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령-중재(구시봉,영취산,백운산)
(2016. 6. 26. 일)
산행코스 : 육십령 - 구시봉(깃대봉) - 민령 - 북바위 - 덕운봉갈림길
- 영취산 - 백운산 - 중고개재 - 중재 - 중기마을
(20.7km, 6시간 50분)

어제 종료했던 육십령에서 영취산 방향으로 남진

어제 하루밤 묵었던 민박집, 매점을 운영 하시는 할머니집
넓은방에서 혼자 자고 아침 일찍 매점에 가서 아침식사(숙박비 30,000원)

장수쪽 매점은 민박을 안하고 함양쪽 매점만 민박

아침식사는 된장찌개로 7,000원

출발전 백두대간 표지석에서

화장실 뒤편으로 100m 정도 올라서면 만나는 이정표
예전에는 도로로 내려 섰다가 다시 능선으로 올라 왔지만
지금은 백두대간 동물이동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맨발로 걷기 좋은 길이란다

깃대봉 약수터

구시봉(깃대봉 1014.8m)
옛 이름은 깃대봉 이었는데 2006년 구시봉으로 변경 되었다고 한다
깃대봉은 덕유산 남쪽을 조망할 수 있는 최고의 명소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가을 억새가 장관인 곳이다
이곳은 삼국시대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역으로 이곳에 주둔한
군사들이 깃발을 꽂았던 곳으로 전략적 요충지이다
깃대봉 똥쪽 물은 추상천을 지나 낙동강으로 서쪽물은 장계천을
따라 금강으로 흐른다

구시봉에서 대간길은 우측으로

안개 때문에 조망은 전혀 없고

길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억새밭이 이어진다
가을에 오면 억새가 멋질것이다, 아침 이슬에 옷이 젖어들고

민령에 있는 소나무

경남 함양군 서상면 금당리와 전북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를
잇는 고개로 민령은 논개의 생가와 무덤을 오가던 고갯길이다
밋밋한 고개라는 우리말 이름이며 지금은 사람들의 왕래가
거의 없는 퇴화된 고개가 되어 길의 흔적조차 희미하다

북바위와 전북 장수군 장계면 일대
옛날 삼국시대에는 이곳이 백제와 신라의 연토분쟁이 치열했던
곳이다 신라와 백제가 전쟁을 할때 이곳에서 북을 울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북바위에서 본 지나온 대간길

육십령에서 영취산 까지 중간지점

멀리 가야할 백운산과 영취산이 보이고


산죽(조릿대) 군락지가 이어진다

지나온 능선길

장계면 대곡리와 대곡저수지

이곳이 덕운봉인줄 알았는데 덕운봉은 대간길에서
좌측으로 500미터쯤 벗어나 있다, 영취산 2km


영취산이 조망되고

멀리 백운산과 영취산
영취산 오름길에서 평택 흰여울산악회원들을 만나 반갑게 인사하고
부전계곡에서 만나기로 하고 갈길을 서두른다
흰여울 산악회는 무령고개에서 올라와 영취산, 덕운봉을
지나 부전계곡으로 산행을 한다고 한다

영취산(靈鷲山, 1075.6m)
영취산은 신령령(靈) 수리취(鷲)를 쓰고 있다, 영취산은 고대
인도에 있는 산으로서 석가모니가 이곳에서 법화경과 무량수경을
설법했다고 한다, 영취산을 준말로 영산 또는 취산으로
부르고 있는데 그 뜻은 산세가 빼어나다, 신묘하다, 신령스럽다 라는
뜻으로서 산줄기와 물줄기의 요충지로서의 걸맞는 이름이다
또한 금남호남정맥의 분기점이다


육십령 11.8km, 중치 8.2km

지나온 능선길

백운산(白雲山, 1278.6m)
백운산은 전북 장수군 변암면과 경남 함양군 서상면 경계에 있다
백운산의 이름은 흰백(白) 구름운(雲)을 써서 산이 높아서
산 봉우리에 항상 흰구름을 감싸안고 있는 산이라는 뜻이다
백운산의 물줄기는 서쪽은 백운천을 통하여 섬진강으로,
동쪽은 옥산천을 통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백운산 정상에서 서쪽으로는 장안산과 쾌관산,
북쪽으로는 영취산과 남덕유산, 남쪽으로는 월경산과 봉화산

헬기장에 있는 정상석



우측 중재 방향으로

중고개재 까지는 계속되는 내리막길
거꾸로 올라 온다면 땀종 많이 빼야될것 같다

중고개재

중고개재
이곳에서 중치까지는 작은 봉우리 4-5개를 넘어야 한다

중재(中峙)
경남 함양군 백전면 운산리 중기마을과 전북 장수군 번암면 지지리를
잇는 고개로 예전에 민초들이 넘던 고개였지만 지금은 백두대간
산꾼들이나 찾는 잊혀진 고개이다

중재에서서 좌측 중기마을로

임도 옆으로 망초대꽃

몇가구 없는 작은 마을로 사람들의 모습도 볼 수 없는 한적한 마을
이곳에서 택시를 불러 빼빼재(원통재, 후해령)를 넘어
서상IC 부근 부전계곡으로 간다
첫댓글 참으로 멋집니다
백두대간 완주 이제 세구간 남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