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시사평론 - 정론직필을 찾아서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북한사회의 실상 북한 장마당서 韓화장품 최고 인기…중국産 안팔려 - 평양공항 세관에서 놀란 이야기 - 북한에서 미국산 담배 말보로 흡연 허용
정론직필 추천 18 조회 2,069 14.08.16 19:56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4.08.16 20:03

    첫댓글 살결이 부드러워지고 윤택해진다
    살결도 맑아지고 좋다
    ---------

    화장품에 대해서....전혀 아는 바가 없어서
    위 표현들이 남한 화장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표현들인지
    궁금합니다.

    화장품을 사용하면
    피부나 살결이 맑아지다니요?

    남한 화장품들도 그런 기능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14.08.17 00:54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090603170704498

    이씨가 말하는 세 번째 오해와 편견은 '비싼 화장품은 비싼 원료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씨에 따르면 화장품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원료값은 판매가의 6%에 지나지 않는다. 나머지는 마케팅, 광고, 유통마진 등이 차지한다. 3만 원짜리와 30만 원짜리 화장품은 10배의 원료 차이가 나는 게 아니라 10배의 마케팅 비용 차이가 나는 셈이다.

  • 14.08.17 00:55

    @태공망 '미백·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은 드라마틱한 효과를 낸다'는 것도 소비자가 쉽게 빠질 수 있는 오해와 편견 중 하나다. 실제 소비자들은 드라마틱한 효과를 기대하고 그에 따르는 높은 비용을 선뜻 지불한다. 그러나 이씨는 "화장품과 의약품을 구분해야 한다"며 "굳이 미백이나 주름 개선 기능성이라고 해서 값비싼 돈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 14.08.17 00:57

    @태공망 국내 업계의 반응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090709073112335

    개별 화장품 업체들은 자체 연구소를 통해 화장품 성분에 대한 재검토 작업에 들어가는 등 대책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업체들은 이 책 저자의 강연회에 직원들을 파견시켜 녹취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14.08.17 01:32

    @태공망 국내산 화장품속 일본산원료의 안정성 논란
    아모레-LG생건 ‘방사능 화장품 괴담’에 ‘죽을 맛’
    http://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197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로
    화장품에도 한우와 육우가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아버렸네요.^

  • 14.08.17 01:19

    KBS 스페셜 “달콤한 향기의 위험한 비밀”편에 나왔던
    http://www.kbs.co.kr/1tv/sisa/kbsspecial/view/old_vod/2025862_61811.html
    국내 모범업체의 브랜드 설명입니다.
    http://www.eco.pe.kr/np/intro3/
    북한의 화장품은 과연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궁금하네요.

  • 14.08.16 20:41

    미국산 말보로를 피워도 아무 제재가 없다니 정말 놀랄노자네요.
    저 학교다닐 때 외국산 담배 피우면 개자슥이라고 손가락질 하며 국산 피우라고 꿀밤 한대 맞았던 기억이 있는데...

  • 작성자 14.08.16 21:19

    그러게요...
    반공교육 내용에 의하면.....
    북한에서 철천지 원쑤라는 미국제 담배 말보로를 피우다가
    걸리면....아마도 아오지탄광으로 쫒겨날 것 같은데 말입니다.

    하긴, 과거 한국에서는 양담배, 양주가 아예
    소지 및 소비, 수입도 금지되어 있었지요.

    그런데도 당시 청와대 박씨는 낮에는 마치 농부처럼 밀집모자를 쓰고
    농민들과 막걸리를 마시며 농부 코스프레를 했었지요.
    그러곤 밤에는 궁정동 안가에서 새파랗게 젊은 아가씨들 불러다
    씨바스리갈이라는 양주를 마셨지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14.08.16 21:58

    ㅎㅎㅎ
    가만 생각해보니....그것도 그러네요.
    ㅎㅎ
    웃기네요.


    참고로.....

    유럽에서 백화점이란.....한국에서처럼 그렇게 고가의 물건들만
    주로 파는 곳이 결코 아니라...그냥 일반 서민들이 주로 쇼핑하는 곳입니다.
    물건 가격도 당연히 아주 고가품들만 있는 것은 아니고
    대개는 저렴한 편입니다.

    그래서 한국으로 비교하자면....아마 한국의 대형마트 같은 것이 바로
    유럽의 백화점이라고 보면 되겠지요.

  • 14.08.17 10:22

    내가 알기로는 한국화장품에는 거의가 한자를 쓰지 않는걸로 알고 있는데 영어이름이 좀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제품에 한자 표기가 많은것은 중국산이겠지요
    북한화장품들은 성능과 기능이 다른 나라 제품과 비교하면 떨어질수도 있고 비슷할수도 있지만 안전성면에서는
    결코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겁니다 국가가 안정성을 인정한 원료 자재를 써야하고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제품은
    출시될수 없지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