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공관절사업은 성장하였으나, 자동차핸들사업을 영위하던 친환경소재사업부의 매출 미발생. 15년은 양호한 실적으로 1분기 흑자를 유지했다. 200%이상의 당좌, 유동비율 확보했고 부채비율은 45% 차입금의존도는 19를 기록하고 있다. 우량하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
@요약—고령화 사회의 수혜주. 시장의 핵심
한국의 고령화 사회진입 속도는 세계최고 수준이다. 2018년 한국은 초고령화 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되고, 고령인구가 증가할수록 정형외과적 재생의료에 대한 수요가 자연적으로 증대되는 현상을 보인다. 소득수준의 증대로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된다.
국내에서 이뤄지는 인공관절 수술만 해도 1년에 2만5000건을 웃돌고 있다.
인구 10만명 당 수술 건수 등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는 아직도 성장 잠재력이 충분히있으며,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임을 감안하면 전 세계적으로도 그 성장성은 최고 수준이다.
첫 공급이 이뤄진 중국시장 수출 물량 8억여원을 비롯해, 미주 지역 등에 코렌텍 인공관절 수출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인공관절 시장은 약 8,000억달러 규모로 한국의 3배 이상이고 매년 2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하는 시장인데 아직은 해외기업들의 점유비중이 높다.
@향후 성장전망은?
관절염의 질환을 겪는 사람들로 세계적으로 약 3억 5,500만 명의 중증 관절염 질환자들이 그 주요 대상이며 그 중 약 42%인 1억 5,000만 명은 골관절염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약 80%는 어떠한 형태로든 관절 운동의 제약 및 장애를 겪고 있다. 고령화로 갈수록 수요는 증가한다.
전체 인공 관절 시술자의 약 60% 이상이 65세 이상의 연령대이며 그 인구 비중이 세계적으로 약 8% 대에 이르고 있고, 선진국일수록 그 연령대의 비중은 더욱 증가 하게 된다.
환자들의 식생활 개선에 따른 비만 문제인데 비만 여성의 경우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받을 확률이 4배 증가하고, 남성의 경우 5배 증가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5kg 체중 증가는 인공 관절, 특히 슬관절 치환술을 받을 확률이 약 35% 증가 한다고 보고 있다.
▲부담요인 110만주 정도의 전환사채 물량이 남아 있다. 주가가 상승할 경우 주식으로 전환될 위험성도 있다.
♣코렌텍 결론
코렌텍은 국산화 점령하는 기업이며 고령화 수혜주에 중국진출까지 시도하고 있다. 시장흐름에도 맞고 장기성장할 수 있는 종목이다.
의료기기 업체들 주가는 대부분 급등했다.
(루트로닉, 바텍 ,오스템임플란트,한스바이오메드,메디프론,인비디등등 모두 급등)
코렌텍의 인스텍을 인수해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다 좋다.
문제는 전환사채 물량부담인데 100만주면 상장주식수의 12%정도 되는데 조금만 이 부담은 해소된다.
주가는 바닥권이므로 저가매수 가능하다.
|
@사업내용
인공고관절과 인공슬관절은 손상된 뼈와 연골을 대체하여 인체 내에 삽입되어 체내에서 수 십 년간의 운동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제품이다.
인공슬관절의 경우 건강보험에서 지급된 금액 이외에 환자가 약 3백~5백만원 정도 개인부담이 된다.
인공관절은 손상된 환자의 고관절(엉덩이 관절) 및 슬관절(무릎관절)에 발생한 통증을 제거하고 제한된 운동 범위를 복원 혹은개선하기 위하여 본래의 관절을 제거한 후 그 부위에 대체하는 인공삽입물이다.
선진국 외 시장에서 자국의 인공관절 업체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경우는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현상인데 코렌텍은 2012년 부터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인공관절의 세계 시장 규모는?
인공 고관절은 약 6조 5천억원 ($56억불), 인공 슬관절은 약 8조 ($69억불)을 형성하고 있다.
| |||
인구 10만명 당 인공고관절 수술 건수 | 인구 10만명 당 인공슬관절 수술 건수 |
(1) 인공슬관절
제품군 | 구성품 | 기능 | ||
---|---|---|---|---|
대퇴골 치환물 |
|
대퇴골 치환물은 대퇴골의 무릎 돌기(Condyle)를 치환하여 경골 삽입물 위에서 관절 운동이 가능하게 함 | ||
근위 경골부 치환물 |
|
고정형 근위 경골부 치환물은 경골의 근위부를 치환하여 경골 삽입물을 고정시킬 수 있음 | ||
경골 삽입물 |
|
경골 삽입물은 대퇴골부와 경골부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플라스틱 베어링으로 대퇴골 치환물이 관절 운동할 수 있도록 기능함 | ||
슬개골 치환물 |
|
슬개골 치환물은 슬개-대퇴 관절면을 치환하여 무릎을 굽히고 펴는 힘의 전달이 가능하게 함 |
(2)인공고관절
제품군 | 구성품 | 기 능 | ||
---|---|---|---|---|
인공 대퇴 스템 |
|
인공 대퇴 스템은 하부가 대퇴부에 삽입, 고정되어 하중을 지지함. 인공 대퇴 스템의 상부에 인공 대퇴 골두가 결합됨. | ||
인공 대퇴 골두 |
|
인공 대퇴 스템의 상부에 결합되며, 인공 비구 라이너와 볼 & 소켓 메카니즘(Ball & Socket Mechanism)을 형성하여 인공 관절을 구현. | ||
인공 비구 라이너 |
|
인공 비구 컵의 내부에 결합되며, 인공 대퇴 골두와 볼 & 소켓 메커니즘(Ball & Socket Mechanism)을 형성하여 인공 관절 운동을 구현. | ||
인공 비구 컵 |
|
인공 비구 컵은 골반의 비구부에 결합됨. 내부에 인공 비구 라이너가 삽입됨 | ||
골 고정 나사 |
|
인공 비구 컵의 나사 홀을 통해 골반부에 고정됨. 인공 비구 컵의 고정력을 강화함. |
*인공관절의 적용부위는 아래와 같다.
*코렌텍의 주요 제품 등의 현황
품 목 | 생산(판매) 개시일 | 주요상표 | 매출액(비율) | 제 품 설 명 |
---|---|---|---|---|
인공고관절 | 2007.01 | BENCOX | 3,355 (45.3%) | 하기 (1) 참조 |
인공슬관절 | 2011.01 | LOSPA | 3,843 (51.9%) | 하기 (2) 참조 |
척추고정체 | 2008.01 | LOSPA IS | 152 (2.1%) | 하기 (3) 참조 |
*시장 점유율
인공관절 산업의 세계 시장점유율 현황은 미국의 Zimmer, DePuy, Stryker, Biomet 등4개사와 영국의 Smith&Nephew 의 5개 업체가 90%를 장악하고 있다. 코렌텍은 여기서 기타에 들어갈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업체명 | Zimmer | DePuy | Stryker | Biomet | Smith & Nephew |
기타 |
---|---|---|---|---|---|---|
점유율 | 25% | 21% | 20% | 12% | 12% | 10% |
국적 | 미국 | 미국 | 미국 | 미국 | 영국 | - |
국내고관절 점유율은 다르다. 국내는 1위다.
@신규사업 분야
해외 시장을 타겟으로 2012년 7월 새롭게 인공견관절 개발에 착수했다. ![]()
|
@관계사 현황
미국법인(100%)
인스텍(27%)--금속 3d프린터의 강자
@투자참고사항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코렌텍은 주가가 좀 날린다고 할까 그래서 예전에 매매했던 한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관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보감사함니다ᆞ
감사
좋으너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장기이평선까지 수렴하는 모습이 좋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 등어가서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성투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