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화이글스 팬클럽 [이글이글] 원문보기 글쓴이: 1번선발
얼마 전부터 꼭 한번 쓰고 싶었던 김태균 글을 오늘 씁니다.
평소 제 글을 많이 보아오신 분이라면 예상하실 수 있겠지만 김태균이 아쉽다는 글이 아니라 옹호하는 글입니다.
제 글에 동의하시든, 동의하시지 않든 그것은 각자 회원님들의 자유이며
아래 내용에 대한 반론도 누구든, 얼마든 자유롭게 제기하실 수 있지만
혹여 반론을 제기하시더라도, 먼저 아래 글은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태균에 대해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3가지 의혹(?)과 그에 대한 저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의혹 1. 이제 풀타임 출전이 어려우므로 많은 경기를 쉬어야 한다
김태균은 올해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결장 했습니다. 하나는 사구에 맞아 생긴 (나이 또는 체력과 관계 없는) 부상, 그리고 또 하나는 복사근(옆구리) 부상이죠. 체력 또는 몸관리 부분과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옆구리 부상입니다. 36세 타자가 부상으로 많은 경기를 결장했고 커리어로우에 가까운 성적을 올렸다면 이 선수의 미래에 대해 불안한 예상을 하는 것은 합리적인 의심으로 보입니다. 적은 나이가 아니니까요. 그래서 김태균의 체력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김태균은 작년에 전경기(144)출장했고, 재작년에도 133경기를 뛰었습니다. 수비를 안해서 그런 것 아니냐는 반론이 있을 수 있는데 재작년에는 주로 1루수로 출전했죠. 09년 시합 중 넘어져 당한 뇌진탕 부상을 제외하면 지난 14년간 KBO에서 100경기 아래로 출전한 적이 없습니다. 몸관리에 실패했거나 잦은 부상으로 경기력을 유지하지 못해 본 경험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경기에 출전만 하고 그저 그런 성적을 올린 것도 아닙니다. 작년에는 (임팩트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빙그레+한화 역사상 시즌 최다 타점(136)을 기록했고 300출루로 KBO 신기록을 세웠습니다. 작년에 김태균이 기록한 39개의 2루타 역시 빙그레+한화 역사 31년을 통틀어 시즌 최다 기록입니다. (2위는 00이영우의 36개) 그것 뿐만이 아닙니다. 193안타도 팀내 통산 최고기록, 108볼넷도 팀내 통산 최고 기록입니다.
물론, 게임수가 144 경기로 늘었고, 로사리오의 분전으로 함께 이익을 본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역대급 성적을 기록한 것은 분명하죠. 서건창이 200안타를 찍었지만 게임수가 늘었다는 이유를 대면서 여전히 '이종범의 안타가 역대 1위'라고 우길 수는 없으니까요. 자, 그렇다면 어떻습니까. 바로 1년 전에 저런 성적을 찍은 선수가 올해 부상을 당했으니 이제 곧바로 노쇠하거나 체력적인 문제를 겪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일까요? 아니면 올해 불의의 부상을 당했지만 내년에는 또 언제나 그랫듯 활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까요 참고로 작년 김태균은 .365 .476 .569를 찍었고 올해 2002년 이후 사상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는데 그 성적표가 .340 .413 .545입니다. 주전급 야수들이 평생 한번 기록하기도 어려울 성적과 비슷하네요.
의혹 2. 중요할 때 못 치고 승부가 기운 시점에 똑딱질로 스탯관리를 한다
주자無 : .289 .346 .497
주자有 : .388 .470 .590
득점권 : .398 .515 .582
올해 김태균은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는 번즈처럼 쳤습니다. 그러다 주자가 생기면 (타격 1-2위인) 박건우 김선빈처럼 쳤고, 그 주자가 득점권으로 가면 80년대를 주름잡던 장효조보다 더 잘 쳤죠. 물론 동점타나 역전타를 꼭 쳐주면 좋겠다는 느낌이 들 때 모두 쳐내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타자는 애초에 이 세상에 존재하지를 않죠. 쌍팔년도 오락실 야구 속 사파리 사구구나 그런 게 가능하지, 프로야구에서는 누가 와서 쳐도 그렇게 안 됩니다. 게다가 144경기를 거의 대부분 보는 팬들의 머릿 속에는 당연히 못 친 기억이 더 많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타자는 최소한 절반 이상 아웃되고, 10번 나와서 4번도 안타를 못 치니까요. 그러니까 아웃된 기억이 많을 수 밖에요.
불과 작년에 역대 팀 최고 타점 신기록을 세운 타자, 득점권에 주자가 나가면 4할 가까운 타율에 5할 넘는 출루율, 그리고 본인 시즌 기록보다 더 높은 장타율을 기록하는 타자가 과연 <중요할 때는 못 치는데 승부가 기울었을 때만 의미없이 잘 쳤을 확률>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아니, 기본적으로 승부 기울었을때 스탯 관리해서 AVG .340을 찍는 게 가능하기는 할까요. 그러면 KBO 1군에 등록된 150명의 타자들은 왜 그걸 관리하지 않을까요. 혹시 나머지 149명은 전부 팀을 위해 헌신하느라 개인 기록을 까먹었는데 유독 김태균만 인간성이 글러 먹어서 KBO 타자 중 유일하게 스탯을 관리하는 걸까요? 에이, 설마요.
김태균이 15년 동안 KBO에서 1,233타점을 올렸습니다. 김태균보다 더 많은 점수를 소속팀에 선물한 타자는 올해 은퇴한 이승엽, 18년 활약한 양준혁, 그리고 21년간 선수생활을 한 이호준 뿐이죠. 이호준은 김태균보다 499타석, 양준혁은 무려 1600타석 더 들어섰습니다. 저런 선수들 바로 뒤에 이름을 올리고 통산타점 4위를 찍은 타자가 정말 중요할 때는 헛방망이만 돌리고 별볼일 없을때만 스탯관리를 했을까요. 글쎄요, 제가 보기엔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의혹 3. 출루 잘하는 건 알지만 장타력이 부족하므로 4번에 어울리지 않는다
김태균은 293개의 홈런을 쳤고 356개의 2루타를 날렸습니다. 통산 장타율은 .534로 심정수-김동주-양준혁보다 높죠. 그들은 모두 과거의 인물이므로 비교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러면 이런 비교는 어떻습니까? 김태균의 통산 장타율은 구자욱-나성범보다 높습니다. 달리기도 빨라서 어지간한 타구에는 2루까지 충분히 내달릴만한 호타준족 선수들인데 말입니다.
한가지 체크해보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구자욱이나 나성범은 4번이 아니라 3번이죠. 그러면 김태균도 4번이 아니라 3번을, 혹은 발이 좀 느리니까 5번을 쳐도 좋을겁니다. 출루율이 높으므로 3번에 놓아도 괜찮지만, 주루가 소위 '똥차' 스타일임을 감안하면 5번에 놓아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왜 김태균이 4번을 칠까요. 우리 한번 생각해 봅시다. 장타력에 좀 더 초점을 맞춘 타자가 있다면 김태균의 타순을 조정해도 좋았을텐데 왜 굳이 김태균이 4번을 쳤을까요?
홈런 뻥뻥 날리면서 팀 타선을 이끌어 줄 타자가 있는데 김태균이 괜히 과거의 이름값만 가지고 4번 자리를 꿰차고 앉았나요? 아니면 "나는 4번 아니면 경기에 안 나가겠다" 하면서 꼬장이라도 부렸나요? 최진행-김태완-송광민-이성열 다 놔두고 왜 김태균이 4번을 칠까요? 굳이 우리 팀 유니폼 입은 선수 비교해가며 줄 세우기 싫으니 여기까지만 언급하겠습니다. 그런데 이거 하나는 좀 확실히 해두고 싶네요. 그게 김태균 책임일까요? 로사리오 와서 4번으로 제 몫 해주니까 김태균이 그 앞뒤에서 아주 잘 했잖아요. 그런 타자가 팀에 없는게 김태균 책임인가요? 김태균보다 장타력 더 좋은 타자가 과연 있을지는 의문인데, 설령 없다고 해도 그건 김태균이 책임져야 할 부분이 아닙니다.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잘할때 칭찬 받으면 못할때 비판 받을 수도 있습니다. 기대치가 크면 아쉬움이 그만큼 더 크고 비판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죠. 연봉 2천만원 받는 유망주라면 실수를 해도 더 감싸고 오냐오냐 해줄 수 있지만 돈 많이 받는 슈퍼스타면 그만큼 싫은 소리도 더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그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김태균 정도의 유명세라면, 그리고 신인 시절부터 팬들에게 사랑도 많이 받아 온 선수라면 그 만큼의 쓴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김태균은 까여야 잘한다>는 농담도 스스럼 없이 하던 게 한화팬이니까요.
하지만 비판을 듣더라도 본인이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만 들어야 합니다. 오늘 못했으면 그 부분에 대해 욕 한바가지 먹고, 이번주 내내 못했으면 일주일치 욕을 실컷 먹으면 되죠. 하지만 사실과 다른 내용을 가지고 욕을 먹거나, 본인 책임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까지 욕을 먹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시즌 내내 잘했고 한달 못했는데, 시즌 내내 별다른 값어치가 없는 것 처럼 얘기하면 안 된다는 의미죠.
<임팩트가 없다>는 의견에는 (개인적으로 동의하지 않지만) 충분히 이해합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임팩트는 다를 수 있으니까요. 저는 WBC 홈런-타점왕, 통산 끝내기홈런 2위, 한국시리즈에서 배영수에게 친 동점홈런, 08홈런왕, 올스타전 홈런더비 우승, 300출루, 86경기 연속 출루...이런 것들이 굉장한 <임팩트>라고 느낍니다만, 저런 기록에도 불구하고 김태균에게서는 임팩트가 안 느껴진다면 거기에 대해서는 할 말 없습니다. 그거야 말 그대로 <느낌>이니까요. 박병호 이대호에게는 분명하게 느껴지지만 김태균 스타일에서는 안 느껴진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 제가 굳이 '느껴라'고 강요하면 안 되겠지요.
<아쉬움이 커서 그런거다. 더 잘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라는 의견에도 충분히 공감합니다. 부모가 자녀를 교육하는 스타일이 있고 교사가 아이들 가르치는 스타일이 있듯, 팬이 선수에게 마음을 표현하는 스타일도 모두 다를 수 있으니까요. 달리는 말에 채찍질 할 수도 있는거고, <이글스 4번타자>가 가진 무게감을 한층 더 높여주길 바라는 마음에, 지금보다 더 잘하기 바라는 마음에 짐짓 따끔하게 충고하는 것이라면 그 마음 역시 공감합니다. 김태균이 장효조의 정확성에 심정수의 장타력을 더한 역대급 타자인 것은 맞지만, 장타력까지 이승엽처럼 되면 더 좋겠다는 마음은 저도 가져봤으니까요 (다만, 저는 그런 건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풀타임 출전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한번도 없는데 그런 평가를 받거나, 사실은 여름에 약하지 않은데 여름에는 방망이 실력이 떨어진다는 오해를 받거나. 승부처에는 오히려 성적이 올라가는 스타일인데 '중요할 때는 못 친다'는 왜곡된 공격을 받는 것은 합당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승엽-박병호에 비해 홈런이 적다"는 평가를 받는다면 그것은 사실인데 "장타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으면 그것은 사실과 다른 얘기고, "4번으로 나오면 안된다"는 소리를 들으려면 그 비판은 김태균이 아니라 다른 타자들이 들어야죠. 연봉이 많다는 이유로, 팀내 주력 타자라는 이유로 <왜곡된 내용의 비판>을 들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스탯관리>라는 단어는 애초에 존재조차 하지 않는 허상이라고 저는 생각하고요.
모든 사람이 <김태균 킹왕짱>이라며 칭송할 필요는 없습니다. 김태균이 1등이라고 우길 필요도 없습니다. 이대호가 1위였던 순간이 있고, 박병호나 최형우가 1위였던 순간이 분명히 있는데 그 시점에 김태균은 (늘 그 언저리에 있었지만) 1위는 분명 아니었으니까요. '무조건 김태균이 최고야!' 하는 건 합리적이지 않고 사실과도 다릅니다. 게다가 김태균 아니라 김태균 할아버지라도, 이승엽 선동열 커쇼 베이브 루스라도 팬들에게 욕 먹을 수 있죠. (아마 그런 선수들도 많은 욕을 먹었을 거고요) 하지만 욕 먹을 부분에 대해서만 먹는 것이 옳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김태균이 어떤 부분에서 욕을 먹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겠지만 말입니다.
첫댓글 타 카페에서 퍼온 글입니다. 얼마전 기스게에서도 나왔던 김태균에 관한 글입니다.
제가 응원하는 팀의 선수이고 크보에서도 손꼽히는 선수임에도 저평가가 되는게 참 아쉽습니다..
김태균 사기케인데
원래 짧게 불태우는 선수보다 꾸준한 선수가 저평가 되더라구요. 은퇴 이후엔 그 반대가 되고요. 앞으로 한화에서 비율이든 누적이든 둘 중 하나만이라도 김태균 비스무리한 타자를 다시보기도 힘들거에요.
한국판 조이보토^^ ㅋ
딱이죠
정확합니다
팀성적도 조이보토...
@懶魔 팩폭 장난아니네요....ㅋㅋ
482 499정말 추억의 게임캐릭터이네요. ㅎㅎㅎ 개인적으론 일본에서의 몇몇뻘짓과 그후 돌아와서 그당시 좀 파격적이었던 최고연봉후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생겼던것 같아요.
김한화! 그자체죠
결국 팀성적이죠. 한화가 매년 강팀이였다면 김태균의 평가는 지금과 완전히 달랐을 겁니다. 정말 좋은 선수인건 확실합니다. 이정도 커리어의 성적을 가진선수를 두고 말장난으로 깍아내리는 경우를 보면 그냥 야알못이라 생각하고 무시해야죠.
선수 자체는 인정하나 현시대에서 4번타자로는 안맞는거 같습니다. 요즘같은 타고투저에 각팀에 다 4번은 홈런타자가 많이 배치되고 있는 상황이라 한화라는 팀이 더더욱 아쉽네요.
한화이기때문에...
데뷔시즌 임팩트가 너무 커서 그렇죠. 88게임만 뛰어서 비교는 힘들지만 장타율, ops가 커하시즌 이였다는.... 만19세의 위엄
김태균 진짜 싫어합니다. 사람이 이렇게 태연하게 거짓말 해대면서 추하게 자기 방어하는 운동선수는 본적도 없고요. 다만 인성과 별개로 실력만 놓고 보면 절대 못깝니다. 역대급 선수죠.
저랑 너무나도 똑같은 생각을 가지고 계시네요..
22222222222222 인종차별 발언해놓고 유먼한테 사과한다고 언플해놓고 사과 안 했죠. 그 당시 유먼이 말조심이라는 티셔츠까지 만들었죠. 그 후에 같은 팀으로 오게 되서 마지못해 손을 내밀었지만 정말 남자답지 못하더군요. 일본에서도 팀에 친구가 없어서 외로웠다느니 방사능이니. 그냥 제가 부족했다 한마디하면 될껄.추잡하게.
실력은 역대급임을 인정하지만, 그 외의 논란이 많아 좋아지지가 않네요.
좋은 타자지만 좋은 리더는 아닌 거 같습니다
일본전문가들도 타격매커니즘에 관한한 한국최고라고 엄지손가락을 세웠죠
다만 유턴할때의 김도망 이미지와 역대급 꼴찌팀 한화 최고연봉자로서의 책임등으로 대차게 까였죠
실력이외의 논란거리는 잘알지 못하는 LG팬은 그저 저런 4번타자가 10년넘도록 그자리를 지키고 있다는것 자체가 너무 부러울 따름입니다. 마냥 부러워요.
용암택 있지 않습니까~ 인성까지 완벽 퍼팩트
ㅎㅎ 부러워하시는 한화와 엘지의 그간 팀성적은 그래도 lg가 훨 좋아요
@환영의 밀리아 푸념이라고 받아주세요 ㅎ
그저 토종거포형 4번타자가 고정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뿐이에요 ㅎ
@베커밋 한화의 타선, 엘지의 투수진을 적절히 믹스한다면 꽤 강력할텐데요.
쓰고나니 이런팀은 두산이네요 ㅋㅋ
못 가진 자들의 시기라고 봅니다. 그리고 그 쪽 팬들
김태균이 욕을 먹는 이유는 몇가지를 나열해 보면,
1. 5년 연속 KBO최고 연봉 선수
2. 팀이 계속 꼴찌하고 10년 넘게 플레이오프를 못올라가는데 변하지 않는 플레이 스타일.(홈런)
3. 리그 최악의 주루플레이.
4. 리더로서의 역할 부족.
팀 프랜차이져 스타인데 팀이 계속 플레이오프에 진출 못하고 있으면 그 선수가 비난 받는 일은 비일비재 하죠.
20년 넘게 야구를 보면서 김태균 처럼 신기한 스타일의 선수는 처음 봅니다.
주루 플레이를 못하는 선수인데 홈런보다 정확성이 훨씬 뛰어난 타자.
2012년부터 한화를 응원하면서 작년과 올해 로사리오를 경험 하면서김태균이 4번을 치는 것보다 5번이 더 어울리는 선수라는 것을 확실히
느꼈고, 김태균이 팀의 중심이 되기보다는 한발 물러서서 더 투지 있는 선수가 타선을 이끌어 주는 것이 팀 분위기에 더 알맞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로사리오의 연봉이 김태균보다 적음에도 war은 두배가 넘습니다.
김태균 연봉으로 손아섭 두명을 사고도 남는 돈입니다. 투수로는 해커를 두명 사고도 남죠.
김태균에게 연봉대비 기대하는 것이 큰것은 당연한 결과이고, 팀이 계속 루징팀이기 때문에 프랜차이져 스타에게 비판이 계속 되는 것은 어쩔수 없죠.
@Seraphic 다른예로, 정우람도 비싼 연봉을 받고 있기에 비난이 있죠.
그냥 기록만 보면 구원투수 전체 송승락 다음으로 war 2위입니다.
모든 것은 팀 성적이 좋지 않기에 비난이 있는 것이고, 특히 한화가 모든 팀들 가운데 가장 많은 돈을 쓰고도 플레이오프와 너무 거리가 먼 성적을 냈다는 것이죠.
어찌보면 팀이 못하는 것을 프랜차이저 스타에게 비난을 가하려는 심리 같기도 합니다. 누군가에게 책임을 돌리려는 심리 같은거죠.
@Seraphic 문제는 당장 내년에 손아섭 연봉이 확 뛴다는거죠
실력은 역대급 타자가 맞죠. 야구 외적으로 구설수가 많지만 또 그게 도덕적 잣대로 평가 받을만한건 아니라서..
김태균을 보고있으면 멜로가 생각납니다 ㅠㅠ
- 한화이글스 & 뉴욕닉스 팬 -
그러네요. 실력은 좋은데 팀이 시원찮은..
그리고 수비에 약점이 있는것도 비슷하고(김태균의 경우, 1루수비능력 자체를 말하는것이 아니라 1루수비만 가능한 것이 야구에서는 단점이죠), 재능도 역대급으로 좋은것도 비슷하고요.
잠실30홈런 한시즌50 홈런기록까지 갖고있는 심정수보다 김태균이 더뛰어난 파워히터는 아니죠..누적스탯이라 통산장타율이 높다지만..물론 김태균이 역대급타자라는건 무조건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