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 사(裟)자는 의부(義符)로 옷 의(衣,衤)자에 성부(聲符)로 모래 사(沙)자를 했습니다. 모래 사(沙)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적을 소(少)자를 했습니다. 모래는 물가에 작은 돌덩어리들이기도 합니다. 향부자 사(䔋), 모래 사(砂), 사탕 사(粆), 모래무지 사(魦)자들은 적을 소(少)자가 들어 있어서 ‘사’로 읽습니다. 사라사(裟羅寺) 가사(袈裟) 대가사(大袈裟) 가사현(袈裟懸) 가사괘(袈裟掛) 적가사(赤袈裟) 가사어(袈裟魚)
사마 사(駟)자는 의부(義符)로 말 마(馬)자에 성부(聲符)로 넉 사(四)자를 했습니다. 넉 사(四)자는 넉 사(亖)자를 90도 회전한 글자입니다. 넉 사(四)자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사로국(駟盧國) 사설(駟舌) 사철(駟驖) 사마(駟馬) 사마소재(駟馬所載) 사불급설(駟不及舌) 천사(千駟) 죽사마(竹駟馬)
적을 사(㱔,些)자는 이 차(此)자 아래에 저녁 석(夕)자나 두 이(二)자를 했습니다. 저녁 석(夕)자나 두 이(二)자는 적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글자입니다. 저녁 석(夕)자는 아침보다는 저녁이 작다는 뜻이 있지요. 그래서 조삼모사(朝三暮四)라는 속임수의 말이 생겨난 것입니다. 저역에는 본래 세 개만 주는 것이 일반 상식입니다. 그러나 저녁에 네 개를 준다는 말은 상식을 뛰어넘은 파격적이 대우라는 뜻이지요. 이럴 때 실은 네 개를 주어야하는 아침은 그냥 슬쩍 넘어간 것입니다. 이게 속임수이지요. 둘이라는 수도 아주 작은 수(數)입니다. 하나는 아주 크다는 뜻도 가지고 있지요, 그러나 둘은 더 이상 많다는 뜻은 없는 글자입니다. 또는 이 차(此)자는 성부(聲符)로 저녁 석(夕)자나 두 이(二)자는 의부(義符)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 차(此)자와 적을 사(㱔,些)자는 통운(通韻)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적을 사(㱔,些)자는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사개(些个) 사소(些少) 사자(些子) 사미(些微) 사세(些細) 사사(些些) 사사(些事) 사략(些略)
이을 사(嗣)자는 말과 글로써 대를 이어간다는 뜻으로 입 구(口)자 아래에 책 책(冊)자를 했습니다. 글자의 뜻을 표시한 부분입니다. 이을 사(嗣)자의 발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글자의 오른쪽에 맡을 사(司)자를 했습니다. 맡을 사(司)자는 손과 입을 그려서 일을 맡아 행하는 표시를 했습니다. 사위(嗣位) 사선(嗣先) 사후(嗣後) 사후(嗣后) 사군(嗣君) 사국(嗣國) 사기(嗣奇) 사자(嗣子)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