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름 88
다운로드 #1 85256.jpg (37.7 KB), Download : 0
제 목 중국 군벌정치(1916~1928)
군벌정치란 1916년 원세개의 사후, 북경정부가 군벌 및 이와 결탁한 관료집단에 의해 무단적으로 장악되는것을 말한다. 이는 중국 국민당의 1928년 북벌 완성까지 지속되었다
군벌이란
1, 개인속성의 무력- 일반적으로 무력은 국가가 대내외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나 군벌은 무력을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사용한다
2. 지역적 기반의 근거 -개인이 조직, 양성한 사적 군대를 가지고 일정한 지역을 통제한다
3. 중앙정부와의 관계- 군벌은 중앙정부 밖에서 완전한 독립되어 있는것이 아니라 중앙정부가 부여한 관직이나 계급을 그대로 부유한제 중앙정부에 복종, 또는 반발하는 집단.
등으로 정의된다.
1916년 중국에는 남과북의 두개의 세력으로 분열되어 있었는데, 먼저 북양군벌이 지배하는 북경정부와 손문을 중심으로 하는 광주정부가 그것이다. 북양군벌은 북양대신이었던 원세개에 의해 형성된 군벌을 통팅하며 지역기반에 따라 그게 환계(안휘파)와 직계(직예파)로 구분된다,
북양군벌의 이 두 파는 만주군벌인 봉파(봉천파)와 1928년 국민당군의 북벌로 봉천파가 동북으로 후퇴할때까지 북경정부의 실권을 장악 하였으며 . 이점에서 이들을 정권군벌로 구분된다.
*중화민국 초기 군벌의 분포
환계(안휘파) - 산서 섬서 내몽고 복건 절강 호남 산동 안휘 - 단기서, 노영상
직계 - 하북 하남 호북 강서 강소 -풍옥상 오패부 손전방
봉계 - 동북 3성 -장작림
풍계 - 녕하 감숙 섬서일부 -풍옥상
염계 - 산서 - 염석산
전계 - 운남 - 당계요
계계 - 광서 광동 - 진형명.육영정
천계 - 사천
*주요전쟁
안직 전쟁 -북양군벌중 미국과 영국을 대표한 직예와, 일본의 지지를 받은 안휘가 2대 세력권을 이루었다. 이 두파의 대립은 1920년 5월 오패부의 북상으로 해서 격화하였고, 7월 14일에는 양파 군대 간의 충돌로 발전하였으며, 4일간의 싸움 끝에 직예파가 승리.
제1차 봉직전쟁 - 동북(만주)에서 일본 세력을 배경으로 병권을 잡은 장작림은, 안직전쟁 뒤 직예를 지지하며 산해관 남부로 진입, 영국 ·미국 세력을 배경으로 가진 직예와 대립. 1922년 4월 경한선(京漢線) 연선을 중심으로 양파가 전투를 벌였는데 봉천파는 패하여 동북지방으로 후퇴.
제2차 봉직전쟁 - 1924년 봉천파는 직예파에게 재차 도전, 직예파의 풍옥상이 배반하여 봉천파와 연합함으로써 봉천파는 북경 진출에 성공. 직예파의 오패부는 는 하남성으로 후퇴하고, 대총통 조곤은 사임. 장작림은 원수부를 조직하고 북경정권을 장악
*북벌개시 직전 주요군벌의 세력 분포
직계(오패부)- 호북 하남 하북 -20만
직계(손전방)- 강소 절강 안휘 복건 강서 -20만
봉계- 동북 3성. 산동 - 35만
풍계-영하 감숙 감서 - 10만
염계- 산서-12만
전계-운남-6만
천계-사천-30만
국민혁명군- 광동 광서- 10만
IP Address : 124.111.72.125
ehf 좋은 글이야 211.219.164.33 2006/11/20 x
. 원출처좀 밝혀주3. 이시대도 재미있는 시대지. 예네들이 예전처럼 군웅할거를 못했다는 것 하나만으로 역사가 얼마나 변했는지를 느꼈는데... 86.139.239.110 2006/11/20 x
진구 중국이 몇몇 야심가의 손에서 움직이게 놔두기에는 중국인민의 의식이 발전했다는 증거였을까? 222.108.240.223 2006/11/2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