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숙번(李叔蕃)
[문과] 태조(太祖) 2년(139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7위(10/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219BC88B1373X0
생년 계축(癸丑) 1373년 (공민왕 22)
졸년 경신(庚申)【補】(주1) 1440년 (세종 22)
향년 68세
합격연령 21세
본인본관 안성(安城)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좌군총제, 지승추부사, 지의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아버지는 이경(李坰)이다.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하였다.
1398년에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으면서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사병을 출동시켜, 세자 이방석(李芳碩)과 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심효생(沈孝生)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되고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졌으며, 우부승지에 임명되었다.
그 뒤 이방원의 측근이 되어 정종이 왕위에 오르자 이방원에게 “공을 왕으로 추대하고 싶을 뿐이다.”라고까지 말했다 한다.
1399년(정종 1) 좌부승지가 되고, 이듬 해 초 박포(朴苞)가 이방원과 반목하던 이방간(李芳幹)을 충동해 거병하자 군사를 동원해 이들을 제거하였다.이어 좌군총제(左軍摠制)가 되고,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이 되었다.
1402년(태종 2) 새로 설치한 내갑사(內甲士)의 좌번(左番) 책임자가 되고 지승추부사(知承樞府事)가 되었다. 같은 해 말 안변부사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키자 도진무(都鎭撫)가 되어 좌도도통사와 함께 출정해 진압하였다. 이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가 되고, 1405년 지공거(知貢擧)에 선임되었다.
1406년 겸중군총제(兼中軍摠制)·겸판의용순금사사(兼判義勇巡禁司事)가 되고, 이듬해 겸충좌시위사상호군(兼忠佐侍衛司上護軍)·겸의흥시위사상호군(兼義興侍衛司上護軍)등을 역임하였다.
1408년 십사상호군(十司上護軍)이 폐지되면서 겸중군도총제(兼中軍都摠制)가 되고, 이듬해 동북면절제사가 되었다. 이어 참찬의정부사·겸지의흥부사(兼知義興府事)를 거쳐, 1412년 말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승진하였다.
1413년 병조판서, 이듬해 의정부찬성사가 되었는데, 뒤에 의정부의 직제 개편에 따라 동판의정부사(同判議政府事)·좌참찬·찬성이 되었다. 한편, 1414년 지춘추관사로서 영춘추관사 하륜(河崙) 등과 함께 『고려사』 중 공민왕 이후의 사실을 고쳐서 바로잡도록 명을 받았다. 이듬 해 안성부원군(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러나 원래 성품이 망령된데다 자신의 공과 태종의 총애를 믿고 거만방자해 국왕에게 불충하고 동료들에게 무례하게 굴어 여러 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아, 결국은 관작을 삭탈당하고 1417년 경상도 함양에 유배되었다.
세종 때 『용비어천가』를 짓게 되자 선왕 때의 일을 상세히 알고 있었기에 서울에 불려와서 편찬을 도왔으나, 편찬이 끝난 뒤 다시 유배지에 보내져 그곳에서 죽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숙번(李叔蕃))]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乙3‧丙7‧同進23]
전력 생원(生員)
관직 찬성(贊成)
공신 정사공신(定社功臣)
봉호 안성군(安城君)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형(李炯)
[조부(祖父)]
성명 : 이사정(李思正)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李○○)
[외조부(外祖父)]
성명 : 남휘주(南輝珠)(주2)
본관 : 영양(英陽)【補】
[처부(妻父)]
성명 : 정총(鄭摠)[麗文]
본관 : 청주(淸州)【補】
[안항(鴈行)]
제(弟) : 이중번(李仲蕃)【補】(주3)
[주 1] 졸년 : 「『세종실록』 88권, 세종 22년(1440) 3월 15일」 기사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 외조부 : 『씨족원류(氏族源流)』 [안성이씨]편(123쪽)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3]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안성이씨]편(123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정총(鄭摠)
[고려문과] 우왕(禑王) 2년(1376) 병진(丙辰) 병진방(丙辰榜) 을과(乙科) 1[壯元]위(1/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815CD1DFFFFB1358X0
자(字) 만석(曼碩)(주1)
호(號) 복재(復齋)
시호(諡號) 문민(文愍)
졸년 정축(丁丑)【補】(주2) 1397년 (태조 6)
본인본관 청주(淸州)(주3)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정당문학, 예문춘추관태학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만석(曼碩), 호는 복재(復齋).
아버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정추(鄭樞:일명 公權)이며, 조선개국공신 정탁(鄭擢)의 형이다.
1376년(우왕 2)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19세로 춘추관검열이 되고, 대간·응교·사예를 거쳐 대호군에 이르고, 1389년(공양왕 1) 병조판서에 승진되었으며, 1391년 이조판서를 거쳐 정당문학에 이르렀다.
당시 중국에 보낸 표전문(表箋文)은 대부분 그가 지었다.
조선개국 후 개국공신 1등에 서훈되고, 첨서중추원사(簽書中樞院事)로서 서원군(西原君)에 봉하여졌다.
1394년(태조 3) 정당문학이 되고, 다시 예문춘추관태학사가 되어 정도전(鄭道傳)과 같이 『고려사』를 편찬하고, 그 서문을 썼다.
1395년 태조 이성계의 고명(誥命) 및 인신(印信)을 줄 것을 청하러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가, 때마침 명나라에 보낸 표전문이 불손하다하여 명나라 황제에게 트집잡혀 대리위(大理衛)에 유배도중 죽었다. 글씨를 잘 쓰고 문집으로 『복재유고』가 있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총(鄭摠))]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乙3‧丙7‧同進23]
전력 생원(生員)
관직 정당문학(政堂文學)
기타 훈신(勳臣)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추(鄭樞)[麗文]
[조부(祖父)]
성명 : 정포(鄭誧)[麗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책(鄭㥽)
[외조부(外祖父)]
성명 : 한대순(韓大淳)
[처부(妻父)]
성명 : 김수(金随)
[가족과거]
손(孫) : 정옥경(鄭沃卿)[文]
[주 1] 자 : 「『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1397) 11월 30일」 졸기 기사와 『서원정씨세보(西原鄭氏世譜)』에는 자가 "만석(曼碩)"으로,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 4650-10])에는 "만기(蔓期)"로 기록되어 있음.
[주 2] 졸년 : 「『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1397) 11월 30일」 졸기 기사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 본관 :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에 나오는 “청주(靑州)”는 “청주(淸州)”의 오기임.
[출전]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 465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