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지난 1월 30일 오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가운데 서울 중구 광화문역 지하철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로 열차를 타고 있다. 2023.01.30 /남강호 기자
방역당국이 확진자 격리와 일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등 남은 코로나 방역 규제들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 코로나 상황이 안정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제 코로나 위기경보 단계 하향과 감염병 등급 조정, 7일 격리의무 전환, 마스크 착용 전면 해제 등 남아있는 방역 규제들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확진자 7일 격리와 대중교통, 의료기관 등 일부 실내 공간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는 아직 해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대표적인 방역 조치들이다. 정부는 1월 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면서 남은 조치에 대해서는 현재 ‘심각’ 단계인 코로나 경보가 ‘경계’나 ‘주의’로 하향되거나, 코로나 법정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조정될 때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조규홍 1차장은 “일평균 확진자가 9주 연속 줄고 병상 가동률도 11.5%로 여력이 충분하다”며 “현재 3900여 개인 코로나 병상을 1000여 개로 축소한다”고도 밝혔다. 그는 “하루 확진자 4만 명 발생에도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