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대로 침에는 많은 성분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부드럽게 해주는 성분.. 이 성분 이 '도와준다' 라고 되어있느데 그게 아니라 잠시 '진통 된다' 가 옳겠습니다.. 증 발 되기도 하니까 시원함이 잠시 열을 완하해주는 것처럼 보이지요.. 침에서 살균소독 효능은 0.1% 바께 없다고.. 제가 말했습니다.. 아니.. 조사 결과? 나왔습니다.. 오히려 악용 될수도 있습니다.. 90%의 다른 음식물 완하 성분은.. '완하' 입니다.. 입에서 일으키는 소화는 '기계적 소화' 입니다.. 침 으로 인해 소화가 되는건 별로 없죠.. 단지 녹말을 탄수화물로부터 분리한다고 할까나?? 침은 오히려 나쁜 장욕을 할수 있으므로 차라리 물로 깨끗이 씻는게 더 났습니다..(예를 들어.. 그 모기 가 말라리아 라면.. 침을 타고 전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첫댓글동물들은 상처가 생기면 그곳을 혀로 핥습니다. 님의 말처럼 나쁜 작용을 할 수 있다는건 드문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자주 나쁜 작용을 한다면 침이 민간요법으로 내려왔을리가 없죠. 0.1%.. 이건 단지 통계적인 숫자일 뿐입니다. 0.1%라고 해서 효능이 무시되는건 잘못된 것 이라고 봅니다.
맞아요....다친 부위를 침으로 핥게 되면 그 침이 오히려 세균이 감염되기 쉽도록 만든다네요...다른 상처가 났을 경우에도 침으로 핥는것 보다는 물로 씻는게 더 낫다고 해요...동물 들이 상처를 핥는것에 대해서는 충분한 견해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뭐라 드릴말이 없네요. 그렇지만 대부분의 의사들은 사람에게는 침으로
핥기 보다는 물로 씻어내리라고 권장을 하죠...그이유는요...침에는 우리몸에 해롭지 않은 성분이 있는데요...그런 성분들이 항균작용을 해주는건 맞는 사실이죠...하지만 상처가 난 부위로 침이 흡수가 되면서 침이 닿은 부분에 있었던 세균들이 함께 들어오니까 침을 바르지 않는게 좋다고 하는거겠죠...
예를 들어서 개의 경우를 보면 자주 침으로 몸을 핥아주는것을 볼수 있는데요.그것은 자신의 몸을 깨끗히 하려는 본능적인 습성에서 그러는거라고 하죠.일종의 사람이 콧구멍을 파는것과 같은 행동이죠.-_-;그런데 이런 개의 행동도 상처가 났을때는 핥는게 좋지 않다고 하네요.세균이 침투되기 쉽다고 해서죠.특히 광견병.
첫댓글 동물들은 상처가 생기면 그곳을 혀로 핥습니다. 님의 말처럼 나쁜 작용을 할 수 있다는건 드문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자주 나쁜 작용을 한다면 침이 민간요법으로 내려왔을리가 없죠. 0.1%.. 이건 단지 통계적인 숫자일 뿐입니다. 0.1%라고 해서 효능이 무시되는건 잘못된 것 이라고 봅니다.
맞아요....다친 부위를 침으로 핥게 되면 그 침이 오히려 세균이 감염되기 쉽도록 만든다네요...다른 상처가 났을 경우에도 침으로 핥는것 보다는 물로 씻는게 더 낫다고 해요...동물 들이 상처를 핥는것에 대해서는 충분한 견해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뭐라 드릴말이 없네요. 그렇지만 대부분의 의사들은 사람에게는 침으로
핥기 보다는 물로 씻어내리라고 권장을 하죠...그이유는요...침에는 우리몸에 해롭지 않은 성분이 있는데요...그런 성분들이 항균작용을 해주는건 맞는 사실이죠...하지만 상처가 난 부위로 침이 흡수가 되면서 침이 닿은 부분에 있었던 세균들이 함께 들어오니까 침을 바르지 않는게 좋다고 하는거겠죠...
예를 들어서 개의 경우를 보면 자주 침으로 몸을 핥아주는것을 볼수 있는데요.그것은 자신의 몸을 깨끗히 하려는 본능적인 습성에서 그러는거라고 하죠.일종의 사람이 콧구멍을 파는것과 같은 행동이죠.-_-;그런데 이런 개의 행동도 상처가 났을때는 핥는게 좋지 않다고 하네요.세균이 침투되기 쉽다고 해서죠.특히 광견병.
지구가 만약 운석에 부딧치지 않을 확률이 0.1% 라고 생각해보면 다르죠...