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있는 사람은 박경리 씨.
안 빗고,
안 지진 머리.
신경만이 살아 있는 듯한 피부.
굵은 회색 스웨터 바람.
검은 타이트 치마.
여학생같이 소탈했다.’
―전혜린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중
번역가이자 수필가인 고 전혜린의 책에 수록된 1964년 2월 28일 일기이다. 전혜린의 소원은 “결코 평범하지 않을 것”이었다. 10대에 친구와 함께 나이 지긋한 한문 선생님을 붙들고 “방과 후에 같이 논어를” 배웠으니, 과연 비범한 학생이었다. 논어 공부가 끝이 아니었다. 전혜린은 “철학과 어학(영·독·불·한문·한글)에 대한 광적일 정도의 열렬한 지식욕과 열성”으로 세계 명작을 탐독했다. 책을 읽으며 전혜린은 새로운 세계를 꿈꾸게 되었다. 어린 시절 자신이 “신처럼 숭배”했던 아버지의 뜻을 어기고 법학에서 독문학으로 전공을 바꾼다.
독일 유학을 마치고 1959년에 한국으로 돌아온 전혜린은 번역가, 작가, 교수로 명성을 얻었지만, 친구들과 책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무척 소중히 여겼다. 대학 시절에 “공일(空日)에는 눈동자가 독서로 인해 깊어져 있는 마음 맞는 벗과 남산에 올라갈 것이다. 제일 높은 곳에서, 서울이, 집이, 사람이 얼마나 작은가를 내려다볼 것이다. 그리고 함께 읽은 책 한 권을 에워싸고 끝없는 논쟁에 들어갈 것이다”(1953년 9월 3일)라고 일기에 쓸 정도로 전혜린은 줄곧 문학적 우정을 추구하며 살았다. 1965년 1월, 세상을 떠나기 하루 전날에도 학림 다방에서 “마음 맞는 벗” 이덕희를 만났다.
전혜린(田惠麟, 1934-1965)의 일기를 읽으면서 또 다른 친구 한 명을 발견했다. 전혜린은 “멋있는 사람” 박경리(朴景利, 1926-2008)를 한눈에 알아보았다. 만약 전혜린이 지상에 좀 더 오래 머물렀다면, 전혜린과 박경리는 뜻을 나누는 친구가 되지 않았을까? 전혜린과 박경리가 “함께 읽은 책 한 권을 에워싸고” 끝없이 논쟁하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
전혜린과 뮌헨 · 김병종의 문학기행(문학동네 241쪽).
✵전혜린(田惠麟, 1934-1965) : 여류수필가ㆍ번역문학가ㆍ독문학자이다. 평남 순천(順川) 출생. 경기여중ㆍ고(京畿女中高)를 졸업하고 서울대학 법과대 재학 중 독일에 유학, 뮌헨대학 독문과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에는 서울대학 법대ㆍ이화여대 강사, 성균관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펜클럽 한국본부 번역분과위원으로 위촉되어 일하기도 하였다.
유학 중이던 1955년 가톨릭에 귀의하여 막달레나(Magdalena)라는 세례명으로 세례성사를 받았다. 한국에서부터 만나던 김철수와 독일에서 결혼해 딸 김정화를 낳았다. 1964년 이혼 후 성균관대학교 독문학과 조교수가 된다.
1965년 1월 10일 일요일 아침, 전날 지인들과 밤 10시까지 술을 마시다 자리를 떴던 작가 전혜린이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언론은 그의 사인을 ‘심장마비’(<조선일보>)와 ‘수면제 과용으로 인한 변사’(<경향신문>) 등으로 전했지만 일반에는 자살로 널리 알려졌다. 자살로 알려진 것은 죽기 이틀 전 1월 8일 초저녁 술자리에서 그가 읽고 태워버렸다는 글이다. 이 글의 출처는 알 수 없다. 작가는 고작 서른한 살에 자신의 삶을 마감했다.
몹시 괴로워지거든 어느 일요일에 죽어버리자.
그때 당신이 돌아온다 해도
나는 이미 살아있지 않으리라.
당신의 여인이여, 무서워할 것은 없노라.
다시는 당신을 볼 수 없을지라도
나의 혼은 당신과 함께 있노라.
다시 사랑하면서
촛불은 거세게 희망과도 같이
타오르고 있으리라.
당신을 보기 위해 나의 눈은
멍하니 떠 있을지도 모른다.
번역서는 사강의 <어떤 미소>, 슈나벨의 <안네 프랑크-한 소녀의 걸어온 길>, 이미륵(李彌勒)의 <압록강은 흐른다>, 케스트너의 <화비안(Fabian>, 린저(Rinser)의 <생의 한 가운데>, 뵐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등 10여 편을 남겼다. 그 밖에 수필집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와 <미래완료의 시간 속에서>가 있고,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라는 제명으로 대문출판사(大文出版社)에서 일기가 유작으로 출간되기도 하였다.
✺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금빛 햇빛이 가득 쪼이는
건조하고 맑디맑은
한국의 가을 속을 살고 있다는 사실이
가끔 나에게 미칠 듯한 환희의 느낌을 준다.
산다는 일,
호흡하고 말하고
미소할 수 있다는 일,
귀중한 일이다.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 아닌가.
지금 나는 아주 작은 것으로 만족한다.
한 권의 책이 맘에 들 때,
또 내 맘에 드는 음악이 들려올 때,
또 마당에 핀 늦장미의
복잡하고 엷은 색깔과 향기에 매혹될 때,
또 비가 조금씩 오는 거리를 혼자서 걸었을 때,
나는 완전히 행복하다.
맛있는 음식,
진한 커피, 향기로운 포도주.
생각해 보면
나를 기쁘게 해주는 것들이 너무 많다.
햇빛이 금빛으로 사치스럽게,
그러나 숭고하게 쏟아지는 길을 걷는다는 일,
살고 있다는 사실..
그것만으로도 나는 행복하다.
―전혜린(1934-1965)
[자료출처 및 참고문헌: 〈내가 만난 名문장, 전혜린이 본 박경리( 장영은 ‘글 쓰는 여자들의 특별한 친구’ 저자), (동아일보, 2021년 11월 18일(월))〉, 《Daum, Naver(인터넷 교보문고)》/ 이영일 ∙ 고앵자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