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중봉기 - 작가 연대미상 민근홍 언어마을 ■ 핵심 정리 ◦ 성격 : 영웅소설, 송사소설, 가문소설 ◦ 주제 : 어이없는 오해가 빚은 인간사의 희비
■ 줄거리 선옥의 조부 김완국이 간신의 모함을 받아 적소로 떠나 죽고 가족들은 고향 안동으로 낙향한다. 고향에서 지내던 중 선옥은 절에서 수학하게 되는데 집에 몰래 내려와 보니 부인의 침소 사창에 남자의 의관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보고 정처 없이 길을 떠난다. 재산을 탐낸 팔촌 형옥이 선옥과 용모가 비슷한 인물을 데려오니 모두 반기나 선옥의 처만은 가짜임을 간파한다. 이 일을 나라에서 알게 되어 진 어사를 파견한다. 진 어사는 전국을 3년 동안 돌아다닌 끝에 선옥을 찾아내고 사건을 해결한다. 일본이 변경을 침범하자 선옥이 정남도원수로 출정하여 대승을 거둔 후, 조부를 모함한 간신의 죄를 상주하여 제주에 안치시킨다. 이후 김씨 가문은 부귀영달을 누리게 된다.
■ 등장 인물 ◦ 선옥 : 사소한 오해로 인해 집을 등질 만큼 심성이 여린 인물. 고전 소설 주인공으로서 특이한 인물형 ◦ 이씨 부인 : 사리 분별이 정확하고 현명한 인물이다. 시가 가문 전체를 상대로 해서도 뜻을 굽히지 않을 만큼 지조 있는 여인. ◦ 진어사 : 용의주도하게 사건을 해결하는 인물. ◦ 형옥 : 가짜 선옥을 데려와 진짜라고 우겨 재산을 차지하려는 부정적 인물형.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영웅 일대기의 구조적 원형성을 비교적 충실하게 수용하면서, 송사 소설적 특징·열행록적 특징·가문 소설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여주인공 정비가 여러 위험과 고난을 무릅쓰고 왕후가 되는 과정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중국 당나라의 황실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면서 평범한 남성과 달리 초인적인 여성의 성공이 그려진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여성 주인공이, 남성이 감당하지 못하였던 어려운 과업을 성취하고 태자비로까지 상승한 사건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불만이 그러한 지위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창작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로, 하바드대 연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진가쟁주(眞假爭主)이야기를 근간으로 한 송사 소설이지만 영웅의 일대기로서의 성격과 가문 소설적 성격도 아울러 지닌 특이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지닌 진가쟁주 이야기는 설화나 실화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보이는데, 핍진한 내면 묘사와 치밀한 구성이 두드러진다. 기존 고전 소설의 구조에 익숙한 독자들을 의식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새로운 흥미를 필요로 했던 독자들을 끌어들이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 화산중봉기>에는 형옥이 선옥을 찾아 팔도를 헤매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과정에서 거론된 지명들이 당시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던 곳임을 알 수 있다.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도, 강원도, 함경도 의 순으로 형옥의 국토순례는 이루어졌다.
* 가짜 선옥이 만들어지는 장면의 특징 <옹고집전>은 도사가 허수아비로 가짜 옹고집을 만들지만 <화산중봉기>에서는 형옥의 음모로 김흥룡이라는 남자가 김선옥 흉내를 내게 된다. 따라서 가짜 옹고집은 술법에 의해 진짜 옹고집보다 완벽하게 옹고집 행세를 할 수 있지만 김흥룡은 아무리 김선옥 행세를 하려고 해도 몇몇 미흡한 점이 있게 마련이다. 이 때문에 가짜 옹고집은 옹고집의 하인 친척 아내와 자식들에게도 모두 진짜 옹고집으로 인정을 받지만 김흥룡은 이농옥에 의해 가짜임을 의심받게 된다. 이렇게 그 소설상의 구조가 다른 것은 <옹고집전>에서는 옹고집을 징치(懲治)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면 <화산중봉기>에서는 이농옥의 지인지감을 부각시키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