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블로그>이 세대가 가기 전에 | 예레미야
원문
http://blog.naver.com/esedae/223212907109
>>삼성의 절대반지 '갤럭시 링' 내년 1월 베일 벗나
해외 유명 팁스터, 갤S24 언팩 행사서 '갤럭시 링' 발표 가능성 제기
"갤S24 능가하는 제품…삼성도 기대감 높아"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이르면 내년 1월 삼성전자가 건강관리 기능을 갖춘 웨어러블 신제품 '갤럭시 링'을 공개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2일 해외 IT매체 GSM아레나에 따르면 해외 유명 팁스터(정보 유출자) '아이스유니버스'는 내년 갤럭시S24 시리즈 공개 행사에서 갤럭시 링 발표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갤럭시S24 시리즈를 능가하는 제품이 될 것"이라며 "삼성도 이 제품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다.
공개 시기를 1월로 예상한 것은 삼성전자의 언팩 시기와 맞물린다. 삼성전자는 대개 2월에 갤럭시S 시리즈 언팩을 열었는데, 1월에 개최한 바 있어 예상보다 일찍 공개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다만 출시 시기가 갤럭시S24와 같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삼성전자가 대량 생산을 시작할 준비를 갖췄지만 건강 관리 기록을 활용하는 제품인 만큼 관련 규제를 받아야 해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갤럭시 링은 '갤럭시 워치'의 건강 관리 기능을 통합하지만 시계 기능은 갖추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디스플레이 탑재 여부도 확실치 않다고 했다.
갤럭시 링은 반지처럼 작고 눈에 잘 띄는 형태인 만큼 일반적인 시계 디자인을 선호하지 않거나 시계 착용을 싫어하는 이들에게 호응을 얻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아이스유니버스는 갤럭시 링이 반지 모양의 스마트 기기 이상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했다.
* 내년 1월에 ‘절대반지’로 소개하고 있는 삼성의 갤럭시 링이 출시될 것이라는 기사를 접하면서 제일 먼저 드는 의문이 과연 현시점에서 스마트링이 왜 필요할까? 라는 생각이다.
‘갤럭시 워치’처럼 건강 관리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선전하지만, 시계의 기능도 없고, 모니터링 된 내용을 확인할 디스플레이도 장착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데, 이럴거면 그냥 스마트 시계를 차고 다니는 것이 맞다고 보기 때문이다.
위의 기사에서는 소개하고 있지 않지만, 24시간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작은 크기를 장점으로 내세우는 ‘스마트 링(절대반지?)’은 주로 삼성페이와 같은 디지털 화폐의 결제수단이나, 주민등록과 같은 인증의 수단 그리고 자동차나 집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거는 스마트키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이미 몸안에 삽입하는 베리칩으로도 수행이 가능한 기능들인 것이다.
결국 손가락에 끼고 24시간 착용하는 스마트링은 몸 안에 이식하여 똑같은 기능을 감당하는 베리칩의 편의성을 홍보하기 위한 도구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갤럭시 링에 ‘절대반지’라는 별명을 지어준 것은, 물건을 사고팔고, 신분을 증명하고, 내 차와 집의 문을 여는데 사용될 이 반지는 ‘절대로’ 잃어버려서는 안되는 물건이라는 역설적인 의미가 담겨져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바로 이런 이유를 들어 그 다음엔 ‘절대로’ 잃어버릴 염려가 없는 칩을 몸 안에 삽입하자는 주장을 하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 예레미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