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 |||
영조(英祖) 45년(1769) 방리(坊里) 개편 때 이물도(利勿島), 외포(外浦), 덕포(德浦), 이곡(梨谷), 문암(門岩), 명동(椧洞), 한해( 海), 오비(烏飛), 다공(茶貢), 연사(烟沙), 송정(松亭), 죽토(竹土) 등 12방(坊)을 두었다. 고종(高宗) 26년(1889) 리제(里制)개편으로 한내(汗內), 대오(大烏), 소오(小烏), 연사(烟沙), 죽토(竹土), 관암(冠岩), 죽전(竹田), 다공(茶貢), 덕치(德峙), 문암(門岩),이목(梨木), 천곡(泉谷), 상송(上松), 하송(下松), 명상(椧上), 명하(椧下), 외포(外浦), 덕상(德上), 덕하(德下) 등 19리(里)가 되었다. 고종(高宗) 32년(1895) 칙령(勅令) 제98호에 의하여 외포면(外浦面)이 신설되어 이물도(梨勿島), 외포(外浦), 덕포리(德浦里)를 편입하고 한내(汗內), 대도(大島), 소도(小島), 연사(烟沙), 죽토(竹土), 관암(冠岩), 죽전(竹田), 다공(茶貢), 덕치(德峙), 문암(門岩), 이목(梨木), 이남(梨南), 명상(明上), 명하(明下), 상송(上松), 하송(下松), 천곡(泉谷), 주령(珠嶺) 등 18개리로 개편하였다. 1915년 6월 1일 도령(道令) 제20호 법정동리령(法定洞里令)에 의하여 한내(汗內), 오비(烏飛), 연사(烟沙), 죽토(竹土), 다공(茶貢), 덕치(德峙), 이목(梨木), 명동(明洞), 천곡(泉谷), 송정(松亭) 등 10리가 되었다. 1942년 5월 1일 2차대전 때 부락구제(部落區制) 실시로 한내(汗內), 한곡(汗谷), 오비(烏飛), 소오비(小烏飛), 연사(烟沙), 연중(烟中), 효촌(孝村), 임전(荏田), 죽전(竹田), 관암(冠岩), 죽토(竹土), 다공(茶貢), 중리(中里), 덕치(德峙), 명상(明上), 명하(明下), 천곡(泉谷), 이목(梨木), 이남(梨南), 상송(上松), 하송(下松) 등 21개 부락이었으나, 광복이후 중촌(中村), 야부(冶釜), 연행(烟杏), 봉송(峯松)이 분리되어 25개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1979년 이목(梨木)댐을 준공하여, 저수면적 22만평에 저수량 470만M/T으로 1일 1만6천M/T을 거제시민과 조선공단에 급수(給水)한다. 연초면(延草面)은 거제현(巨濟縣)의 동북쪽 중앙지역에 위치하여, 현령(縣令)을 맞이하는 권농(勸農)의 지대(地帶)로 연초(延草)라 하였으며, 또한 연사(烟沙)의 이름을 따랐다는 설도 있으며, 고현(古縣)과 옥포(玉浦)의 중간지역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
첫댓글 내가 살든 고향이지만 이렇게 세세한 흐름을 몰랐는데 감사하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