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돌이의 현명한 소비 운동 ㅡ 보험 보상금 돌려받기 ㅡ

안녕하세요. 보험교실 전문가 장준식입니다.^^
보험사가 돌려주지 않은 보험금이 500억 원이 넘었다는 것을 뉴스를 통해 보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의 주제는 “못 받은 보험 보상금 돌려받기” 입니다.
얼마 전 뉴스에서 기사에 몰라서 받을 수 있는 보장을 못 받거나 고객이 못 찾아간 보험 보상금이 수백억 원에 이른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꼼꼼하게 잘 챙기는 분은 모르지만 많은 분들이 모르고 있어 짠돌이 회원님들께도 알려드립니다.
-------------------------------- 보험 보상금 500억 돌려받자!-------------------------------------
현재의 보험금 청구시스템은 “질병이나 상해사고 발생시에 고객이 담당 설계사나 해당 보험사로 확인하여 보상을 청구”하는 형태 입니다. 하나의 보험을 가입 중이라면 그러한 일이 많지는 않을 것이나 다수의 보험을 가입중인 고객의 경우는 몰라서 청구 못하거나 청구 기한이 지나서 청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수 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향후에는 고객이 보험금을 청구 할 경우 고객이 가입한 다른 보험 상품에도 보장내용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물론 향후입니다 ㅜ.ㅜ
시스템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고객이 일일이 확인해서 챙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보상금 청구방법과 더불어 보상 관련된 몇 가지 내용을 사례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사례 1]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을 같이 가입한 경우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을 같이 가입한 고객이 수술을 받을 경우 병원비와 관련된 보상은
손해보험의 의료실비보험에서 본인부담금을 보장하고, 생명보험의 수술특약이나 입원특약에서
추가로 수술급여금이나 입원 급여금을 지급하게 되어 있습니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을 같이 가입한 A씨가 맹장수술을 하고 병원비가 50만원이 나왔을 경우,
손해보험에서 (50만원X90%) 45만원 + 생명보험의 수술특약에서 20만원 = 합계 65만원을 보상받게 됩니다.
[사례 2] 실비보험의 현명한 소비자 활용 사례
A와 B씨는 하루 동안 똑 같은 병원에서 똑 같은 시술을 받고 같은 병원비를 지출했습니다.
(예를 들어 병원비가 100만원이 나왔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런데 A씨는 보상 청구해서 90만원을 받았고, B씨는 25만원을 받았습니다.
A씨와 B씨가 다른 보험금을 받은 이유는 실비보험의 입원의료비/ 통원의료비 때문입니다.
A씨는 당일 입원으로 처리해서 영수증상 입원으로 체크되어 있고, B씨의 경우는 입원이 아닌 외래로 처리했기 때문입니다.
입원의료비는 병원비 본인이 낸 돈의 90%를 보상하고, 통원의료비는 병원비 본인이 낸 돈을
보상하지만 한도가 25만원이 최고 입니다.
보험은 가입만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인이 가입한 보험의 증권을 잘 챙겨두고 100%는 아니더라도 어떨 때 어떻게 보장되는지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며, 정확히 가입된 사항을 모를 경우는 생명보험 협회나 손해보험 협회에서 본인이 가입한 보험을 한번에 조회해볼 수도 있습니다.
[사례 3] 실손 의료비 소액 청구건
가끔 그런 분들이 있습니다. 너무 소액 건이라 귀찮고 번거로워서 청구 안하시는분들 ~~
요즘 보상청구는 핸드폰 앱으로도 많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영수증 사진 찍어서 앱으로 전송하고 청구하면 간단하게 청구할 수도 있으니 소액이라고 버리지 마시고 꼭 챙겨두셨다가 청구하세요!
귀찮은 만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병원 갔을 때 마다 영수증을 모아두고 치료내용을 영수증에 기재해두었다가 6개월이나 1년에 한번씩 청구 하셔도 됩니다.
[사례 4] 일상생활 배상책임 활용
ㅡ 우리 아이가 놀이터에서 놀다가 친구를 다치게 해서 치료비와 위자료를 물어줘야 한다면?
ㅡ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주차된 차량의 측면을 긁어서 도색비용을 물어줘야 한다면 ?
ㅡ 우리 집에서 물이 새서 밑에 집에 도배비용을 배상할 경우?
ㅡ 친구와 장난치다가 친구의 핸드폰을 파손시킨 경우?
일상생활 배상책임의 보장범위는 상당히 넓어 매우 유용한 특약중의 하나입니다.
다만, 실비보험 가입할 때 손해보험으로 가입해야 같이 가입할 수 있는 특약입니다.
생명보험의 실비보험에는 없는 특약입니다.
이외에도 보상과 관련된 부분은 케이스 별로 상당히 많은 내용들이 존재합니다.
몰라서 못 받는 보험금이 없도록 짠돌이 회원 분들은 꼼꼼히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
ㅡ 보험금 보상과 관련하여 문의가 있을 경우 신청해 주시면 개별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ㅡ
보험상담.보상금 신청문의[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