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日時 : 2023년 2월 26일(日曜日) 08:00.
♥ 場所 : 경남 하동 구제봉(龜在峰, 767.6m), 자연휴양림.
☞ 가는 길 : 08:00(삼천포 시외버스 터미널 출발) → 08:11(사천 대교 진입) → 08:35(하동 금남면) → 08:44(하동읍 벗꽃길) → 09:00(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산 63-1 먹점마을 도착).
☞ 산행코스 : 먹점마을 회관 → 임도 포장도로 → 먹점재 → 활공장 임도 → 활공장 → 682봉 → 760봉, 칠성봉(미동) 갈림길 → 구재봉 정상 → 헬기장 → 흔들바위 → 철계단 → 문암정(628봉) → 서리 임도 → 일본목련숲 → 서리마을 → 구재봉 자연휴양림 매표소 → 하늘숲길 → 산책하며 매표소 → 서리마을(10km, 5시간 10분 소요).
☞ 세부 산행코스
09:01 : 먹점마을 회관(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산 63-1) 도착.
09:05 : 먹점골 마을 왼쪽 이정표(↑ 구재봉 활공장, 혜광사, 힐링농협, 좋은 매실), 임도따라 산행시작.
09:11 : 임도 이정표(←구재봉활공장, 둘레길/↑ 혜광사, 먹점골 농장/→ 매실농장).
09:17 : 지리산 삼신지맥(三神枝脈) 둘레길 접속.
09:28 : 먹점재,
09:32 : 21년 2월 산불난 능선.
09:42 : 지그재드 활공장 임도와 이별, 급경사 등산로 진행.
09:56 : 산불이 난 능선 바위.
10:00-10 : 700m 높이의 활공장.
10:20 : 682봉 도착. 119 현위치 하동 1.
10:24 : 이곳부터 산불이 약간 스쳐간 송림숲.
10:42 : 원목계단.
10:45 : 760봉, 칠성봉(미동) 갈림길(→ 칠성봉 6.2km/→ 구재봉 150m/↙ 활공장 1km,미동 3.5km).
10:53 : 구재봉 정상 . 이정표(← 먹점재 2.0km. 분지봉 2.5km/→ 칠성봉 5.4km. 회남재 12.4km), (← 휴양 관 2.5km/→문암정 1km). 점심(11:00 - 11:30).
11:33 : 헬기장.위쪽의 오뚝이바위.
11:40 : 흔들바위 전망대.
12:00 : 암벽구역 철계단.
12:10 : 삼거리 이정표(← 구재봉 0.7km/→ 문암정 0.3km/↙ 휴양관 2.4km).
12:20 : 문암정(628봉) 팔각정자.이정표(← 구재봉 1km/→ 다향정 0.3km). 멋진 전망대,
12:33 : 삼거리 이정표(← 일본 목련숲 1.3km/→ 문암정 0.2km/↙ 다향정 0.2km). 내리막길
12:50 : 이정표(← 휴양관 1.7km/→ 구재봉 1.7km).
13:23 : 적량면 서리 임도 도착. 위로 가면 구재봉 휴양림, 아래로 가면 중서마을, 중서마을로 진행.
13:45 : 차밭 농장 숲길.
13:55 : 적량면 서리 말태정교.
14:05 : 계곡에서 머리, 발씻기.
14:10 : 중서마을 이장 소개로 악양면 서리 산 296 구재봉 자연휴양림 매표소, 하늘 숲길까지 차량 이동.
14:35 : 구재봉 등산로 하늘숲길 입구에서 하차하여 휴양관으로 내려오는 산책.
14:42 : 트리하우스. 숙박시설.
14:45 : 목재문화채험관, 어린이 놀이터.
14:50 : 구재봉 자연휴양림 매표소 도착. 서리마을로 내려감.
15:10 : 하동군 적량면 서리마을 도착 산행종료.
☞ 오는 길 : 15:20(하동군 적량면 서리마을 출발) → 15:25(황치산터널)→ 곤명. 곤양 통과 →15:53(사천 대교) → 16:10(삼천포 시외버스터미널 도착).
♥ 이웃 봉우리 : 칠성봉(七星峰. 900m),
♥ 위치 : 경남 하동군 하동읍. 악양면. 적량면,
♥ 특기사항 : 지리산 낙남정맥은 삼신봉(1288.7m)에서 남쪽으로 분기한 삼신지맥(三神枝脈)이 내삼신봉(1355m), 관음봉(1153m), 내원치를 지나 거사봉(1133m)에서 두줄기로 갈라진다. 한줄기는 억양벌 북쪽의 형제봉(1116m), 신선봉(615m)을 지나 하동군 억양면 평사리 섬진강으로 이어지고, 한줄기는 악양벌 동남쪽을 따라 시루봉(993m), 회남재, 깃대봉(983m), 배티재, 칠성봉(905.8m), 구제봉(773.7m), 분지봉(627.8m)을 지나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 횡천강(橫川江)으로 이어진다.
오늘 산행할 삼신지맥(三神枝脈)의 구재봉(773.7m)은 지리산 남쪽 끝자락인 하동읍, 악양면, 적량면 등 3개 읍·면이 만나는 간으로 산의 형상이 거북이가 기어가는 모습을 닮아 구재봉(龜在峰), 악양면에서 보면 비둘기를 닮았다고 해서 구재봉(鳩在峰)이라 하였는데, 1992년 3월 20일 세운 정상석에는 양쪽면에 구재봉(龜在峰)과 구재봉(鳩在峰이)라 새겼으나, 2018년 정상석 위에 거북이 모형으로 교체를 하면서 한글로만 새겼다, 산 정상부에 상사바위, 흔들바위, 천년석굴, 방바위 등 기암들과 동쪽에 활공장, 남쪽 기슭에 대규모 구재봉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어 사시사철 많은 휴양객이 찾고 있다.
▲ 08시 승용차 2대에 산을 좋아하는 번개회원 7명이 탑승, 삼천포 시외버스 터미널 옆에서 출발하여 08시 11분 사천 대교 진입.
▲ 08시 35분 하동 금남면 계천리에 오니 5월 4일부터 6월 3일까지 열리는 2023, 하동세계 차 엑스포 현수막.
▲ 08시 44분 유명한 하동읍 벗꽃길.
▲ 09시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산 63-1 먹점마을 도착.
▲ 09시 05분 먹점마을 회관애 주차하고 나오니 넓은 포장도로 왼쪽 이정표(↑ 구재봉 활공장, 혜광사, 힐링농협, 좋은 매실), 오른쪽 먹점골 가든 이정석을 확인하고 임도 포장도로를 따라 산행시작. 매실 주산지이기에 매실 과수원과 도로주변의 매화나무는 꽃이 피기 시작.
▲ 09시 11분 임도 이정표(←구재봉 활공장, 둘레길/↑ 혜광사, 먹점골 농장/→ 매실농장). 방향표시는 있지만 거리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구재봉 활공장 진행.
▲ 활공장 안내와 지리산 낙남정맥인 삼신봉(1288.7m)에서 남쪽으로 분기한 삼신지맥(三神枝脈)의 지리산 둘레길 이정표.
▲ 활공장으로 오르는 지그재그 임도로 오르니 09시 28분 먹점재 삼거리 도착. 왼쪽 지리산 둘레길과 안녕을 고하고 활공장으로 향하는 오른쪽 진행
▲ 09시 32분 2021년 2월 산불난 능선, 9부 능선에 보이는 활공장 임도. 지그재그가 심해 임도와 안녕을 고하고.
▲ 편백나무를 심느라고 조성된 가파른 지름길 진행.
▲ 급경사 계단에 올라서니 활공장이다.
▲ 10시 활공장(700m)에 올라서면서 지그재그 임도 끝. 등산객들이 다니지 않은 희미한 급경사 등산로를 따라 오르니 너무 힘들어 휴식하면서 목을 축이고 주위를 둘러보니 조망이 짱.
활공장 조망 : 섬진강 뒤로 백운산(중앙)과 억불봉(왼쪽).
▲ 활공장 조망 : 하동 평사리 들판 뒤로 지리산천왕봉, 형제봉에 2002년 경남 하동군에서 패러글라이딩 북서쪽 활공장(오른쪽) 조성,
▲ 활공장 조망 : 섬진강까지 써비스.
▲ 임도에서 올라오는 활공장 입구. 활공장 조망 : 뒤로가야할 682봉과 멀리 뒤로 구재봉 정상.
▲ 2003년에 반대쪽에도 건설하여 4계절 항시 비행이 가능한 활공장.
▲ 활공장 이용 안내판.
▲ 682봉으로 가는 능선 주위는 크고 작은 나무 한그루도 없고 편백 이식.
▲ 목조계단도 산불 화재로 조금 피해.
▲ 10시 20분 682봉 도착하니 119 현위치 하동 1 이정표만 있고 조망은 짱!.
▲ 682봉 조망 :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 아래로 광양 청매실농원, 뒤로 백운산(중앙)과 억불봉(왼쪽).
▲ 682봉 조망 : 우리들이 지나온 활공장(왼쪽). 조망처. 산불화재로 나무가 없어 안타깝지만 조망은 짱!.
▲ 울창한 숲의 등산로. 이곳부터 산불화재 나무는 끝.
▲ 10시 24분 산불이 약간 스쳐간 송림숲. 큰 나무는 산불 피해는 적지만 작은 나무들은 고사.
▲ 10시 42분 오르막 등산로에 조성된 긴 원목계단.
▲ 10시 45분 760봉에 도착하니 칠성봉(미동) 갈림길 삼거리로 이정표(→ 칠성봉 6.2km/→ 구재봉 150m/↙ 활공장 1km,미동 3.5km). 삼신지맥 산줄기는 구재봉을 지나 분지봉으로 이어진다. 2011년 2월 20일과 11월 15일 성제봉. 형제봉 2봉. 2021년 1월 31일 악양 신흥면 하신흥마을에서 천왕사, 구름다리, 봉수대, 칠성봉을 산행하였기에 이 코스가 반갑다.
▲ 구재봉 정상에 가까워 자니 곳곳에 상사바위, 흔들바위, 방바위 통시바위 등 기암이 산재 ▼
▲ 칠성봉 능선 뒤로 주산.
▲ 10시 53분 구재봉 정상 도착하니 정상석이 이색적이다. 적량면에서 보면 거북이를 닮았다고 해서 구재봉(龜在峰), 악양면에서 보면 비둘기를 닮았다고 해서 구재봉(鳩在峰)이라 불리었는데, 1992년 3월 20일 세운 정상석에는 양쪽면에다 각각 龜在峰과 鳩在峰이라 새겼으나, 2018년 지금의 정상석으로 교체를 하면서, 한글로만 새기고, 화감암 정상석 위에 길이 2m, 높이 1m의 1.5t 규모의 거북모양 자연석을 올려 놓았다. 구재정은 보이지 않고 주춧돌 기둥만 남아있고 이정표가 2곳 있다.
▲ 구재봉 정상석에서 단체 기념사진.
▲ 구재봉 이정표(← 먹점재 2.0km. 분지봉 2.5km/→ 칠성봉 5.4km. 회남재 12.4km), 다른 구재봉 이정표(← 휴양관 2.5km/→ 문암정 1.0km) .
▲ 구제봉 정상석 옆 바람에 날아가 버린 정자 주춧돌 기둥 안에서 맛있게 산상뷔페(점심(11:00 - 11:30).
▲ 11시 33분 멧도ㅔ지가 파헤친 헬기장. 정상 안테나 아래 오뚝이 바위가 재미있게 서 있다.
▲ 11시 40분 흔들바위. 여럿이 밀어도 꿈쩍도 않는 커다란 흔들바위.
▲ 흔들바위 전망대 조망 : 아래 산행시점인 먹점마을 아래로 섬진강, 뒤로 광양 백운산 줄기 능선과 억불봉(좌).
▲ 흔들바위 전망대에서 광양 백운산 줄기 능선과 억불봉을 배경으로 기념사진.
▲ 기암으로 오르는 산행도사.
▲ 12시 암벽을 안전하게 오르내리는 긴 철계단. 철계단 아래 암벽에 전에 오르내리던 로프기 보인다.
▲ 아래에서 올려다 본 기암 옆까지 연결된 긴 철계단.
▲ 무슨 바위일까?
▲ 멀리 628봉 위에 희미하게 보이는 문암정.
▲ 12시 10분 삼거리 이정표(← 구재봉 0.7km/→ 문암정 0.3km/↙ 휴양관 2.4km).
▲ 12시 20분 멋진 전망대인 문암정(628봉) 팔각정자 쉼터와 이정표(← 구재봉 1km/→ 다향정 0.3km) ▼
▲ 지나온 구재봉.
▲ 12시 33분 삼거리 이정표(← 일본 목련숲 1.3km/→ 문암정 0.2km/↙ 다향정 0.2km). 일본 목련숲으로 향하는 내리막 등산로,
▲ 쪼개진 바위사이의 소나무.
▲ 12시 50분에 만난 이정표(← 휴양관 1.7km/→ 구재봉 1.7km). 휴양관으로 진행
▲ 13시 23분 적량면 서리 임도 도착. 위로 가면 구재봉 휴양림, 아래로 가면 중서마을, 이정표가 없어 구재봉 자연휴양림이 아닌 중서마을로 내려감.
▲ 임도갓길엔 철조망, 주위가 모두 고사리밭.
▲ 13시 45분 주위가 온통 차농장으로 차 숲길 ▼
▲ 일본 목련숲.
▲ 엄나무 숲.
▲ 13시 54분 적량면 서리마을 정자나무 쉼터.
▲ 쉼터 정자아래 말태정교.
▲ 다리 아래 계곡에서 머리와 발을 씻고 나니 피로가 풀리고 개운해 진다. 계곡을 올라오니 서리마을 이장님이 고로쇠 물 채취를 위해 오면서 구재봉 자연휴양림까지 친절하게 화물차에 태워주시면서 코로나 때문에 3월부터 개장하기에 휴식을 취하려 가족 친지, 친구들과 동반해 놀려오라고 안내해 주신다.
▲ 하동군 악양면 서리 산 296에 있는 구재봉 자연휴양림 입구 표지석. 매표소(성인 1,000원)와 주차장을 지나.
▲ 비오톱 앞 갈림길의 구재봉 등산로 입구의 하늘숲길까지 와서 하차.
▲ 자연휴양림의 구재봉 등산안내도.
▲ 구재봉 등산로 입구인 하늘숲길 데크로드.
▲ 서리 이장님이 매표소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이곳까지 왔기에 긴 데크(desk)를 따라 내려가면서 구경하라고 설명해 주시기에 답례를 하려고하니 거절하시면서 돌아가신다. 너무 친절하고 고마우신 분이다.
▲ 데크(desk)길을 따라 내려오면서 본 숙박시설인 트리하우스와 야영장 ▼
▲ 넓은 데크길.
▲ 14시 45분 어린이 놀이터 뒤로 목재문화채험관 .
▲ 계곡의 물놀이 체험장? ▼
▲ 14시 50분 구재봉 자연휴양림 매표소 도착. 자연휴양림의 멋진 산책코스 종료.
▲ 구재봉 자연휴양림 안내도 .
▲ 자연휴양림 입구의 구재봉 자연휴양림 거북이 모형을 보고 포장도로를 따라 서리마을 행.
▲ 하동군 적량면 서리마을 도착 산행종료. 15시 20분 출발.
▲ 15시 25분 황치산 터널 통과. 사천군 곤명면. 곤양면을 지나.
▲ 15시 53분 사천 대교 통과.
▲ 16시 10분 삼천포 시외버스터미널 도착. 구재봉 산행과 자연휴양림 산책을 즐겁게하고 전회원 무사고 삼천포 도착, 저녁식사를 맛있게 하고 귀가.
☞ 동행 : 산을 사랑하는 번개회원 7명.
첫댓글 아름다운 동행에 감사드립니다
안산,즐산을 축하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세요.그 날 저희는 여수 봉황산 다녀 왔습니다.(새로 발족한 삼사둘레길 첫 산행,시산제도 지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