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뿔'이라고 불리는 소말리아는
1960년 영국령이었던 소말린란드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가
합병하여 독립함으로써 탄생한 공화국입니다.
1969년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장군이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뒤
22년간 독재정권이 유지됐습니다.
1991년 군벌 아이디드가 바레 장군에게 반기를 들고 내전을 시작합니다.
수도 모가디슈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앙 도로를 경계로
군벌들이 대립하며 서로 총질을 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됩니다.
지금까지 과도 정부와 반군 세력간의 대립이 계속되면서
무정부 상태의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소말리아 해적은 이 내전에서 활동을 시작한 군벌 민병대의 또다른 모습입니다.
끊임없는 내전으로 굶주린 주민들이 내전 중에 사용했던 무기를 들고
해적질을 하기 시작한 것이 아덴만의 소말리아 해적의 본질입니다.


1993년 소말리아에 들어갈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때 보았던 소말리아의 모습은 지금도 기억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데
오랜 내전으로 소말리아 주민들의 삶은 대부분 난민 수준이었습니다.
척박한 땅에 나뭇가지로 얽기설기 엮어 만든 오두막이 이들의 터전입니다.
어른들의 명분없는 싸움에 고통받는 것은 항상 어린이들입니다.
2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이들의 삶이 좀더 나아졌으리라고는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인 듯 합니다.



모가디슈 공항 근처의 비행기 무덤.
오랜 전쟁의 소모품들이었습니다.


모가디슈의 난민촌

동쪽으로 인도양과 맞닿아 있는 소말리아는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거나 사막화가 진행되는 척박한 땅입니다.

소말리아 모가디슈에서는 평상시에도 주민들이 총을 휴대합니다.







소말리아의 내전이 격화되면서 기아와 난민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군벌과 민병대들이 민간인을 학살하는 사태로 번지자
유엔은 소말리아에 국제평화유지군(PKO)을 파병하기로 결정합니다.
한국군도 건설공병대대인 상록수 부대를
소말리아에 파병해 파괴된 소말리아 재건에 나서게 됩니다.
한국군 최초의 평화유지군이었습니다.

상록수 부대는 주변에 흩어져 살고있는 소말리아 어린이들을
부대안 천막 학교에 모아놓고 한글도 가르치고 노래도 같이 불렀습니다.
신이 난 소말리아 어린이들이 율동을 하며 '산토끼'를 부르는 모습입니다.
수업이 끝나고 받는 건빵 한 봉지를 위해서 이 어린이들은
한 나절을 걸어서 한국군 부대를 찾아왔습니다.

아덴만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끌려가던 삼호 주얼리호와 선원들이
청해부대의 성공적인 구출작전으로 무사히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협상을 통해 인질로 잡힌 선원들이 돌아올 수도 있었겠지만
매번 돈거래를 통한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면
날로 해적들의 약탈의 표적이 될 것이고
그때마다 좌절과 무기력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용기와 결단력으로 국가적인 중대한 순간을 넘긴 우리나라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동계아시안게임] 이상화·모태범 어쩌다…
빙속 500m에서 3위·5위 그쳐… 스키 김선주는 한국 첫 2관왕
쇼트트랙 남녀 500m 노 메달
1일 동계 아시안게임 스피드스케이팅 남녀 500m가 열린 아스타나 실내스케이트장. 장내 아나운서는
모태범과
이상화를 소개하며 '
밴쿠버 올림픽 골드 메달리스트'란 수식어를 붙였다. 하지만 밴쿠버에서 '스피드 코리아'의 위용을 과시한 주인공들은 불과 1년 만에 아시아 정상에서도 밀려났다.
한국 스피드스케이팅이 간판 종목인 남녀 500m에서 은1·동1에 그쳤다. 여자 500m의 이상화는
중국의 위징과 왕베이싱에 밀려 동메달에 머물렀다. 위징은 1차 시기에서 출전선수 중 유일하게 37초대(37초85)를 끊는 등 월등한 스피드를 보였다. 위징이 1·2차 시기 합계 76초09의 아시아 신기록으로 포효하는 동안 76초58에 그친 이상화는 고개를 숙였다.
- ▲ (사진 왼쪽)아킬레스건 부상에 시달리던 모태범은 500m 5위에 그쳤다. (사진 오른쪽)레이스를 마친 뒤 힘겨운 표정으로 기록을 확인하는 이상화. /연합뉴스
여자부에서 중국에 밀린 한국은 남자부에선
일본에 당했다. 가토 조지가 아시아 신기록(70초00)을 쓰며 2007 창춘대회 챔피언
이강석(70초35)을 2위로 밀어냈다. 아킬레스건 부상에 시달린 모태범은 5위(70초97)라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한국의 대회 첫 2관왕은 예상을 깨고 여자 알파인 스키에서 나왔다. 김선주(26)가 여자 알파인 스키 수퍼대회전 경기에서 1분10초83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 ▲ 김선주가 1일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게임 여자 알파인 스키 수퍼대회전에 출전해 빠르게 기문을 통과하고 있다. 김선주는 1분10초83으로 우승하며 한국팀 최초로 2관왕에 올랐다. /연합뉴스
31일 공식 경기에서 처음 탄 활강에서 깜짝 금메달을 따낸 김선주는 이날도 카자흐스탄의 페도토바를 제치고 시상대 맨 위에 올랐다. 스키 2관왕은 1999년 강원대회에서 허승욱이 회전과 수퍼대회전에서 금메달을 따낸 이후 12년 만에 나왔다. 정혜미가 1분12초31로 동메달을 추가했다.
김선주는 지난해 국내 여자 스키선수로는 처음 FIS(국제스키연맹) 포인트로 올림픽 진출권을 자력으로 따낸 간판 스키어다. 밴쿠버올림픽에선 회전 46위, 대회전 49위를 기록했다. 고질적인 무릎 부상에 한때 은퇴까지 생각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절정의 기량을 뽐냈다.
타마카와에서 눈을 즐기는 사람들
눈노래 (유야케 고야케) 일본동요 연주
▼ 일본 아키타의 타마카와온천(玉川溫泉) 마당에서 밖으로 통하는 눈길

▼ 온천 건물 지붕에도 2m 가량의 눈이 쌓였다

▼ 눈이 녹아 내리면서 얼어붙은 고드럼

▼ 온천 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제설용 브로도져

▼ 바닥의 눈을 끍어 굴뚝같은 배설(排雪)통을 통해 멀리 날려 보내는 제설차

▼ 스노우 모터사이클

▼ 눈길에도 잘 달릴 수 있는 스노우카 *바퀴가 탱크의 원리를 적용

▼ 우리는 타마카와온천을 나오다가 삼거리 길에서 차를 잠시 정차시키고.....

▼ 전원이 하차하여 설벽(雪壁)과 대화하면서 눈도장(雪印)도 찍었다

▼ 타마카와온천 전용 탱크바퀴형 설상승합차

▼ 타마카와(玉川)온천 소속 삼각바퀴형 설상차도 지나간다

▼ 설벽 사이로 스노우체인도 장착 않은 차들이 지나가고 있다

▼ 눈세상을 거침없이 달리는 아키타의 차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