아래와 같은 총 3부 (또는 3권)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 제1부(Mujallad-i Awwal) (일명 “카잔사”)는 몽골사 l 제2부(Mujallad-i Duwum)는 전사(全史) 또는 세계사(世界史) l 제3부 지리지(地理志)인데 현재 사본이 전해지지 않는다. 이 중 현존하는 부분은 제1부 전체와 제2부의 2권뿐이다.
제1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사는 2단계에 걸쳐 편집된 것으로 1차 편집에서 완성된 것이 바로 제1부로 몽골사 부분이다. 이하에서 부, 권(bab), 절(qism), 편(fasl)은 약간 편의상의 분류임. l 서문(Muqaddima-yi Mujallad-i Awwal)은 몽골사, ‘카잔의 축복된 역사’가 편집된 이유를 기술 l 제1권(Bab-i Awwal)은 ‘투르크 몽골부족지(部族志)’로 몽골제국에 정복되거나 귀순하여 몽골제국을 구성하는 투르크계와 몽골계의 제부족의 내력과 그 부족의 수장(Amir, Noyan???)들에 대해 기술한 부족지(部族誌)로 칭기스칸가에 속하는 키야트(Qiyat)씨족 등 몽골부족연합을 중심으로 조상전승과 계보에 바탕을 두고 4종류로 분류되어 있다. n 제1편(Fasl-i Awwal)은 오구즈족 (투르크멘이라 불리는 투르크계 제 부족) n 제2편(Fasl-i Duwum)은 몽골어를 쓰는 투르크계에 속하는 제 부족 n 제3편(Fasl-i Suwum)은 서로 다른 지배자, 지도자를 갖는 비몽골계 제 부족 n 제4편(Fasl-i Chaharum)은 몽골 제 부족 u 제1절(qism-i awwal)은 도루루킨 제 분족(콩기라트, 코르라스, 이키레스, 이루지긴, 우량키트 등) u 제2절(qism-i duwum)은 니루운 제 분족(알란 코아의 자손, 칭기스칸과 족보관계에 있는 몽골계 제 씨족) l 제2권(Bab-i Duwwum)은 칭기스칸가의 역사로 칭기스칸의 선조와 그 자손에 대하여 각 본기(本紀)가 기술되어있다. 또 본기에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3절로 나누어져 있다. n 각 제왕본기(Dastan) u 제1절(qism-i awwal)은 각 제왕의 처와 비, 자식들과 그 계보 및 조상에 대한 설명 u 제2절(qism-i duwum)은 본문 u 제3절(qism-i sawum)은 각 제왕의 인물과 일화 또는 금언에 대해여 n 본기의 각각 제2절과 제3절에는 각각 단(hikayat)로 나누어져 있고, 각 제왕의 치세 중에 일어난 일에 대해 말하고 있다. 또 주요한 각 단에는 트란스옥시아나(Transoxiana) - 라틴어로 옥서스(Oxas)강 너머란 뜻, 아라비아어로는 마와라운 나하르Ma Wara’un-Nahr - 는 시르다리야(Syr Darya)와 아무다리야(Amu Darya)사이의 위치한 지역으로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대부분, 타지키스탄 대부분, 카자흐스탄 남서부를 포함하는 지역. 여기서 다리야(Darya)는 ‘바다’ 또는 ‘큰 강’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를 투르크어로 읽은 것이며, 시르다리야(또는 시르江)는 그리스어문헌에는 Yaxartes 또는 Jaxartes, 페르시아어문헌에는 rud-i Khushrat라고도 불리고, 아라비아어로는 사이훈Sayhun이라고 불림. 아무다리야(또는 아무江)은 그리스어문헌에는 옥서스(Oxas), 아라비아어로는 자이훈Jayhun이라 불림 -, 이란지역, 미슬(Misr) – 아랍인 무슬림이 각 지역에 정복활동을 했을 때 건설한 군영도시를 말하는 것으로 아라크의 바스라와 쿠파(Kufa), 이집트의 카이로가 유명 - 등 동시대의 각지의 지배자들의 동향에 대한 정보도 별도로 나눠져 실려있다. n 제1편(Fasl-i Awwal)는 칭기스칸의 조상들에 대한 내용으로, 도분 바얀기, 알란 코아기, 보톤차르칸기, 토돈 메넨기(몽골비사의 메넨 토돈), 카이도우 칸기, 코비나 칸기(몽골비사의 톤비나이 세첸), 카불 칸기, 발단 바하토루기, 예스게이 바하토루기로 구성되어 있고 n 제2편(Fasl-i Duwum)은 칭기스칸과 그 계승자들에 대한 내용으로, 칭기스칸기, 오고데이 카한기, 구육칸기, 몽게 카한기, 쿠빌라이 카한기, 테무르 카한기, 훌게그칸기, 아바카칸기, 데쿠델 아후마도기, 루구칸기, 게이하투기, 카잔칸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 제2부는 세계사에 대한 부분으로 2차로 편집된 것이다. l 제1권은 올제이투칸기로 –김호동교수의 부족지 해설 25페이지에 의하면 토간(A.Z.V. Togan)교수가 이란의 마쉬하드(Mashhad)에서 한 사본을 보았다고는 했으나 지금은 그 사본의 소재를 알 수 없는 상태라 한다. - 현존하지 않는다. l 제2권은 아담으로부터 예언자 무함마드를 거쳐 집사가 편찬된 회교력 704년(1304년-1305년)까지에 이르는 예언자들의 역사. 여기서 사산조(Sassanid, 226년~651년)까지의 아란의 제 왕조와 예언자 무함마드(Muhammad c.570~632년), 정통 칼리프(al-Khulafa al-Rashidun)를 시작으로 우마이야왕조(Umayyad, 661-750년), 압바스왕조(Abbasid Caliphate, 세속왕조로는 750-1258년, 칼리프로는 750년-1517년)의 칼리프들, 가즈나조(Ghaznavids, 955/977-1187년), 셀주크조(Great Seljug, 대셀주크조는 1038-1157년, 최후의 지방정권인 룸 셀주크조Sultanate of Rum은 1308년까지), 호라즘 샤조(Khwarezm Shahs, 1077-1231), 사르굴조, 이스마일파(ismailism)의 니자리파(Nizari)에 대해 다루고 있다. l 제3권은 제종족사로 오구즈칸 이하의 투르크민족의 전승으로 시작하는 오구즈사, 중국사에 상당하는 히타이사, 고대 이스라엘사, 역대로마교왕과 프랑크왕국(Carolingian Empire), 신성로마제국의 군주들에 대해 기술한 프랑크사, 부처(釋迦)전을 포함하는 힌두스탄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3부 지리지인데 현존하지 않는다.
[중국 역사서들과의 기술의 차이점] 이슬람세계에서 기록된 집사와 중국에서 기록된 몽골의 역사에 대한 기록에서 일부는 약간 다르게 기록된 부분이 있다. 예를 들면 소위 13익의 전투부분에서 칭기스칸의 부대가 승리했는가 패배했는가가 집사와 중국의 사서류와는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집사와 중국의 사서류, 즉 몽골비사(蒙古秘史), 원사(元史), 성무친정록(聖武親征錄) 등과 기술이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시간이 나면 상세히 정리해볼 예정이다. (현재론 희망사항일뿐)
[후세에 미친 영향] 집사가 완성된 후에는 몽골제국의 각지에 있는 제왕가에게 전달된 기록도 있고, 아라비아어판도 동시에 만들어져 맘룩크조(Mamluk, 1250-1517년)에서도 읽혔다. 즉 대중들이 읽는 몽골제국의 역사서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라시드 앗 딘은 올제이투 치세 중 “라시드 저작 전집’(Jami' al-Tasanif al-Rashidi, The Collected Works of Rashid, ) – 김호동교수의 해설에선 “라시드 집성(集成)( Majmu’a-i Rashidiyya)라고 함. Paul Lunde와 Rosalind Mazzawi는 A History of the World, 1981 Jan/Feb, Saudi Aramco World, pp.2-7에서 Jami' al-Tasanif al-Rashidi 라 기록함 – 이 편찬되었고 1309년 라시드구(區)를 만들어 스스로 매년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 사본을 한 부씩 완성했다는 기록이 있고, 이 전집 속에는 집사와 집사의 아라비아어판도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할릴리 컬렉션(Khalili collection) – S.S. Blair, A Compendium of Chronicles. Rashid ad-Din’s Illustrated History of the World, 1995, Oxford University press로 출간 됨- 과 영국 에딘버러(Edinburgh)대학도서관에 1314년 필사된 사본의 일부가 전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후대인 티무르朝(Timurid) 시대에도 샤 루크(Shah Rukh 또는 Shahrukh Mirza, 1377-1447, 재위: 1409-1447) – 티무르조의 제3대 군주- 에 의한 수사(修史)작업에서도 사본이 재편집되었고, 또 오스만朝(Ottoman Turks 또는 Turkish Empire, 1299-1922년)와 샤파비朝(Safavid, 1501-1736년), 무갈朝(Mughal, 1526-1857년)에서도 각종 사본이 만들어지고 읽혀졌다.
근대의 역사학에서도 1700년대 초기부터 동양학의 기본문헌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고, 19세기부터 역주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존하는 사본들이 각지에 분산되어 보존되어 있고 각각의 사본의 성립 년대와 성격 그리고 집사 그 자체의 성격상 투르크어, 몽골어상의 용어 등의 문제를 포함하여 14세기 이후 중앙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매우 큰 역사서이다.
또 당시 몽골제국에 대한 서양(유럽)인의 여행기로 마르코 폴로 이외에도 루브룩과 카르피니 등의 저작도 당시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최근에 김호동교수가 번역 출간하였다.
크리스토퍼 도손(Christopher Dawson)의 영역본 The Mongol Mission – Narratives and Letters of the Franciscan Missionaries in Mongolia and China in the 12th and 14th centuries (1955년)에 루브루룩 및 카르피니의 여행기가 실려 있다.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다운로드 가능)
[사본]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집사의 사본들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사본의 종류와 분류에 대한 설명은 일본의 우노 노부히로(宇野伸浩)교수의 2006년 논문에 의거함) l 우즈베키스탄 1620: 우즈베키스탄 과학아카데미 동양학연구소(Abu Rayhon Beruni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Tashkent)소장 MS. 1620 – 나스프체(또는 나스히체, Naskhi script) - 10세기경 개발된 페르시아 필기체 문자로,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활동한 이븐 무클라(d. 940)와 이븐 알 바우와브에 의해 개발됨-, 필사년도는 미상 (김호동교수 한역본에서의 B사본) l 톱카프 1518: 톱카프궁 박물관 부속 도서관(Topkapı Sarayı Müzesi, Kütüphanesi) 소장, MS. Revan Kosku 1518 – 나스프체, 라시드 앗 딘이 살았을 때인 1317년 11월상순(히즈라력 717년 샤아반월이 끝날때) 바그다드에서 필사됨. 집사 서문에서 올제이투칸기 모두(冒頭)까지. (김호동교수 한역본에서의 A사본, 즉 Topkapi 1518) l 오스트리아 국립 326: 오스트리아 국립도서관(Osterreichsche Nationalbiblothek, Wien) 소장, MS. Codex vindobonensis palatines mxt 326 – 나스프체, 필사년대는 14세기설과 15-16세기 설이 있음 l 대영 16688: 대영도서관(British Library), MS. Or. Add. 16688 – 나스프체, 14세기경 l 이슬람회의 2294: 이란 이슬람회의도서관(Kitabkhana-yi Majlis-I Shura-yi Islami) 소장, MS.2294 – 나스프체, 14세기 필사. 칭기스칸기 중간까지만. (김호동교수 한역본에서의 T사본) l 프랑스국립 1113: 프랑스 국립도서관(Bibliotheque National), MS. Supplement person 1113 – 나스프체, 1416~1417년(히즈라력 819년)경 필사. (김호동교수 한역본에서의 P사본) l 프랑스국립 209: 프랑스 국립도서관(Bibliotheque National), MS. Supplement person 209 – 나스타리크체(Nasta’liq script) – 티무르왕조시대 유명한 서예가인 미르 알리 Mir Ali가 만든 서체로 페르시아 서체중 가장 격조가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 히즈라력 837년 라자프월(1434년2~3월) 필사됨 l 러시아 국립 46: 러시아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Russia, St.-Petersburg), MS. PNS46 (구 살티코프 슈제드린 공공도서관사본번호 2458) – 나스프체, 1407년 6월(히즈라력 810년 무핫람월 중순경) 필사 l 대영 7628: 대영도서관(British Library), MS. Or. Add. 7628 – 나스타리크체, 15세기전반(1433년 이전)에 필사. (김호동교수 한역본에서의 L2사본) l 톱카프 282: Majmu’a-yi Hafiz-i Abru(하피즈 아브루 全書), Topkapi Sarayi Muzesi, Kutuphanesi), ms. Bagdad kosku 282 – 하피즈 아브루전서의 일부로 초판 집사를 수록한 것. 나스타리크체, 15세기 전반에 완성
이러한 사본들이 (1) 세계 각지의 도서관에 흩어져 있고, (2) 사본마다 남아있는 부분이 달라, 이용할 수 있는 사본의 부분이 다르고, (3) 다양한 형태의 증보, 탈락 및 삭제가 혼재되어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완벽한 형태의 교정본(校訂本)이 출간되거나 연구자들이 사본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2010년 8월 4일 본 서울대학교 중앙유라시아연구소 홈페이지의 정보에 의하면) 중앙유라시아 문명 아카이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은 6종의 집사의 사본 들 - 일반인에게는 까막눈이겠지만 - 을 볼 수 있다. (서울대학교 중앙유라시아연구소 홈페이지 http://cces.snu.ac.kr/ --> 중앙유라시아 문명아카이브 --> 제목 목록 --> 집사) 테헤란 의회도서관 Majlis 2294, 가잔사 (집사 제1부), 1304년 경, (김호동 한역본 중 T사본) 우즈베키스탄 Al Biruni 동양학연구소, No.1620, 가잔사(집사 제2부), 1307-1317 필사 (김호동 한역본 중 B사본) 영국 대영박물관 Add.16688, 가잔사 (집사 제1부), 14세기 필사본 터키 이스탄블 톱카프 궁전 박물관 Hazine 1653, 1417년경 필사 터키 이스탄블 톱카프 궁전 박물관, Revan Kosku 1518, 가잔사(집사 제1부), 1317년 필사 (김호동 한역본 중 A사본)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 Supplement Persan 1113, 가잔사 (집사 제1부), 1416-7 필사, (김호동 한역본 중 P사본)
[사본의 계통]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집사는 다음과 같은 증보가필과정을 거치면서 완성되어 갔고, 많은 사본이 생기게 되었다. 즉 사본계통을 생각할 때 주목해야 될 점은 (1) 란외에 가필된 증보기사, (2) 사본에 의해 삽입위치가 다른 증보기사, (3) 복수의 사본에 남아있는 증보기사, 의 3가지이다. 집사의 증보과정을 추측해보면 먼저 증보기사를 초고(草稿) 또는 사본의 란외에 가필하고, 이 가필부분이 다음의 필사시 본문에 삽입되며,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기사가 증보되고, 증보판 집사가 만들어 진다. 여기서 초판 집사란 1307년 올제이투칸에게 헌정된 최초의 3권 – 이란 백과사전에서는 전체를 2권으로 봄- 본 집사를 의미하고, 증보판 집사란 1309년 8월까지 완성된 것으로 생각되는 “라시드 저작전집”에 수록된 4권본의 집사를 말한다. 초판 집사와 증보판 집사는 권수가 늘어난 것 – 권2 중 세계사 결론부를 권3으로 만들고, 원래 권3을 권4로 함- 뿐만 아니라 권1의 몽골사 부분의 내용도 부족(部族)편과 칭기스칸의 선조부분을 중심으로 수정증보가 되었다.
초판 집사 l 사본군 A: 이슬람회의 2294 l 사본군 B: 프랑스 국립 1113 및 프랑스 국립 209 l 사본군 C (집사의 권1 몽골사와 권2의 세계사부터): 러시아 국립 46, 대영7628, 톱카프 282 증보판 집사 l 사본군 D: 우즈베키스탄 1620, 톱카프 1518 – 톱카프 1518사본에는 우즈베키스탄 1620에 비해 필사 오류가 많다. 두 사본 중 우즈베키스탄 1620사본이 원본에 더 가까운 사본일 가능성이 크다. l 사본군 E: 오스트리아 국립 326, 대영 16688
[일칸국의 역사서들] 이 “집사”가 편찬된 시기의 전후에 만들어진 일칸국의 역사책들로 몽골사와 관련이 있는 것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주의: 아랍어의 발음상의 차이로 인해 같은 사람 또는 책이 다른 한글로 표현될 수도 있음) l 주바이니(Ata al-Mulk Juvayni, 1226-1283)의 “세계정복자사”(Tarikh-i Jahangushay-i Juvaini) 1260년 성립, 전3권. 칭기스칸부터 1258년의 바그다드 함락까지의 칭기스칸 가문의 역사를 기록한 것으로 페르시아어 사료 중 몽골사를 다룬 책 중 가장 오래된 것. 보일(Boyle)교수의 영역본이 있음. l 라시드 앗 딘의 집사, 1307~1316년 순차적으로 완성 l 와사프(Wassaf, Wassaf-i-Hadrat, c.1264- c.1334, 본명은 Sharaf al-Dīn 'Abd Allāh ibn Faḍl Allāh Shīrāzī)의 “와사프사”(Tarikh-i Wassaf, 원명은 “영토의 분할과 년월의 추이”Tajziyat al-amṣār wa-tazjiyat al-a'ṣār) – 영어로는 The allocation of cities and the propulsion of epochs- , 1327 또는 1328년 완성, 전6권 l 카시니(al-Kashani, Abu’l-Qasim ‘Abdallah Kashani, 또는 Abu’l-Qasem Qasani)의 “올제이투史”(Tarikh-i Uljaytu) – 올제이투칸의 일대기. 카시니는 라시드 앗 딘이 자신의 저작물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음. l 카시니(al-Kashani)의 “역사정요”(歷史精要)(Zubdat al-tawarikh) l 아바리(Abu Bakr al-Qutbi al Ahri)의 샤이후 우웨이스史(Tarikh-i Shaikh Uvais) – 잘라이르왕조(Jalayirids) – 1335~1432년간 바그다드를 수도로 이라크와 서부 이란을 지배한 왕조- 의 두 번째 쑬탄인 우웨이스1세 (Shaikh Uvais또는 Uways, Oways)에게 헌정된 태고로부터 일칸국, 잘라이르왕조까지의 이란의 통사로, 일칸국의 기술은 매우 간단하지만 아브 사이드칸 시대의 내용만은 상세히 기록됨 l 함드 알라 무스타우피(Hamd-Allah Mustawfi)의 선사(選史, Ta’rikh-i Guzida) 1334~1335(헤즈라력 735년) 성립– 태고부터 아브 사이드칸시대까지의 이란 통사 l 샤반카라이의 계보총람(Manjamu al-Ansab) l 하피지 아브르(Hafiz-i Abru, ?-1430)의 고귀계보(高貴系譜, Mu’izz al-‘ansab) – 티무르조(Timurids, 1370-1526년) 시대에 편찬된 칭기스칸가문의 계보집으로 칭키즈칸의 선조로부터 티무르조 시대까지를 다룸
[번역] 집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번역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l John Andrew Boyle (tr.), The Successors of Qenghis Khan. 2 vols, New York & Lond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Translation of Part Two, Chapter Two, Sections Three through Ten.) l Wheeler M. Thackston (tr. and Annotated), Rashiduddin Fazlullah, Jami'u't-Tawarikh, Compendium of Chronicles. A History of the Mongols. Part One (XLIV, 240 pages, 1998); Part Two (pp. 241-514, 1999); Part Three (pp. 515-819, 1999). l JAMI'U'T-TAWARIKH. Compendium of Chronicles A History of the Mongols Translated and Annotated by W. M. Thackston. Part Three [= pp.515-767] (Sources of Oriental Languages and Literatures 45) ed. Şinasi Tekin and Gönül Alpay Tekin Published at Harvard University 1999. l 러시아어역: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연대기들의 집합”이란 의미) n Джами am-maeapux. Volume 1, part 1. Edited by A. A. Romaskevich, L. A. Khetagurov, and A. A. Ali-zade. Moscow: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Главная Редакция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ь?, 1965. (Edition of the Persian text: Part One.) n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Volume 1, part 1. Translated by L. A. Khetagurov. Edited by A. A. Semenov. Moscow &. Leningrad: Издательст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CCCP, 1952. (Russian translation of Part One.) n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Volume 1, part 2. Translated by O. I. Smirnova. Annotation by В. I. Pankratov and O. I. Smirnova. Edited by A. A. Semenov. Moscow and Leningrad: Издательст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CCCP, 1952. (Russian translation of Part Two through Chapter Two, Section Three.) n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Volume 3. Translated by A. K. Arends. Edited by A. A. Romaskevich, Ye. E. Bertel's, and A. Yu. Yakubovskiy. Moscow and Leningrad: Издатель-CTBo Академии Наук CCCP, 1946. (Russian translation of Part Two, Chapter Two, Sections Twelve— Seventeen.) l Sheila Blair; A COMPENDIUM OF CHRONICLES: Rashīd al-Dīn's Illustrated History of the World (The Nasser D. Khalili Collection of Islamic Art, VOL XXVII).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5. 126pp. l 김호동 역주; 라시드 앗 딘의 집사, 권1: 부족지, 권2: 칭기스칸기, 권3: 칸의 후예들, 2002~2005, 사계절 l 플라노 드 카르피니 , 윌리엄 루브룩 (지음), 김호동 (옮김); 몽골 제국 기행: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 2015, 까치, ISBN 13-9788972915980 (464쪽) l 오도릭, 정수일 옮김, 오도릭의 동방기행, 2012, 문학동네, ISBN: 9788954617987 (332쪽) l 拉施特 主編, 余大钧、周建奇 譯, 史集, 卷1-1, 1-2, 2, 3, 1986年, 《汉译世界学术名著丛书》, 商务印书馆 (저는 2권만 갖고 있음) l 청나라 말기(清末)에 홍균(洪钧)이 I.N.Berezin(貝勒津)의 러시아어문을 바탕으로 칭기스칸선조와 칭기스칸기까지를 한문으로 요약 번역한 것을 《원사역문증보(元史譯文證补)》에 실었다. l 김호동; 라시드 앗 딘의 집사 해제, 중앙유라시아연구소 2009년도 문명아카이브 해제 프로젝트 (http://cces.snu.ac.kr/ ) l Min Yong Cho, How Land Came Into The Picture: Rendering History in the Fourteenth-Century JAMI AL-TAWARIKH, PhD. Dissertation, 2008, University of Michigan (http://deepblue.lib.umich.edu/bitstream/2027.42/61559/1/mycho_1.pdf ): <집사>의 그림을 포함한 14세기 이슬람미술의 풍경에 대한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