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01호 서울숭례문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가 29
국보 0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38
국보 03호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04호 고달사지부도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1-1
국보 05호 법주사쌍사자석등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법주사
국보 06호 중원탑평리칠층석탑 -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11
국보 07호 봉선홍경사사적갈비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대홍리 320
국보 08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80-2
국보 09호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79
국보 10호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4 실상사 백장암
국보 11호 미륵사지석탑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사릉(思陵)은 조선 제6대 단종(1452-1455 재위)의 비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다.
조선왕조 500년의 수많은 왕후와 후궁들중에서 가장 한많은 여인을 꼽으라면 우선 단종의 비가 떠오른다.
바로 그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이 남양주시 진건면 사릉리에 있다. 1440년(세종 22년) 여산 송씨인 여량부원군 송현수의 딸로 태어난 정순왕후는 성품이 공손하고 검소해 가히 종묘를 영구히 보존할 수 있는 인물이라 하여 1453년(단종1년) 간택되어, 이듬해에 열다섯살의 어린 나이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고 단종이 상왕의 자리에 오를 때는 의덕대비에 봉해졌다. 하지만 2년 뒤인 1457년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 운동을 문제삼아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에 유배되어 정순왕후가 열여덟 살 때의 일이다. 그렇게 헤어진 젊은 부부는 이후 다시 만나지 못했다.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단종이 사사되었기 때문이다. 궁궐에서 추방당한 정순왕후는 동대문밖 숭인동 산기슭에 초막을 짓고 살았다.
단종의 억울한 죽음을 안 왕후는 아침 저녁 이 산봉우리에 소복하고 올라 단종의 유배지인 동쪽을 향해 통곡을 했는데 곡소리가 산아랫마을까지 들리면 온 마을 여인네들이 땅 한번치고 가슴 한 번을 치는 동정곡을 했다고 전한다.
정순왕후가 동쪽을 향해 통곡했다하여 동망봉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청계천에 있는 영도교에도 단종과 정순왕후의 애절한 사연이 묻어있다. 단종과 정순왕후가 그 다리에서 이별한 후 다시는 못 만났다 하여 사람들이 '영이별다리' 로 불렀는데 그 말이 후세에 와서 "영원히 건너가신 다리"라는 의미로 영도교라 불리어진 것이다. 열여덟에 과부가 된 정순왕후는 초막집에서 시녀 셋과 함께 살며 시녀들이 해오는 동냥으로 끼니를 이었다고 한다.
이 소문을 들은 세조가 그 근처에 영빈전이라는 아담한 집을 짓고 식량을 내렸으나 정순왕후는 끝내 거부했다. 그리고 자줏물 들이는 염색업으로 여생을 때묻히지 않고 살았다 해서 그 골짜기를 지금도 '자줏골'이라고 부른다.
동망봉과 영도교 중간쯤 정순왕후가 살았던 터에 '정업원구기'라는비각이 하나 있는데 그 비각에는 영조가 눈물을 머금고 썼다는 비문이 남아있다. 열 여덟에 과부가 된 송비가 초막을 짓고 살았던 집이 정업원이고, 그 옛터임을 기리고자 세운 비석이다.
또 <한경지략>에 보면 영도교 인근에 부녀자들만 드나드는 금남의 채소시장이 있었다는데, 이 특이한 시장도 송비의 사연에서 유래한다. 송비를 동정한 성 안밖의 부녀자들이 끼니 때마다 푸성귀를 갖다 대주곤 했는데, 푸성귀를 갖다 주려는 사람들이 많아 긴 행렬을 이룰 정도였다고 한다. 궁에서 이를 못하게 말리자 여인들은 지혜를 모아 송비의 초막에서 멀지 않은 곳에 푸성귀를 파는 척 모여들어 몰래 송비에게 갖다주곤 했다. 이것이 여인들만의 시장이 생기게 된 계기라고 전한다.
오랜 세월 사람들의 입을 통해 내려오는 동안 더해지고 보태져 많이 윤색되기는 했겠지만 단종과 이별한 송비의 기구한 운명이 많은 여성들에게 한의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사실인 듯하다.
우리나라 무속신앙으로 전국 각지에서 가장 많이 모셔지고 있는 송씨 부인이 바로 한을 머금고 살다가 죽은 정순왕후일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살아서 많은 여성들을 울리고 죽어서도 토속신이 되어 수백년의 민중의 공감을 얻으며 그들의 한을 위로했다는 말이다. 한많은 일생을 살았던 송비가 1521년 6월 4일 승하하니 춘추 82세였다.
송비는 대군부인의 예우로 양주 남쪽 군장리에 모셔졌다. 후사가 없었으므로 단종의 누님 경혜공주의 시집인 정씨 집안의 묘역에 묻혔다가 그 후 177년이 지난 1698년(숙종 24년) 11월 6일 단종 복위와 더불어 정순왕후로 추복되어, 종묘에 신위가 모셔지고 능호를 사릉이라 했다.
사릉은 서울에서 좀 떨어져 있고 찾아오는 사람이 많지 않아 전체적으로 한적한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능의 높이도 다른 곳에 비해 야트막한 편이고 대군부인의 예로 장사 지낸 뒤 후에 왕후의 능으로 추봉되었기 때문에 다른 능들에 비해 조촐하게 꾸며졌다.
병풍석과 난간석 모두를 생략한 채 봉분이 솟아 있으며, 석양과 석호도 각각 한 쌍씩만 봉분 주위를 둘러 싸고 있다. 사악한 것은 피한다는 뜻의 석양은 동물의 왕이 호랑이와 당나라 때부터 대관의 능묘에 수호석수로 설치되었다.
이것이 공민왕. 노국공주의 현정릉에서 본격적으로 받아들여져 조선왕릉의 기본 형식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양과 석호를 두 쌍씩 봉분 주위에 둘러 세우는데 장릉, 사릉처럼 추봉된 경우에는 한 쌍씩만 배치하여 차등을 두었다. 사람 키만하게 만들어진 문인석은 큰 부채형의 홀이 턱을 치받고 있어 답답한 느낌을 준다. 전체적으로 조촐하고 아담한 분위기의 사릉에는 유난히 많은 소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다른 능·원에 필요한 소나무를 길러내는 양묘장이 있어 1년생부터하늘을 가리는 고목까지 다양한 소나무를 넉넉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며 또한 사릉묘역에는 수십년생 소나무로 둘러싸여 그 소나무 가지들이 단종이 모셔져 있는 강원도 영월 장릉쪽으로 향하고 있다는 정순왕후의 애틋한 그리움을 후세에 전해주고 있는 듯 하다 하여 1984년에는 사릉의 소나무 두그루를 영월 단종능인 장릉에 옮겨 심어 두분의 한맺힌 넋을 풀어주기도 하였다.
광해군(光海君墓:1575-1641)은 조선 제15대 왕으로 선조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혼(琿)이다. 광해군은 1608년 34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재위 15년간 정치적 문제에 휘말리다가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어 군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강화를 거쳐 제주에서 유배생활을 하다 67세의 일기로 타계 하였다.
광해군은 뒷날 반정주도세력이 조선후기 집권층의 주류로 확고하게 위치를 굳힘에 따라 오랫동안 폭군으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나 근래에는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었다고 보는 시각이 등장하여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실제로 인조반정은 서인세력이 폐모살제라는 윤리문제와 대명의리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거국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하였다. 광해군은 임진왜란으로 황폐화된 상황에서 전후 복구노력을 기울이고 명(明)과 후금(後金) 사이에서 실리를 위주로 한 중립외교를 통해 국익을 지켰으며 대동법과 같은 중요한 개혁정책을 실시한 국가 재조(再造)의 군주로 평가할 수 있다.
광해군은 실각은 조선후기 사회에 정치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는데 대청(對淸) 강경노선이 지속되고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가 전개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광해군 묘역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와 쌍분으로 되어 있으며 왕자군(王子君)의 장례에 준하였기 때문에 석물이 없이 간소하게 되어있다.
3면의 곡장 안에는 상석, 장명등, 향로석,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이 있다. 특히 묘표 2기의 관석(冠石) 부분 앞뒤에 각기 일월상(日月像)이 조각되어 있어 이채롭다
성 묘(成墓)는 조선 14대 왕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묘이다.
공빈 김씨는 사도시 첨정(司導時僉正)을 지낸 김희철(金希哲)의 딸로 선조 7년(1574)에 광해군을 낳았으며 광해군이 세 살 때 사망하였다. 선조의 뒤를 이어 광해군이 즉위하자 추숭하여 자숙단인공성왕후(慈淑端仁恭聖王后)로 삼고 전호(殿號)를 봉자(奉慈)라 하였다.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공빈도 함께 서인으로 강등되었고 능호(陵號)도 성릉(成陵)에서 성묘(成墓)로 바뀌게 되었다.
현재의 묘역은 3면에 곡장이 둘러져 있으며 봉분 주위에는 난간석이 둘러져 있다. 봉분 주위 양쪽에는 해태와 양석이 각각 2개씩 있고, 봉분 앞에는 상석, 망주석, 문인석, 장명등, 무인석, 마석이 배치되어 있다.
안빈 묘(安嬪墓)는 조선 제17대 왕 효종(孝宗)의 후궁 안빈 이씨의 묘이다.
안빈 이씨는 공조참의에 추증된 이응헌(李應憲)의 딸로 인조 1년(1623)에 출생하여 궁궐에 들어갔으며 숙녕옹주(淑寧翁主)를 낳았다. 병자호란 후 봉림대군(효종)과 함께 청나라 심양으로 끌려 갔다가 1645년에 귀국하였다. 숙종 19년(1693)에 사망하여 안빈(安嬪)으로 진호되었다.
묘역은 화강석 기단을 두고 곡장을 둘렀으며 봉분은 병풍석이 생략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볼 때 조촐한 묘제를 취하고 있다. 상석 앞 양 측면에는 면류관을 쓴 높이 98㎝의 동자석이 세워져 있는 점이 특이하다. 그리고 그 앞에는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각 1쌍씩 있다. 문인석과 문인석 사이의 중앙에는 장명등이 있다.
국보 12호 화엄사각황전앞석등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국보 13호 무위사극락전 전라남도 -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74 무위사
국보 14호 은해사거조암영산전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 은해사 거조암
국보 15호 봉정사극락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봉정사
국보 16호 안동신세동칠층전탑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8-1
국보 17호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국보 18호 부석사무량수전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국보 19호 부석사조사당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국보 20호 불국사다보탑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국보 21호 불국사삼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국보 24호 석굴암석굴 경상북도 - 경주시 진현동 891 석굴암
국보 25호 신라태종무열왕릉비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844-1
국보 28호 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보관
국보 29호 성덕대왕신종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국보 31호 경주첨성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839-1
국보 33호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
국보 34호 창녕술정리동삼층석탑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 120
국보 35호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국보 36호 상원사동종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상원사
국보 37호 경주구황리삼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103
국보 38호 고선사지삼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국보 39호 월성나원리오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견곡면 나원리 672
국보 40호 정혜사지십삼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
국보 41호 용두사지철당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48-19
국보 42호 목조삼존불감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성보박물관
국보 43호 고려고종제서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성보박물관
국보 44호 보림사삼층석탑및석등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국보 47호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
국보 48호 월정사팔각구층석탑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월정사
국보 49호 수덕사대웅전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 수덕사
국보 50호 도갑사해탈문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도갑사
국보 51호 강릉객사문 -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 58-1
국보 52호 해인사장경판전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국보 53호 연곡사동부도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 연곡사
국보 54호 연곡사북부도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 연곡사
국보 55호 법주사팔상전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법주사
국보 56호 송광사국사전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국보 57호 쌍봉사철감선사탑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 쌍봉사
국보 58호 장곡사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5 장곡사
국보 59호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74-2
국보 62호 금산사미륵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금산사
국보 67호 화엄사각황전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국보 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국보 70호 훈민정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국보 73호 금동삼존불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국보 77호 의성탑리오층석탑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 1383-1
국보 79호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0호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1호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2호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
국보 86호 경천사십층석탑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경복궁
국보 87호 금관총금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국보 99호 갈항사삼층석탑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경복궁
국보 100호 남계원칠층석탑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보물 01호 서울흥인지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 69
보물 02호 서울보신각종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1-57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03호 대원각사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38 탑골공원
보물 04호 중초사지당간지주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보물 0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귀부및이수 -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7-3
보물 09호 서봉사현오국사탑비 -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신봉리 산111
보물 10호 강화하점면오층석탑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산193
보물 12호 광주춘궁리오층석탑 -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466
보물 14호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13-1
보물 15호 법주사사천왕석등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법주사
보물 16호 억정사대지국사비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360
보물 17호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1
보물 18호 정산서정리구층석탑 -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
보물 24호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금산사
보물 28호 금산사당간지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금산사
보물 30호 만복사지오층석탑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481
보물 32호 만복사지당간지주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537-1
보물 33호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35호 실상사석등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36호 실상사부도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38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40호 실상사백장암석등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실상사 백장암
보물 41호 실상사철제여래좌상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보물 42호 용담사지석불입상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292
보물 45호 익산연동리석불좌상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 산220-2
보물 46호 익산고도리석불입상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400-2
보물 48호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9 대흥사
보물 49호 나주동문외석당간 - 전라남도 나주시 성북동 108-1
보물 50호 나주북문외삼층석탑 - 전라남도 나주시 과원동 109-5
보물 51호 문경내화리삼층석탑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 48
보물 52호 봉화서동리삼층석탑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104
보물 53호 개심사지오층석탑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200
보물 54호 고령지산동당간지주 -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4-2
보물 55호 봉정사대웅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봉정사
보물 56호 안동동부동오층전탑 -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 231
보물 57호 안동조탑동오층전탑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139
보물 58호 안동안기동석불좌상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152-13
보물 59호 숙수사지당간지주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8
보물 60호 영주리석불입상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15
보물 62호 경주서악리마애석불상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92-1
보물 63호 경주배리석불입상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65-1
보물 64호 경주보문리석조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금당평 848
보물 65호 경주서악리삼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92-1
보물 66호 경주석빙고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449-1
보물 67호 경주효현리삼층석탑 -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420
보물 68호 경주황남리효자손시양정려비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209와227의중간도로
보물 69호 망덕사지당간지주 -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964
보물 70호 경주서악리귀부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1006
보물 71호 함안대산리석불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 1139
보물 72호 단속사지동삼층석탑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333
보물 73호 단속사지서삼층석탑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333
보물 74호 통도사국장생석표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718-1
보물 75호 창녕송현동석불좌상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105-4
보물 76호 춘천근화동당간지주 -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 793-1
보물 77호 춘천칠층석탑 - 강원도 춘천시 소양로2가 162-2
보물 80호 홍천희망리당간지주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376-20
보물 81호 한송사지석불상 -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립박물관
보물 82호 강릉대창리당간지주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333
보물 83호 강릉수문리당간지주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43-9
보물 84호 신복사지석불좌상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403-2
보물 85호 굴산사지부도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731
보물 86호 굴산사지당간지주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1181
보물 87호 신복사지삼층석탑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403-2
보물 88호 탑산사동종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대흥사
보물 89호 도갑사석조여래좌상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도갑사
보물 91호 여주창리삼층석탑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창리 136-6
보물 93호 파주용미리석불입상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8
보물 94호 사자빈신사지석탑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1002
보물 95호 괴산미륵리오층석탑 - 충청북도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6
보물 96호 괴산미륵리석불입상 - 충청북도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보물 97호 괴산원풍리마애불좌상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1
보물 98호 충주철불좌상 - 충청북도 충주시 지현동 269 대원사
보물 99호 천흥사지당간지주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234
보물 100호 안국사지석불입상 - 충청남도 당진군 정미면 수당리 산102-1
[사적]
사적 01호 경주포석정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454-3
사적 02호 김해봉황동유적 -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 253번지외
사적 03호 화성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사적 04호 부여성흥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사적 05호 부여부소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4
사적 06호 황룡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20-1
사적 07호 망덕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956
사적 10호 서울성곽 -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산1-3외
사적 11호 광주풍납리토성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72-1외
사적 12호 공주공산성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 2외
사적 13호 공주송산리고분군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산5-1
사적 14호 부여능산리고분군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5
사적 15호 경주흥륜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사정동 281-1
사적 16호 경주월성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387-1
사적 17호 경주남고루 -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21-1외 77필
사적 18호 경주임해전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26
사적 19호 경주계림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
사적 20호 신라무열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842
사적 21호 김유신묘 -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산7-1
사적 23호 신라경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산8
사적 24호 신라진덕여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견곡면 오류리 산48
사적 25호 경주부산성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산195
사적 26호 경주괘릉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 산17
사적 27호 경주구정리방형분 - 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 산41
사적 28호 신라성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 산8
사적 29호 신라헌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80
사적 30호 신라흥덕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사적 31호 경주감은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1
사적 32호 독립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1
사적 33호 영은문주초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5
사적 34호 부여청마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1
사적 37호 오대산사고지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사적 38호 경주노동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261
사적 39호 경주노서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104
사적 40호 경주황남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6-1
사적 41호 경주황오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102-3
사적 42호 경주인왕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669-1
사적 43호 경주금척리고분군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192-1
사적 44호 부여군수리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19
사적 46호 경주원원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2
사적 55호 소수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
사적 56호 행주산성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산26
사적 57호 남한산성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산1
사적 58호 부여나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 565
사적 59호 부여청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
사적 61호 고령주산성 -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중화리 산3외 29필
사적 68호 강진대구면도요지 -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산4외
사적 71호 성산사부동도요지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사부동 산16
사적 72호 성산기산동도요지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산동 산81
사적 73호 수로왕릉 - 경상남도 김해시 서상동 312
사적 74호 수로왕비릉 -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120
사적 79호 고령지산동고분군 -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산8
사적 80호 창녕교동고분군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129
사적 83호 선잠단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64-1
사적 85호 함안말산리고분군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325-2
사적 87호 익산쌍릉 -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 산55, 산56
사적 92호 익산토성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50-3
사적 96호 경주읍성 - 경상북도 경주시 북부동 1
사적 99호 부여쌍북리요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30
다 못 찾겠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이쯤에서 종합적으로 결론 내리고자 합니다.
국보:(국보 제1호 숭례문)
보물:(보물 제1호 흥인지문)
중요무형 문화재:(중요 무형 문화재 제1호 종묘 제례악)
사적:(사적 제1호 경주 포석정지)
사적 및 명승<-이건 뭔지모르겠어욤:(사적 및 명승 제1호 경주 불국사 경내)
명승:(명승 제1호 명주 청학동 소금강)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1호 달성 측백수림)
중요민속자료:(중요민속자료 제1호 덕온공주 당의)
첫댓글 주글래? ㅡㅡ^
이..게..뭣?? 너 이거 복사만 햇지?? 엄청 짜증나는 글이네..ㅡ0ㅡ
ㅎㅎ
야 너 네이버 에서 빼꼈지?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