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소, 하여 : ‘조쏘’ 하야(早速 はや)
1. 연구하는 교실
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그 여인이) ‘좋소, 하여 잤었지”이다. 이 말을 왜인들은 사투리로 ‘조소, 하야 자스찌’, 라고 했다. 이 말을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이두한자와 백제글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그 여인이)
早速 はや, い~, 者勝ち
조속, 하야, 이~, 자승찌 (이 말에서 종성을 제거하면)
조소, 하야, 이~, 자스찌 (이 말을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좋소, 하여, 이~, 잤었지 (의 뜻이 된다.)
* 조소 : ‘좋소’처럼 종성을 기록하지 못했다.
* ~하야 : ‘~하여’의 사투리
*자스찌 : ‘잤었지’라는 말의 종성을 표현하지 못한 결과이다. 또 한 "스"자를 “자”의 종성으로 봐서“잤지”라고 볼 수도 있다.
* ~이; 이야기의 흥을 돋우거나 동의를 청하는 도움말.
2. 초대 천황, 명치(1867년; 고종 15년)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 연구원들이 위의 말을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 말(조선 말)과 일본 말의 경계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