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시의 형식(종류와 규칙)
1.한시의 종류
|
⑴ 고체시(古體詩)
당(唐)나라 이전의 한시. 시의 형식이 자유롭다. (詩經, 楚辭, 古詩, 樂府)
⑵ 근체시(近體詩)
당(唐)나라 이후의 한시. 시의 형식이 자유롭지 않다. (<五, 七言>絶句詩, 律詩, 排律詩.)
 |
2.압운법押韻法 |
⑴ 운자(韻字)
정해진 자리에 같은 음조(音調)를 가진 글자를 놓는 법.
제 1구 운자 놓는 법 ; 가운데 소리나 끝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글자.
⑵ 절구시(絶句詩) 경우
① 오언절구
2구와 4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도 붙이는 경우도 있음.
② 칠언절구
1, 2, 4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 붙이지 않은 경우도 있음.
⑶ 율시(律詩) 경우
① 오언율시
2, 4, 6, 8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 붙이는 경우도 있음.
② 칠언율시
1, 2, 4, 6, 8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 붙이지 않는 경우도 있음.
 |
3.대구법對句法
|
漢詩에 있어서 많이 쓰는데 두 구(句)가 상대(相對)되거나 상응(相應)되는 구(句)로 구성하는 법.
공통점. ① 글자수가 같다. ② 문장성분의 배열이 거의 일치한다. ③ 문장의 해석 순서가 거의 같다.
①절구(絶句) ; 기구(起句)와 승구(承句)가 대(對)를 이루거나, 전구(轉句)와 결구(結句)가 대(對)를 이룸.
② 율시(律詩) ; 3구(句)와 4구(句)가 대(對)를 이루거나 5구(句)와 6구(句)가 대(對)를 이룸.
대구(對句)를 할 경우의 이점. 시적(詩的)인 운률(韻律)의 효과와 뜻을 강조하는데 효과가 크다.
|
4.읽는법
|
① 오언시 경우 ; 2 / 3 자로 읽는다.
② 칠언시 경우 ; 4 / 3 자로 읽는다.
 |
2.중학교에 나오는 한시
오언절구시
■ 詩題 : 昨夜雨 < 宋翰弼 > |
|
[해석]
- 꽃이 어제밤 비에 피고
- 꽃이 오늘 아침 바람에 떨어졌구나.
- 가련하다. 한 봄날의 일들이
- 바람과 비 가운데 오고 가는구나.
[字義]
- 花開 : 꽃이 피다.
- 可憐 : 가련하다!
- 제 1구와 제 2구는 서로 對句(대구)를고 있다.
[韻字]
|
■ 詩題 : 山 鳥 < 朴 靖 > |
|
[해석]
- 사월은 녹음이 짙은데
- 산 새는 종일토록 지저귀는 구나.
- 사람에게 놀라도 멀리 날아가지 아니하고
- 또한 서산을 향하여 가는구나.
[字義]
- 多 : 많다는 뜻이지만 녹음이 짙다는 풀이를 하면된다.
- 語 : 말하다는 뜻이지만 산 새가 종일토록 지저귄다는 뜻이다.
[韻字]
|
■ 詩題 : 尋隱者不遇 또는 問童子< 賈 島 > |
|
[해석]
-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
- 말하기를 스승님은 약초를 캐러 갔습니다.
- 단지 이 산속에는 계시나
- 구름이 깊어 어느 곳에 계시는지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字義]
- 隱者 : 학식이 뛰어난 사람으로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사람.
- 言 : 말하길
- 只 : 다만 ∼ 에 있다.
[韻字]
|
■ 詩題 : 舟中夜吟 < 朴寅亮 > |
|
[해석]
- 고국 삼한은 멀리 떨어져 있고
- 가을 바람에 나그네의 뜻은 깊어지네
- 외로운 배에서 하룻밤의 꿈을
- 달이 떨어지니 동정호에 물결이 일어나네.
[字義]
- 故國 : 삼한을 가리킴
- 三韓 : 우리 나라를 말함.
- 洞庭 : 호수이름. 중국에 있는 동정호.
[韻字]
|
■ 詩題 : 花欲然 < 杜 甫 > |
|
[해석]
- 강이 푸르니 새 더욱 희고
- 산이 푸르니 꽃은 불사르고자 하는구나.
- 올 봄을 보고 또 지나 보내니
- 어느 날 이 돌아갈 해인가?
[字義]
- 江碧 : 강물이 봄철이라 더욱더 파랗게 보임
- 然 : 燃(사를 연)자의 뜻으로 불이 타는 듯 뜻이다.
[韻字]
|
■ 詩題 : 秋夜雨中 < 崔致遠 > |
|
[해석]
- 가을 바람에 오직 괴롭게 읊조리나
- 세상에는 나를 알아주는 이 드물구나.
- 창 밖 한밤중에 비가 내리고
- 등불 앞에서 만리를 향하는 마음이라.
[字義]
- 苦吟 : 괴롭게 시를 읊조린다는 뜻, 곧 공부를 열심히 하였다는 내용임.
- 知音 : 자기의 마음을 알아주는 친밀한 벗을 뜻함. 知己와 뜻이 같음.
- 三更 : 깊은 밤. 한 밤중.
- 萬里 : 고국(신라) 만리
[韻字]
|
■ 詩題 : 夜坐有感 < 李秉休 > |
|
[해석]
- 가을 당에 밤 기운은 맑아서
- 단정히 앉아 깊은 밤까지 이르렀네.
- 하늘 한 가운데 떠 있는 달을 홀로 사랑하니
- 사람이 없어 절로 밝구나.
[字義]
[韻字]
|
■ 詩題 : 勉 學 < 陶潛 > |
|
[해석]
- 젊음은 거듭 오지 아니하고
- 하루는 다시 새벽이 되기 어렵네.
- 때에 미쳐 마땅히 힘쓸지라
-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아니하네.
[字義]
- 重 : 무겁다는 뜻이 아니라 거듭, 재차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 勉勵 : 힘쓸면, 힘쓸려.
- 제 1구와 2구는 對句를 이루고 있다.
[韻字]
|
■ 詩題 : 金剛山 < 宋時烈 > |
|
[해석]
- 산과 구름이 모두 희니
- 구름낀 산은 모습을 분간하지 못하겠구나.
- 구름이 걷히고 산만이 홀로 서 있으니
- 일만이천 봉우리로다.
[字義]
- 與 : ∼와, 과
- 雲山 : 구름이 산에 덮여 있음을 뜻함.
[韻字]
|
■ 詩題 : 靜夜思 < 李 白 > |
|
[해석]
- 침대에 기대어 달 빛을 바라보니
- 이것이 땅 위의 서리인가 의심스럽구나.
- 머리를 들어 산 위에 떠있는 달을 바라보고
- 머리를 숙여 고향을 생각한다.
[字義]
- 牀 前 : 침대 앞. 침대에 기대어 있는 것을 뜻함.
- 疑是 : 이것이 ∼인가 의심스럽다.
- 低頭 : 수심에 젖어 고개를 떨어뜨림.
- 제 3구와 4구가 對句로 구성되어 있다.
[韻字]
|
■ 詩題 : 山 寺 < 李 達 > |
|
[해석]
- 절을 희 구름 가운데 있는데
- 흰 구름을 중이 쓸지 않구나.
- 손님이 찾아와 문을 비로소 여니
- 모든 골짜기에 송홧가루가 다 졌구나.
[字義]
[韻字]
|

칠언절구시
■ 詩題 : 男 兒 < 南 怡 > |
|
[해석]
- 백두산의 돌은 칼을 갈아 다하고
- 두만강의 물은 말을 먹여 마르게 했도다.
- 남자 나이 이십이 되어 나라를 편정하지 못한다면
-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고 말하겠는가?
[字義]
- 磨 : 갈 마.
- 盡 : 다할 진 - 칼을 갈아 돌이 다 닳다는 뜻.
[韻字]
|
■ 詩題 : 訪金居士夜居 < 鄭道傳 > |
|
[해석]
- 가을 구름은 아득히 떠 가고 온 산은 고요한데
- 낙엽은 소리 없이 땅에 가득 붉었구나.
- 시내가 다리 위에 말을 세우고 돌아갈 길을 물으니
- 내 몸이 그림 속에 있는지 알지 못하겠네.
[字義]
- 居士 : 시골에 묻혀 사는 선비
- 漠漠 : 끝없이 아득한 것
[韻字]
|
■ 詩題 : 偶 成 < 朱 熹 > |
|
[해석]
- 소년은 늙기가 쉽고 학문은 이루기가 어려우니
- 짧은 시간일지라도 가벼이 여길 수가 없도다.
- 아직 연못 둑의 봄 풀의 꿈에서 깨지도 않았는데
- 섬돌앞 오동나무 잎은 이미 가을 소리를 내는구나.
[字義]
- 一寸光陰 : 매우 짧은 시간
- 未覺 : 아직 ∼을 못하였음.
- 春草夢 : 봄이 돌아와 풀이 돋아난 아름다운 경치에 도취해 있음.
[韻字]
|
■ 詩題 : 泰 山 < 權相老 > |
|
[해석]
- 태산이 비록 높을지라도 이 또한 산이니
- 오르고 오를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 세상 사람들은 힘을 수고롭게함을 즐겨하지 아니하고
- 단지 산이 높아서 오를 수 없다고 하네.
[字義]
[韻字]
|

오언율시
■ 詩題 : 有 客 < 金時習 > |
|
[해석]
- 어떤 나그네가 청평사에 들러
- 봄 산에 마음대로 노니는구나.
- 새는 외로운 탑 고요한데서 울고
- 꽃은 조그마한 시냇물 흐르는데 떨어지네.
- 아름다운 나물은 때를 알아 돋아나고
- 향기로운 버섯은 비를 맞아 부드럽구나.
- 길을 가면서 읊조리며 신선의 마을로 들어서니
- 나의 백년의 근심이 사라지는구나.
|

칠언율시
■ 詩題 : 八月十五日夜禁中獨直對月憶元九 <白居易> |
|
[해석]
- 궁중의 문에 어두움이 깃드는데
- 홀로 한림원에 자면서 벗을 생각하노라.
- 십오일 밤 가운데 새로운 달 빛이요
- 이천리 밖에 있는 벗를 그리워하는 마음이라.
- 궁전의 동쪽에 연기가 차갑게 피어나고
- 欲殿(욕전)의 서쪽에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가 들리는구나.
- 이 밝은 빛을 함께 보지 못함이 안타까우니
- 강릉땅은 습지라 이 가을도 흐려지고 있을 텐데.
|

[현재 보시는 문서의 제목은**한시 형식과 중학교에 나오는 한시 모음**입니다.]
|
첫댓글 좋은 시만 골라 모아 놓은 것 같습니다. 중학생들에게는 좀 어렵겠지요...유익하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마워요.잘 보았네요.
저도 고맙게 읽었네요 ^^*
감사하게 읽었습니다^^
전 제대로 읽어보려고 프린트 했어요... 화면상에서 읽는건 왠지 금방 잊어버리더라구요...감사합니다.....^^*
한문해설은 일부러 이중처리하신건가요, 읽기가어지러워서 .. 잘 감상하겠습니다.
고맙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