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 슈트에 관련된 장비 세팅 및 관리
목 씰 트리밍(Neck Seal Trimming): 새로 구입한 드라이 슈트는 목 씰을 트리밍하는데 목에 꼭 끼이지 않고 편안하게 맞을 때까지 조금씩 자르며 목에 맞추어 본다. 이때 절대로 한 번에 너무 많이 자르지 않는다. 평균적으로 씰의 둘레가 목의 둘레보다 15% 정도 작게 되게 자르는 것이 알맞다.

▲ 목씰 트리밍
인플레이터 호스(Inflater Hose) 연결: 호흡기 1단계의 저압(L.P) 홀에 드라이 슈트에 연결 할 인플레이터 호스를 장착한다.
◀ 호흡기 1단계에 인플레이터 호스 연결
BCD와 핀 스트랩 조절
평소 웨트 슈트에 꼭 맞게 해 놓은 BCD는 드라이 슈트를 입은 몸에는 맞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드라이 슈트는 웨트 슈트보다 슈트를 착용한 가슴둘레가 크다 그래서 BCD의 스트랩을 조절해야 한다.
다음으로 점검하여야 하는 것은 드라이 슈트의 부츠에 맞게 핀 스트랩을 조절하는 일이다. 드라이 슈트 부츠는 웨트 슈트 부츠보다 크기 때문에 더 큰 사이즈의 핀 포켓이 필요로 하며, 이에 맞게 스트랩의 길이도 조정을 해야 한다.
웨이트 벨트의 무게 결정
드라이 슈트는 웨트 슈트보다 부력이 더 많기 때문에 웨이트 벨트도 더 차야 한다.
드라이 슈트의 관리
세척
다이빙이 끝난 후 드라이 슈트는 민물로 세척한다. 드라이 슈트의 외부는 지퍼를 닫고 목과 손목씰(Seal)을 고무 밴드로 묶어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 후 민물에 담그거나 호스로 물을 뿌려 세척한다. 이것이 번거로우면 다이빙 후 드라이 슈트를 입은 채로 물을 뿌려 세척을 해도 된다. 슈트안에 바닷물이 들어가거나 땀이 배어 있으면 내부까지 세척하여도 상관이 없다. 배출 밸브와 저압주입구를 통하여 민물을 통과시켜 세척해야 한다.


▲ 드라이 슈트를 세척하기 위해 목과 손목씰을 고무밴드로 묶어 민물에 담근다.
▲ 민물에 담근다.
▲ 슈트를 입은 채로 샤워기로 세척하는 방법
목과 손목 부분의 라텍스 씰은 주기적으로 연한 비눗물에 씻어 인체의 지방질이 고무를 부식시키는 원인을 제거한다. 활석 가루(TalcumPowder)를 뿌려둔다. 지퍼는 왁스를 바르거나 양초로 문질러 부드럽게 해둔다. 실리콘 윤활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끔 비눗물과 부드러운 칫솔로 안팎을 닦아준다. 밸브는 먼지, 이물질이 끼거나 누적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민물을 사용해 닦아 준다. 제조회사의 지시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건조
드라이 슈트는 세척 후에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이때 그늘에 거꾸로 걸어서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내부가 젖었다면 뒤집어서 건조시켜야 한다. 내부에 물기가 남아있으면 보관 중에 곰팡이가 발생한다.
보관
보관할 때에는 지퍼가 꺾이지 않게 드라이 슈트 행거를 이용하여 걸어두는 것이 가장 좋다. 걸어놓을 경우에도 지퍼를 개방시킨 채 보관한다. 파이프에 걸쳐 둘 때는 지퍼에 무리한 힘이 가지 않도록 허리 부분을 걸친다. 이때 허리부분이 무리한 힘을 받지 않도록 굵은 파이프 같은 곳에 걸친다. 가방에 넣어 보관할 때는 지퍼를완전히 개방시킨 상태로 느슨하게 말아서 넣는다. 이 때 부츠 쪽을 나란히 꺾어서 말되, 지퍼가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한다.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보관한다. 다이빙을 하기 위해 드라이 슈트를 옮길 때는 다른 장비에 의해 구멍이 나거나 밸브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별도의 가방에 느슨하게 말아서 운반하도록 한다.
수리
드라이 슈트의 크게 훼손된 것은 제조회사에 맡겨 수리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사소한 문제는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다이버가 직접 수리가 가능하다. 드라이 슈트는 대부분 작은 구멍이나 물이 새는 틈을 수리하기 위해 패치 키트가 있다. 이때 자신의 슈트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재료나권장하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누수 점검
만약 드라이 슈트가 누수가 생겼다면 먼저 밸브와 씰을 점검한다. 만약 밸브나 씰이 아니라면 슈트 자체에 성게 가시나 날카로운 것에 의해 작은 구멍이 생기는 경우이다. 드라이 슈트의 작은 구멍을 찾는 방법은 지퍼를 닫고 모든 씰을 고무밴드로 묶은 후 바람을 넣고 바람이 새는 곳을 찾는 것이다. 더 확실한 방법은 물속에 담가서 버블이 생기는 곳을 찾거나 비눗물로 표면을 문지르면 비눗방울이 생기는 곳이 찾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