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숙(私淑)
私 : 사사로울 사
淑 : 사모할 숙
직접 가르침을 받지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의 학문이나 인품을 본받아 배우며 인격을 수양해 나간다.
사(私)는 '절(竊)' 즉 '남 몰래 마음속으로'라는 뜻이고, 숙(淑)은 '선(善)'을 말한다. 사(私)는 '자기 또는 개인'이라는 뜻이고, 숙(淑)은 '맑다', '사모하다'의 뜻이다.
그러므로 옛날 사람 또는 먼 곳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 德을 사모한다는 말로, 직접 가르침을 받을 수는 없으나 그 사람을 스승으로 삼아 자기의 학문이나 인격을 수양한다는 의미이다.
사(私)자가 원래는 '벼의 일종'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니 '벼 화(禾)'가 의미요소이고, 사사 사(厶)는 발음요소였다. 그런데 그 본뜻보다는 발음요소인 의 의미 즉 '사사롭다'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 매우 특이한 예(例)다.
숙(淑)자는 물이 '맑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물 수(水)'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叔(아재비 숙)은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착하다', '사모하다'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국어사전에 사숙(私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사숙(私淑)이란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 받아서 도(道)나 학문을 배우거나 따름'이라고 나와 있다.
맹자(孟子) 이루편(離婁篇)에, 맹자가 말하였다. "군자의 은택도 다섯 세대로 끊어지고, 소인의 은택도 다섯 세대로 끊어진다. 나는 공자의 무리가 되지 못하였지만, 나는 다른 분에게서 그 분을 사숙하였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孟子曰 : 君子之澤, 五世而斬, 小人之澤, 五世而斬. 予未得爲孔子徒也, 予私淑諸人也.
맹자는 제(齊)나라의 남쪽 작은 나라인 노(魯)나라 부근에서 태어나서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제자가 되어 유학을 배웠다고도 하고, 자사의 문인에게서 배웠다는 두 설이 있다.
맹자는 공자를 그리워하며 이렇게 말했다. "군자가 끼친 덕은 다섯 세대로 끊어지고, 소인이 끼친 은덕도 다섯 세대에서 끊어진다. 나는 공자의 제자가 되는 것은 얻지 못했지만 나는 이것을 사람들을 통하여 사숙(私淑)하였다."
한 세대(世代)를 30년이라고 치면 5세대는 150년이니, 군자(君子)나 소인(小人)이나 그 끼친 은덕(恩德)은 150년 정도에서 끝난다고 한다.
참고로 사숙문인(私淑門人)이란 어떤 사람에게 직접 배우지는 않았지만,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존경하여 스승으로 생각하면서 그의 학문을 익힌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그는 율곡(栗谷)의 사숙문인(私淑門人)이다'라고 했을 경우, 그 사람이 율곡 이이(李珥) 선생에게 직접 배운 것은 아니지만, 율곡의 책이나 언행을 통해 율곡의 학문이나 사상을 받아들이고 그대로 실천했다는 의미이다.
한편, 재전제자(再傳弟子)는 어떤 사람에게 직접 배운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제자나 그 사람의 사상에 대한 전수자에게 그 학문이나 사상을 배웠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서 어떤 사람이 예수를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예수의 제자인 베드로에게 예수의 사상을 배웠다면, 그는 베드로의 제자이면서 예수의 재전제자(再傳弟子)가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부분의 기독교인은 예수의 재전제자(再傳弟子)라고 할 수 있다. 예수를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예수의 제자인 사도들의 제자와 제자, 또 제자들을 통해 기독교의 사상과 믿음을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나, 성당(聖堂)이나 교회(敎會)에 나가지는 않지만, 기독교의 믿음을 실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예수의 사숙문인(私淑門人)이 된다.
[원문]
孟子曰 : 君子之澤, 五世而斬, 小人之澤, 五世而斬. 予未得爲孔子徒也, 予私淑諸人也.
맹자가 말하였다. 군자의 은택도 다섯 세대로 끊어지고, 소인의 은택도 다섯 세대로 끊어진다. 나는 공자의 무리가 되지 못하였지만, 나는 다른 분에게서 그 분을 사숙하였다.
[참고]
사사(師事) / 사숙(私淑)
절학무우(絶學無憂; 배움을 끊어라. 근심이 없을지니)는 노자(老子)가 한 말이다. 하지만 배움을 끊을 수 없다는 게 더 문제다. 평생을 독서로 일관한 이덕무(李德懋)도, "배우는 일보다 더 당연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배움에는 끝이 없다. 아무리 안다고 해도 그보다 더 많이 아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나 겸손해야 하며, 끊임없이 배우고 익혀야 하는 것이다.
배움과 관계된 말에 사사(師事)와 사숙(私淑)이 있다. 이 두 낱말은 상당히 자주 잘못 쓰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난곡 김응섭, 여초 김응현, 송은 심우식 같은 대가(大家)들에게서 23년을 사사한 첫 결실이다.
사사(師事)는, '누구를 스승으로 섬김. 또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음'을 뜻한다. '사사하다'는 타동사이므로 목적격 조사를 써서 'ㅇㅇ를(을) 사사하다'로 해야 올바른 용법이다.
따라서 위의 문장에서 대가들에게서 23년(동안) 사사한 부분은 '대가들을 23년(동안) 사사한'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아무개에게서 사사 받았다' 처럼 쓰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사숙(私淑)은 존경하는 사람에게서 직접 가르침을 받을 수는 없으나 그 사람의 도(道)나 학문을 본으로 삼고 배우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퇴계 선생을 사숙하다', '연암 선생은 제가 사숙하는 분이다' 등이 바른 용례다.
스승에게서 직접 가르침을 받느냐 아니냐 하는 점에서 사사(師事)와 사숙(私淑)이 구분된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잘못 사용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 私(사사 사)는 ❶형성문자로 厶(사)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벼 화(禾; 곡식)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둥글게 에워싸다, 자기 것으로서 거두어 넣다의 뜻을 가지는 글자 厶(사)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수확할 때 자기 몫으로 한 것, 나, 몰래의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私자는 ‘사사롭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여기서 ‘사사롭다’라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라는 뜻이다. 私자는 禾(벼 화)자와 厶(사사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厶자는 팔을 안으로 굽힌 모습을 그린 것으로 ‘사사롭다’라는 뜻이 있다. 팔을 안으로 굽히는 행위가 물건을 독차지하려는 듯한 모습을 연상케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문에서는 厶자가 사사로움을 뜻했었다. 소전에서는 여기에 禾(벼 화)자가 더해졌는데, 이것은 곡식의 소유주가 나 자신임을 뜻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지금의 私자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나 이기적임을 뜻하는 글자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私(사)는 (1)자기 한 몸이나 집안에 관한 사사로운 것 (2)일을 처리할 적에 정실(情實)에 흘러 공정치 못한 일 등의 뜻으로 ①사사(私事; 사삿일), 사삿일(私事; 개인의 사사로운 일) ②가족(家族) 3집안 4간통(姦通) 5편복(便服) 6은혜(恩惠) 7가신(家臣) 8사처(私處) 9오줌 10음부(陰部) 11총애(寵愛)하는 것 12자매의 남편 13사사롭다 14간통하다 15사랑하다 16편애하다 17오줌 누다 18홀로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공평할 공(公)이다. 용례로는 개인의 사사로운 학설을 사학(私學), 사삿 사람을 사인(私人),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도나 학문을 배우거나 따름을 사숙(私淑), 개인에게 관계되는 것을 사적(私的), 개인이 설립함 또는 그 시설을 사설(私設), 사사로이 만나는 자리를 사석(私席), 제 욕심을 채우려는 마음을 사심(私心), 사삿일이나 사사로운 일을 사사(私事), 개인의 소유를 사유(私有), 개인의 저택을 사저(私邸), 예전에 한문을 사사로이 가르치던 곳을 사숙(私塾), 사사로운 개인의 의견을 사의(私意), 한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을 사익(私益), 개인이 사사로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을 사재(私財), 개인이 사사로운 일로 저지른 죄를 사죄(私罪), 공공의 물건을 사사로이 씀 또는 그 물건을 사용(私用), 개인 소유의 논밭을 사전(私田), 개인의 의견을 사설(私說), 개인 소유의 집을 사택(私宅), 개인이 부담하고 지출하는 비용을 사비(私費), 사사로 하는 편지를 사신(私信),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을 사리사욕(私利私慾), 몰래 사사로이 하는 망령된 생각을 사사망념(私思妄念)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