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펜터스는 싱어인 karen capenter와 동생인 richard capenter 의 남매로 이루어진 그룹입니다. 카펜터스의 시작은 원래 1960대 후반 3인조 밴드로 출발하면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68년 베이시스트인 jacobs가 탈퇴하고, 곧바로 richard의 친구가 들어오지만 그역시 얼마지나지 않아 탈퇴하게 되며 이때부터 본격적인 남매 듀오로서 활동을 하게됩니다.
69년 The capenters 라는 이름으로 첫 앨범인 Ticket to ride 를 발표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합니다. 그후 70년에 발표된 Close to you라는 앨범으로 성공을 거두죠. 특히 동명타이틀곡인 close to you 는 이들에게 첫 No.1 곡이 되며, 이 앨범을 통해 Grammy에서 2개부문을 수상하게 됩니다.
1970년부터 75년 까지 이들은 수많은 히트곡들을 쏟아내며 전성기를 구가합니다. 하지만 75년 발표한 앨범 Horizon 이후 이들은 쇠퇴하기 시작합니다. richard는 마약에 빠져 78년부터 치료에들어갔고, karen역시 지나친 다이어트로 거식증에 걸리게 됩니다. karen은 79년 솔로앨범인 phil ramone 를 발표하지만 실패로 돌아가고 맙니다.
81년에 이들은 다시 앨범 touch me when we're dancing 들 발표 차트16위까지 올라가며 활동을 재개 하지만 Made in america 라는 앨범을 끝으로 83년 karen은 끝내 거식증으로 인한 심장이상으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좀더 자세한 프로필
1945년생 리처드 카펜터는 12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고 가족 전체가 다우니로 이사온 뒤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에 다니면서 대중 음악 이론을 전공했다.
5살 연하인 여동생 카렌 역시 고교 시절 피아노와 노래에 열중했지만 동시에 드럼에 매혹되어 스틱을 잡고 드럼 주자를 꿈꾸기도 했다.
1965년 카렌의 나이 15살 때 카펜터 남매는 친구 웨스 제이콥스를 끌어들여 재즈 트리오를 결성, 할리우드에서 개최된 밴드 콘테스트에서 당당히 우승을 차지해 RCA레코드사 직원인 닐리 플럼브의 눈에 띄었고 곧바로 그 회사와 레코딩 계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싱글 두 장을 녹음했으나 회사측이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아 그 곡들은 발표되지 않았고 아티스트 명부에서도 제외되는 수모를 겪는다. 제이콥스가 줄리어드에서 공부하기 위해 그룹을 떠나게 되자 리처드 카펜터는 다시 6인조 그룹 스펙트럼(Spectrum)을 조직하여 레코드 제작을 위한 '데모 테이프'를 만들지만 그것은 번번이 거절당했고 그룹도 해산될 위기에 처한다.
비운은 계속되었지만 리처드는 자신의 재능을 확신했고, 다시 만든 데모 테이프를 거절한 A&M레코드사로부터 비록 스펙트럼은 퇴짜맞았지만 두 남매만은 구제되는 행운을 얻는다.
이때 그들을 픽업한 인물이 '이 녀석이 너와 사랑에 빠졌어(This guy's in love with you)' '상승(Rise)' 등의 빅 히트곡을 낸, 그 유명한 트럼펫 주자이며 제리 모스와 함께 A&M의 공동 소유주인 허브 앨퍼트(Herb Alpert)였다.
이리하여 '다우니 듀오'는 첫 앨범 <선사(Offerings)>와 싱글 '승차권'을 냈지만 만족할 만한 실적을 거두지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거물 작곡가인 버트 바카라(Burt Bacharach)가 제리 모스를 찾아와 라디오에서 누군가의 '승차권'을 들었는데 무척 좋다고 얘기했고 그에 따라 리처드는 버트의 요청으로 오래 전 팝송을 재편곡하는 작업에 들어간다.
여기서 찾아낸 곡이 대형 여가수 디온 워윅(Dionne Warwick)이 레코딩했으나 대중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한 '내게 가까이(They long to be-close to you)'였다. 이 곡은 카렌의 목소리에 실려 전미 싱글 차트 1위를 거머쥐었고 이후 발표한 싱글마다 차트 상위권으로 치솟는 '히트 제조기'로서 화려한 다우니 듀오 시대가 펼쳐진다.
1971년 <카펜터스(Carpenters)> 1972년 <너를 위한 노래(A Song For You)> 1973년 <때때로(Now And Then)> 1 975년 <경계선(Horizon)> 등의 앨범은 보통 서너 곡씩 히트 싱글이 터져 나왔고 1974년에 내놓은 싱글 모음집 의 경우는 지금까지 9백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역사상 가장 잘 팔린 앨범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우리나라에서도 그들 노래의 인기는 천정부지로 솟아 '세상의 꼭대기'는 여러 가수가 서로 번안 가요로 내놓았으며 카렌의 목소리를 닮은 국내 가수 이성애가 인기 가수로 각광받기도 했다. 본고장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노래들 '잠발라야(Jambalaya)', '가장무도회(This masquerade)'가 국내에서는 열렬히 애청될 정도였다.
호사다마라고, 성공적인 질주 속에 카렌 카펜터는 과도한 식이요법에 따른 신경성 식욕부전증을 앓게 되었다. 선천적으로 남성에 대한 두려움이 강했던 그녀는 그 공포심을 없애기 위해 무언가를 계속 먹어야 했고 한때는 85kg까지 체중이 불어 이후 먹기를 두려워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이어트에 열중한 나머지 생존에 필요한 영양소 부족으로 심한 경우 목숨마저 앗아가는 일종의 노이로제성 질환인 식욕부전증은 그녀의 불우한 사생활로 더욱 가속화되었다. 카렌은 1980년 부동산업자인 토마스 배리스와 결혼했지만 2년만에 이혼하고 말았다 (불행한 결혼 생활을 예고라고 하듯 카펜터스 시절 그녀가 부른 노래는 대다수가 '보답 받지 못한 사랑'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결혼 실패와 더불어 1970년대 말 기습적으로 찾아든 인기 퇴조는 그녀를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 넣었다. 일반적으로 보아 그녀는 결코 살찐 체질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먹기 거부를 지속했다. 비평가들이 더러 그녀의 식욕부전증을 중산층병으로 내리 깎으며 '중산층의 고통', '자기 중심의 사고가 팽배한 긴장과 갈등의 1970년대 정서가 낳은 대표적 희생자'로 이들에 대해 결론짓는 것도 이 때문이다.
1981년, 4년 만에 카펜터스는 앨범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를 내놓고 재기에 나서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카렌은 1983년 2월 4일 자택에서 식욕부전증에 대한 거식증으로 급작스레 사망했다. 그것으로 카펜터스의 '어제여 다시 한번' 노력도 끝을 맺었고 다우니 듀오 스토리도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카렌의 죽음은 노출시키고 신중하게 대처했더라면 충분히 피할 수 있었던 어처구니없는 비극으로 지적되고 있다. 사고와 행위를 자기 세계에 가둠으로써 잉태시킨, 뜻있는 죽음이 못 된다는 것이 중론이다.
1989년 신시아 깁이 주연한 TV 영화 <카렌 카펜터 스토리>도 만들어지고 히트곡집 앨범 <어제 뿐(Only Yesterday)>이 발매되는 등 카펜터스의 부활은 계속되어 있다. 얼터너티브 록 뮤지션들에 의한 <내가 카펜터라면>으로 그들은 또다시 재평가의 기회를 잡은 상태다. 그러나 찬사가 카펜터스가 아닌 그 앨범에 참여한 후배 록 그룹에 돌아가는 기미가 보여주듯 비평계의 시각은 쉽게 호전될 것 같지는 않다.
Album (앨범)
1969: Offering
1970: Ticket To Ride
1970, Sep 26: Close To You
1971: Bless The Beasts And The Children (Original Soundtrack)
1971, Jun 5: Carpenters
1972, Jul 8: A Song For You
1973, Jun 9: Now And Then
1973, Dec 8: The Singles 1969-1973
1974: Live In Japan (Japan only)
1975, Jun 28: Horizon
1976, Jul 31: A Kind Of Hush
1976: Live At The Palladium
1977: Passage
1978: The Singles 1974-1978
1978: Christmas Portrait
1981: Made In America
1983: Voice Of The Heart
1984: An Old-Fashioned Christmas
1984: Christmas Portrait
1985: Yesterday Once More
1987: Time (Richard Carpenter solo)
1987: A&M Classics Vol. 2
1989: Lovelines
1989: Anthology (Japan only)
1990: Carpenters: The Compact Disc Collection
1990: Only Yesterday
1991: From The Top (4 CD Box Set)
1995: Interpretations: A 25th Anniversary Celebration
1995: If I Were A Carpenter (Various Artist Carpenter Tribute Album)
1996, Oct 8: Karen Carpenter (Karen Carpenter solo, recorded in 1979)
1996, Oct 8: Christmas Collection
1997: Carpenters: Their Greatest Hits And Finest Performances / Polygram
1998, January 27: Pianist-Arranger-Composer-Conductor (Richard solo )
1998, March 24: Love Songs
Single (싱글앨범)
1966: "Looking for Love / I'll Be Yours" (Karen Carpenter) Magic Lamp 704
1970, Feb 14: Ticket To Ride / Your Wonderful Parade
1970, Jun 20: (They Long To Be) Close To You / I Kept On Loving You
1970, Sep 12: We've Only Just Begun / All Of My Life
1970: Merry Christmas, Darling / Mr. Guder
1971, Feb 6: For All We Know / Don't Be Afraid
1971, May 15: Rainy Days And Mondays / Saturday
1971, Sep 4: Superstar / Bless The Beasts And Children
1972, Jan 1: Hurting Each Other / Maybe It's You
1972, Apr 29: It's Going To Take Some Time / Flat Baroque
1972, Jul 15: Goodbye To Love / Crystal Lullaby
1973, Jun 2: Yesterday Once More / Road Ode
1973, Oct 6: Top Of The World / Heather
1974, Apr 13: I Won't Last A Day Without You / One Love
1974, Nov 23: Please Mr. Postman / This Masquerade
1974: Santa Claus Is Coming To Town / Merry Christmas, Darling
1975, Mar 29: Only Yesterday / Happy
1975, Aug 2: Solitaire / Love Me For What I Am
1976, Feb 28: There's A Kind Of Hush /Goodbye And I Love You
1976, Jun 12: I Need To Be In Love / Sandy" A&M 1828
1976, Sep 4: Goofus / Boat To Sail" A&M 1859
1976: Merry Christmas Darling
1977, May 21: All You Get From Love Is A Love Song /I Have You" A&M 1940
1977, Oct 8: Calling Occupants Of Interplanetary../Can't Smile Without You
1977: Christmas Song / Merry Christmas, Darling
1978, Feb 4: Sweet, Sweet Smile / I Have You
1978, Dec 9: I Believe You / B'wana, She No Home
1981, Jun 20: Touch Me When We're Dancing
1981, Sep 12: (Want You) Back In My Life Again /Somebody's Been Lyin
1981, Dec 19: Those Good Old Dreams/When It's Gone
1982, Apr 24: Beechwood 4-5789/Two Sides
1983: Make Believe It's Your First Time/Look To Your Dreams
1984: Your Baby Doesn't Love You Anymore/Sailing On The Tide
1984: Little Altar Boy/Do You Hear What I Here?
1986: Honolulu City Lights/I Just Fall In Love Again
1987: Something In Your Eyes" (Richard Carpenter)
1989: If I Had You
|
첫댓글 1970년대에 우리나라 여성들이 애청했던 곡입니다. 저희 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올정도로 유명한 곡이죠. 즐감하세요^^
어디서 많이 들어본것 같다했지 ㅎㅎㅎ 가수도 멋있고 노래도 너무 좋다 ㅎㅎㅎ 수준이 높은데 ㅎㅎㅎ
맞아 내가 소실적에 많이 들어 봤지.솔이가 언제 한번 불러볼래.
헐..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