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을 소(綤)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고을 이름 소(邵)자를 했습니다. 고을 이름 소(邵)자는 의부(義符)로 읍 읍(邑,⻏)자로 하고, 부를 소(召)자를 성부(聲符)로 한 글자입니다. 부를 소(召)자는 칼 도(刀)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칼 도(刀)자는 손 수(手)자의 변형입니다. 곧 칼 도(刀)자는 손 수(手)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사람을 부를 때에 손과 입으로 부른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
연둣빛 기(綥)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줄 비(畀)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성부(聲符)는 줄 비(畀,畁)자에 들어 있는 대 기(丌)자입니다. 줄 비(畀,畁)자는 밭 전(田)자나 말미암을 유(由)자에 대 기(丌)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대 기(丌)자는 물건을 받쳐놓는 대를 뜻합니다. 남에게 주려면 그 물건을 받쳐놓아, 주는 뜻을 더하게 됩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나 말미암을 유(由)자는 줄 물건을 뜻합니다. 여기서 대 기(丌)자는 손을 그린 글자이기도 합니다.
비단 기(綦)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연둣빛 비단 기(綨)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피륙 넓이 준(綧)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享)자는 짐을 높이 쌓아 둔 것을 그렸는데, 이는 재물이 많은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또 누릴 향(享)자에서 아래에 있는 아들 자(子)자는 전서(篆書)에 보면 양 양(羊)자로 되어 있습니다. 제사를 지낼 때 양 고기를 많이 쌓아놓은 형상입니다. 제사를 풍성하게 올리면 자손에게 복이 누려진다는 말입니다. 과녁 준(埻), 짚단 준(稕), 짚단 준(稕)자들은 누릴 향(享)자가 들어 있어서 ‘준’으로 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