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고 하였다.
권력이란 십년을 넘지 못한다고 하였으니 이렇듯 부질없는 것.
명예가 내려놓은 권력을 대신하게 하여 전직 대통령이 나라의 어른으로 존경받는 세상이 되는 걸 보고 싶다.
호사가들은 온갖 이야기들을 갖다 붙여가며 이야기를 꾸며댔다.
풍수가입네하는 사람들은 결과를 놓고 좌청룡우백호네하며 괴변들을 쏟아내었고, 이구동성으로 왕이 나올 풍수라는 데에 입을 모았다.
그러나 누가 알았으랴.
삭풍이 부는 엄동설한에 영어(囹圄)의 몸이 되어 면벽수행(面壁修行)을 할 줄이야.
이명박 전 대통령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는 현대건설에 입사해 젊은 나이에 사장·회장에 오르며 ‘샐러리맨의 신화’로 불렸다.
다시 서울시장이 되었고, 마침내 대한민국 제 17대 대통령이 되면서 최고의 인간승리를 구가하며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으니 거기까진 다 맞았다.
고주산(高柱山 347.5m,포항)은 이명박 전 대통령 고향인 덕실마을 뒷산으로 전 대통령의 기념관인 덕실관이 개관되었으며, 생가와 생가터가 보존되고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이 나즈막한 고주산을 그냥 ‘주산’이라 부른다고 한다.
주산은 임금 주(主)자이면 몰라도 기둥 주(柱)자라서 풀네임(full name)을 써야만 하는데, 높을 고(高)자를 빼버렸으니 추락하는 건 명약관화(明若觀火)한 것.
지금이라도 이름 석 자를 그대로 다 써야만 높은 기둥을 유지하며 우뚝 서있을 것이다.
북으로는 내연산이 하늘금을 그리고, 어깨너머 비학산(飛鶴山)에선 커다란 학이 금방이라도 날개를 펼치고 사뿐히 날아들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산행내내 솔바람에 실려오는 송진내는 상큼하기 이를 데 없었고, 고주산에서의 주위 풍광은 나무랄 데 없었다.
원점회귀를 이루며 돌아드는 산길이 고속도로 수준으로 개발된 것을 뺀다면 말이다.
예전의 부산일보의 가이드를 살짝 비틀어 기념관과 생가, 그리고 생가터를 모두 둘러보고, 경주 이씨 재실인 이상재(履霜齋)까지 답사한 뒤 솔밭으로 붙었다.
이는 산행 후 답사를 나서는 데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함이다.
코스: 주차장-이명박 전대통령 생가-덕실관-이상재-월성이씨묘-솔밭능선-갈림길-고주산-갈림길-임도-임도이탈-의자,그네-주차장(원점회귀,9.3km,3시간)

클릭하면 원본크기

10km가 채 되지않는 길을 3시간쯤 걸렸다.

고도표.

포항시내를 조금 지나 7번 국도에서...

'이명박 대통령 고향마을'이라는 안내판을 따라...

10여분 진행하여 커다란 대형주차장에 버스를 댄다.

한 때 한참 줏가를 올렸던 이명박 전 대통령 고향마을은 썰렁하기 이를 데 없다.

화장을 하고...

덕실마을 안내판을 일별하니 방향이 돌아갔다. 대부분의 안내판들은 방행을 무시하고 그려진다. 꼭 그렇게 해야만 되는 것인가?
그래도 이 안내판은 방향표시가 그려져 있으니 그나마 다행.

마을 앞을 흐르는 내는 정비가 잘 돼있고, 그 내를 건너는 아치형 목교는 나름 운치가 있어 뵌다.

일행들이 향하는 부산일보의 레귤러 코스는 아래쪽 낮은 산자락.

안내판엔 덕이 있는 마을사람들이 사는 마을이라 덕실마을이라 불린다고 안내하고 있다.

덕실마을 안내도.

이명박 전 대통령 기념관 덕실관 앞에 나란히 각인된 전 대통령 내외.

"나의 스승은 가난과 어머니이다."

복원한 고향집을 먼저 들렸다.

이 전 대통령은 일본에서 태어나 4살 때 귀국하였으니 엄밀히 말해 생가는 아닌 것.
이 집은 조부모가 거주한 집으로, 전 대통령 가족들은 사랑채에서 거주하였다고 한다.

4칸 초가지붕의 안채와...

3칸 초가의 사랑채.

안내판.

2칸짜리 농기구를 보관하던 아래채.

형제들은 모두 상(相)자 돌림이었으나 보름달이 치마폭에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명박(明博)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한국전쟁 때는 폭격을 맞아 둘째 누이와 막내동생을 잃었고...

우물.

이명박 전 대통령의 기념관인 덕실관.

매스컴에 얼굴을 보이는 그이 모습은 그저 노회한 늙은이에 다름 아니었다.

덕실관 운영시간.

당시 학생운동인 한일회담 반대 데모를 하다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된 이명박.

현대건설에 입사하여 샐러리맨의 신화가 되다.

그리고 마침내 제 17대 대통령에 당선되어...

경제대통령의 꿈을 이루었다.

효(孝) 선정마을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향마을을 우대하여 지정된 듯.

돌아보는 덕실관.

길 옆의 안내판에서 이상재는 입향조 통정대부 삼효공 이준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재실이고, 담화정은 지방사림들이 모여 시회를 열었던 곳이란다.

고향집터는 선대조가 300여년을 거주한 곳이고, 고향집은 사촌 형수의 집이란다.

골목안 고향집터를 찾아...

사람이 거주하는 마당으로 들어가...

기념품 판매소 옆 안내판을 살펴 보았다.

여러 풍수가들의 글이 인용되었고...

역대 대통령 집터의 공통점이 논문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퇴임 대통령의 말로가 모두 불행하였다는 사실은 애써 간과하고 있다.

봉황문양이 새겨진 안내판이 외려 더 생경스럽게 다가옴은 비단 나만의 단상일까?

고향집은 50m 전방에 따로 있음을 가리키고 있어...

기웃거려 보지만 안내판도 지워져 있는 등 썰렁하다. 의욕적으로 시도하였다가 세상이 변하면서 핀트가 어긋나 버렸다.

길가 너른 공터가 있는 곳 담장안이 이상재.

태극문양 대문이 열려있어...

들어섰더니 정면에 마루전체에 난간이 둘러진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경주 이씨 덕실 입향조인 이준을 추모하는 이상재가 있다.
정면 중앙에는‘이상재’현판이 있고, 좌우측에는‘효우당’과‘우모헌’현판이 있다.
최초 건축시기는 미상이며 1866년 중건되어 1867년 완공되었다고 한다.

이상재(履霜齋) 현판은 무진(戊辰)년에 썼으니 1868년인 셈. 글쓴이는 조ㅇ형(趙ㅇ馨)이지만 더 알 길 없다.

우측 현판 우모헌(寓慕軒).

좌측 현판 효우당(孝友堂).

이상재 좌측 4칸짜리 팔작지붕...

담화정(湛和亭)의 글쓴이는 극암(克菴).
극암 이기윤(李基允) 선생은 1891년(고종 28)∼1971년.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이자 서예가. 자는 집중(執中).본관은 성산(星山), 경북 성주군 출신이다.

좌우에 이우헌(二友軒) 현판과...

백원당(百源堂) 현판이 걸려있다.

이준에 대한 인물사적인 기록은 없으나 이상재와 관련하여 한말의 이름있는 학자들의 기문이나 상량문이 있어 이상재는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기에 적합하나 담화정은 건립연대가 일천하여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이상재’만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상재 안내판. 이준의 12세손인 이명박은 대통령이 되었고, 형인 이상득은 6선 국회위원과 국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둘 다 교도소에 수감되는 등 말년이 불행하니 이를 어쩌랴.

이제 산으로 오를 차례. 산길은 이상재 우측으로 난 묘소가는 길을 따라...

오래된 묘소들이 있는 곳으로 올라 우측 솔숲 능선으로 붙는다.

아래쪽 비석을 살피니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월성이공지묘'.
절충장군(折衝將軍)은 조선시대 정3품 당상관(堂上官)의 서반(西班:武官)에게 주던 무신계에서 가장 높은 관계(官階)이다.
절충장군이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이란 직책을 맡았다는 뜻.
용양위는 5위(五衛)에 속하는 한 부대이고, 부호군은 조선의 5위(五衛)에 속했던 종4품의 무관(武官)의 관직.

그 위 좀 오래된 비석은 '가선대부월성이공지묘'. 가선대부( (嘉善大夫)는 조선시대 종2품의 하계(下階) 문관의 품계.

제일 위에 있는 비석을 조금 당겨보니 이 또한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월성이공지묘'.

조금 아래에는 '증가선대부병조참판월성이공지묘'.
월성(月城)은 경주의 옛이름이니, 월성 이씨는 경주 이씨와 같은 것으로 지금은 경주 이씨로 고쳐 부른다고 한다.
이곳에 있는 무덤은 이상재에 추모된 이준과 관련된 무덤으로 보인다.

무덤 우측 능선으로 살짝 올라서면 솔숲 사이로 상쾌한 솔밭길이 나온다.

유선방송이 없던 예전의 안테나.

주능이 가까워지자 다시 헐벗은 무덤의 주인은...

월성 이씨. 모두 월성 이씨들이다.

야트막한 주능에 오르자 임도급의 산길이 마중나와 있다.

임도급 길로 갈아타고...

철탑을 지나니...

발동기인 듯한 기계가 천막으로 덮혀있어...

살펴보니 케이블이 있는 걸로 보아 케이블카인 듯하다. 아마도 무슨 공사를 할 때 요긴하게 이용한 시설물인 듯.

임도인 듯, 산판길인 듯한 너른 길을 따라...

잘 단장된 무덤과...

촘촘히 안내하는 안내판을 따라 나중에 고두산에서 되내려올 갈림길에 닿은 뒤...

둘레길을 걷듯...

산불초소가 있는 고주산 정수리에 올라선다.

요즘의 산불감시초소는 대개 이층 누각위에 올려 놓아 시야를 확보케 한다.

헬기장이 있는 고주산의 이정목은 대구 산꾼 김문암 님의 작품.

서쪽 방향 비학산에선 영험한 학이 커다란 날개를 펼치고...

<삼각점>

우측 마북저수지 위로 내연지맥의 마북산이 가늠된다.

반곡저수지 위론 날개를 펼친 비학산.

북으론 내연산이어서...

살짝 당겨 보았더니 삿갓봉인 듯 삿갓을 닮아있고, 그 우측으로 희미한 시설물은 경북수목원의 2층 망루인 듯.

고주산에서 인증샷을 한 뒤...

아까 지나갔던 갈림길로 되내려가 임도에 내려선다.

임도를 걷던 중 우측으로 산길과 이정표가 있어...

살짝 당겨보며 gps를 확인하니 신광면과 흥해읍의 경계선으로 난 길이다.

체육시설을 지나자...

임도 우측으로 올라서는 지점이 나온다.

이 지점의 이정표. 이러한 이정표는 성가실 정도로 많아.

역시 산허리를 관통하며 굵게 그어진 솔밭길.

임도도 아닌 것이, 방화선도 아닌 것이...

무슨 목적으로 산중대로를 닦아 놓았을까?

봄의 전령 진달래가 벌써 개화를 하였다.

무미건조한 산길을...

무미건조하게 걸으며...

덕실마을 1.1km 갈림길을 지나야만...

그네가 매여져 있었던 터닝 포인터를 만난다. 이 지점엔 빨간색 플라스틱 간이 의자가 놓여있고 소나무 가지 위엔 철거한 그네줄이 올려져 있다.

처음엔 거친 듯한 산길도...

이내 반듯한 솔밭길.

묘지를 지나고...

너무나도 유순한 길을 따르노라니...

바로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우리 버스가 보인다.

우측으로 살짝 돌아...

포장도로에 내려서서...

위를 올려다보니 중턱까지 길이 나있어 우측 나즈막한 능선으로 바로 붙을 수 있을 것 같아.

내려서면...

다리 건너기전 좌측으로...

대형주차장이 있고...

다리를 건너 맞은편 농로를 따라 나즈막한 산자락에 붙으면 부산일보의 들머리.

아카시아 영지버섯이 참나무 영지보다 효능이 월등하다는 유찬성 님. 그분이 채취한 영지버섯을 카메라에 담았다.
한 개는 참나무, 세 개는 아카시아 영지버섯.
비리가 있었다면 당연히 처벌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만의 하나 정치보복이라면 이제 더 이상 전직 대통령이 교도소에 들어가는 이러한 비극이 되풀이 되어서는 안된다.
지역간·세대간·이념적 편가르기로 계층간 갈등이 증폭된다면 우리 민족의 미래는 밝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첫댓글 감상 멋지게 하고 갑니다.수고했습니다^^
산갔다 와서 TV를 켰더니 이명박 전 대통령이 보석으로 풀려 나왔다고 하네요.
편에 따라서 울화증이 도진다고 하고, 또 다행이라고도 하네요.
우쨌던 우리나라의 고질병 하나가 치유되는 것같아 다행으로 느껴져요. 물론 죄의 유무는 따져져야 되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