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의 의미와 니체의 이분접적 도덕 분류
도덕(moral)이란 윤리와 비슷하지만 다르다. 윤리가 법과 의무와 관계되는 인간이 지켜야 할 규범이라면, 도덕은 가치와 관련하여서 인간이 지키고 추구해야할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정신이 '보다 낫다고 생각하는 것' 혹은 '보다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추구하고 지향하는 것을 도덕이라고 한다. 그래서 윤리는 모두에게 공히 적용되는 것이지만, 도덕은 그가 어떤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가졌는가에 따라서 사람마다 약간씩 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어떤 동일한 사태에 대한 도덕감정은 사람에 따라 달라지며 개별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도덕의식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는 사람도 있다. 윤리가 이성의 합리성과 정당성에서 성립하는 것이라면 도덕은 개인의 양심에 의해서 성장하고 진보한다. 누구도 슈바이처나 마더 데레사가 보여준 그 도덕의식을 모두에게 요구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그들 자신의 양심과 가치관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도덕도 근본적으로 인간이라면 지켜야 하고 추구해야 할 가치들을 포함하는 보편적인 범주나 지평이 있다. 이웃에게 친절하는 것, 가급적 거짓말을 하지 않고 진실한 것, 모든 국민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것 등 인간이면 누구나 지향하고 존중해야하는 가치들이 곧 '도덕'에 포함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것들이 곧 우리 사회를 '인간다운 사회'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대철학에서는 이상한 언어 사용과 논리 사용이 끼어 들면서 도덕에 대해서도 이상한 분석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대표자는 니체를 들수 있다. 아래 도표는 니체가 분류한 '노예 도덕'과 '주인 도덕'이다.
니체의 <도덕의 계보>에서 두 가지 도덕에 대한 구분 |
이름 | 대상 | 특징 |
노예 도덕 | 약자들의 예속에서 나타난 도덕 : 그리스도교 겨냥 | 겸손, 복종, 온유와 같은 자질을 중시하고 평등을 지향 ⇒ 지배 권력자에 대한 분노, 원한에서 기인 |
주인 도덕 | 권력과 특권을 가진 엘리트 집단의 도덕 : 독일(게르만) 민족의 우월성 암시 | 지배력, 단호함, 탁월함, 창의성 등을 중요 자질로 간주함 : 특정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우월하여 리더가 될 자격이 있다고 인정함. |
문제점
① 도덕이라는 개념에 대한 오류 : 도덕이란 ‘인간으로서 응당히 행하여야 할 규범’을 지칭하며, 윤리가 법이나 의무와 관련된다면 도덕은 ‘가치추구’ 등과 관련된다. 따라서 ‘노예의 도덕’ ‘주인의 도덕’이라는 말은 오류의 말이다. 만일 이런 표현을 굳이 쓰고자 한다면, ‘노예의 습성 혹은 기질’ ‘주인의 습성 혹은 기질’이라는 말이 적절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사장도덕’ ‘과장도덕’ ‘직원도덕’ ‘청소부 도덕’ 등의 말도 있어야 할 것인데, 어불성설이다. 도덕은 모든 인간이 공히 지켜야하고 추구해야 할 어떤 정신적인 가치에 대한 규범으로 이해해야 한다. 유비를 통해 억지로 말하자면 ‘주인 윤리’ ‘노예 윤리’라는 말은 가능할 것이지만, 이러한 구분 자체가 ‘악’의 가능성을 다분히 포함한 불순한 구분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오늘 날 고용주든 피고용자든 모두 동일한 ‘직업윤리’에 적용되어야 하며, 서로 다른 원칙(윤리)을 정해놓는 것 자체가 일종의 ‘갑질을 정당화’하는 것에 오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외 니체의 도덕 구분에 대한 '내용상의 문제'도 있고, '행위에 대한 분석'에도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니체를 찬미하는 니체 전공자들을 의식하여 여기서 다 제시하지는 않겠습니다. 아래 질문에 스스로 답해 보시기 바랍니다.
② 구분의 내용상 문제점 : 노예들이 중시하는 덕목이 ‘겸손’ ‘복종’ ‘온유’ ‘평등’과 같은 것이며, 주인이 중시하는 덕목이 ‘지배력’ ‘단호함’ ‘탁월함’ ‘창의성’이라고 구분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될까?
③ 행위에 대한 분석의 오류
니체는 노예도덕을 가졌던 억울한 사람들을 어리석다고 비판을 하고, 마치 우리에게 당시의 권력자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주인도덕'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사유가 왜 문제가 될까?
*질문하나 추가 : 오늘날 거의 가 수긍할 수 없는 "특정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우월하여 리더가 될 자격이 있다"는 이러한 니체의 사유는 어디에서 기인하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