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로폰은 길이나 두께를 달리하여 조율된 단단한 나무 막대 음판들을 피아노 건반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하고 그 음판 아래에 금속 공명관을 부착한 것입니다.
1) 실로폰의 구조
음판은 대개 장미나무로 만들어지며 금속 공명관은 소리의 음질을 높여 주고 소리의 진동을 지속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두 개의 딱딱한 채를 사용하며, 화음을 내기 위해서는 3개 또는 4개의 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실로폰에 있어서 채는 음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부드러운 음색으로부터 딱딱하고 맑은 소리에 이르기까지 어떤 종류의 채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2) 실로폰의 역사
명칭은 그리스어의 '나무소리'란 뜻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실로폰은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아주 오랜 옛날부터 존재하였는데, 15세기경에 아시아의 자바 지방으로부터 온음계의 실로폰이 유럽으로 전래되었습니다.
17세기에서 18세기에 발전되었던 건반식 실로폰은 건반에 헴머를 부착시킨 것으로 채 대신 피아노 건반에 의해 조작되는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쉽게 연주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화음을 동시에 울릴 수 있는 장점도 있으나, 채를 사용하는 실로폰보다는 덜 아름다우며 음색이 제한되어있고, 트레몰로의 탁월한 효과가 불가능하다는 약점으로 오늘날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1903년에 오르프(C.Orff)의 제안으로 마엔들러가 큰 통으로 된 장방형의 실로폰을 만들었고 미국에서는 특별한 재즈 연주를 위하여 매우 두꺼운 나무 토막으로 실로폰을 만들어 음의 강도를 크게 한 것도 있습니다.
2.실로폰(XYLOPHONE)
실로폰은 여러 개의 나무 조각을 가지고 피아노 건반과
같은 모형으로 각 건반에 해당하는 음을 조율하여 나열한
것이다.
최근의 악기는 나무 조각(판)의 밑에 수직으로 공명판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조각은 편편한 것도 있고 둥근 것도
있다. 실음은 기보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소리가 나는데 높
은 음의 경우에는 소리가 연약해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렵다.
대개는 두 개의 채를 사용하며, 화음을 연주할 때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채를 사용하기도 한다. 음질은 표정이 없는
메마른 소리가 나고 공명도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오직
ROLL주법에 의해서만 음향을 길게 끌 수 있기 때문에, 그
음은 짧고 단편적이다. 따라서 느리고 감상적인 음악에는
어울리지 못하고, 빠른 음형으로 음계, 펼침화음, ROLL과
같은 반복음에 어울린다.
실로폰은 독주악기로서 오케스트라에서 리듬, 다이내믹,
색채감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일반적으로 메마른 효과를
주지만, 어떤 경우는 선율의 흐름에 밝은 기운을 불어넣기
도 한다. 대개는 흰 건반만 연주하는 것이 어려운 반면, 흰
건반과 검은 건반을 섞어 연주하는 것은 쉬운 편이다. 다양
한 크기로 만들기 때문에, 한마디로 음역을 규정하기는 어
렵지만 F음까지 내려가는 것도 있다.
실로폰의 음향에서 중요한 것은 채로, 사용된 재료에 따
라 음향이 틀리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강도의 고무와 딱딱
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